ㆆ
ㆆ | |
---|---|
정보 | |
자명 | 여린히읗 |
훈몽자회 | 없음 |
자원 | ㅇ(이응)에 획을 추가 |
종류 | 홀소리 |
획수 | 2 |
로마자 표기 | |
매큔-라이샤워 표기법 | ' |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 q |
발음 | |
어두 | 성문 파열음 [ʔ] |
어중 | 성문 파열음 [ʔ] |
어말 | 치경 불파음[ t ̚ ] |
ㆆ(여린히읗, 된이응)은 훈민정음의 자모 중 하나로 현대 한국어 표기에는 쓰이지 않는다.
역사
《훈민정음》에 따르면 ㆆ은 청탁의 구별에서 전청이고 조음 위치로는 목구멍소리로 설명하고 있어서 성문 파열음 [ʔ]으로 그 음가를 추정하고 있다.
15세기 문헌에는 관형격 표지에 나타났는데, 이는 이후에 -ㅅ로 대체되면서 사라졌다.
先考ㆆ ᄠᅳᆮ 몯 일우시니 “선친의 뜻을 못 이루시니” - 《용비어천가》(1447)
어린〮 百ᄇᆡᆨ姓셔ᇰ〮이〮 니르고〮져〮 호ᇙ〮 배〮 이셔〮도〮 “어리석은 백성이 말하고자 할 바가 있어도” - 《훈민정음 언해》(1446)
印을 子細히 보니 官ㆆ 字ᄅᆞᆯ 帶ᄒᆞ얏ᄂᆞ니 - 《두시언해》(1481)
한자음
《훈민정음 언해》(1446)에서는 ㆆ을 音과 挹의 첫소리로 썼다.
ㆆᄂᆞᆫ〮 喉ᅘᅮᇢ音ᅙᅳᆷ이〮니〮 如ᅀᅧᆼ 挹ᅙᅳᆸ〮字ᄍᆞᆼ〮 初총發버ᇙ〮聲셔ᇰ셔ᇰᄒ라〮 - 《훈민정음 언해》(1446)
《동국정운》(1448)에서는 중국 음운학의 7음 청탁 낱자 체계에 맞춰서 성모가 ㅇ/∅/인 글자와 ㆆ/ʔ/인 글자를 구분해서 실었다. 또한 ㄹ 받침의 한자 음을 입성으로 만들기 위해 ㆆ을 병서해 ㅭ으로 나타냈다. 이러한 표기는 동국정운식 표기가 쓰이지 않게 되면서 사라졌다.
근대 이후
조선어 신철자법(1948)에서는 ㅅ 불규칙 활용을 나타내기 위한 기호로 ㆆ이 쓰였으며, 이름은 ‘ᅙᅵ으ᇹ’이었다.
코드 값
종류 | 글자 | 유니코드 | HTML | |
---|---|---|---|---|
한글 호환 자모 | ㆆ | U+3186 | ㆆ
| |
한글 자모 영역 |
첫소리 | ᅙᅠ | U+1159 | ᅙ
|
끝소리 | ᅟᅠᇹ | U+11F9 | ᇹ
| |
한양 사용자 정의 영역 |
첫소리 | | U+F7FF | 
|
끝소리 | | U+F8F7 | 
| |
반각 |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