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 (불교)
불교 |
---|
![]() |
간(慳, 산스크리트어: mātsarya, 팔리어: macchariya, 영어: stinginess, avarice, miserliness)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다.
- 초기불교 · 부파불교 · 대승불교의 9결(九結) 가운데 간결(慳結)에 해당한다.[1]
-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5위 75법의 법체계에서 심소법(心所法: 46가지) 중 소번뇌지법(小煩惱地法: 10가지) 가운데 하나이다.[2][3]
-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의 5위 100법의 법체계에서 심소법(心所法: 51가지)의 수번뇌심소(隨煩惱心所: 20가지) 중 소수번뇌심소(小隨煩惱心所: 10가지) 가운데 하나이다.[4][5]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논서 《아비달마품류족론》 제1권과 제3권에 따르면, 간(慳)은 심비린(心鄙吝) 즉 추한 아낌의 마음작용이다. 마음으로 하여금 비루하게 인색하게 하는 마음작용이다. 또는 비루하게 인색한 마음이다.[6][7][8][9] 비루(鄙陋)는 마음이 고상하지 못하고, 하는 짓이 천한 것이고,[10] 인색(吝嗇)은 아끼는 태도가 몹시 지나친 것이다.[11]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논서 《아비달마구사론》 제21권에 따르면, 간(慳)은 재시(財施)와 법시(法施)의 보시(布施)를 통해 자신과 타인을 이익 되게 하는 것에 반대되는 마음작용인 심인착(心吝著)이다. 즉, 마음(6식 또는 8식, 즉 심왕, 즉 심법)으로 하여금 재물이나 교법[法]에 대해 인색(吝嗇)하게 하며 현재 가진 재물이나 교법[法]에 집착(執著, 執着: 늘 마음이 쏠려 잊지 못하고 매달림[12][13][14])하게 하는 마음작용이다.[15][16][17]
같이 보기
참고 문헌
- 곽철환 (2003).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 네이버 지식백과.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미륵 지음,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K.614, T.1579). 《유가사지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570(15-465), T.1579(30-279).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K.955, T.1558). 《아비달마구사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955(27-453), T.1558(29-1).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김묘주 번역 (K.614, T.1585). 《성유식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614(17-510), T.1585(31-1).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K.618, T.1612). 《대승오온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618(17-637), T.1612(31-848).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 편집. 《불교 사전》.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영어) DDB. 《Digital Dictionary of Buddhism (電子佛教辭典)》. Edited by A. Charles Muller.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미륵 조, 현장 한역 (T.1579). 《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 대정신수대장경. T30, No. 1579. CBETA.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佛門網. 《佛學辭典(불학사전)》.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3판.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세친 조, 현장 한역 (T.1612). 《대승오온론(大乘五蘊論)》. 대정신수대장경. T31, No. 1612, CBETA.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세친 조, 현장 한역 (T.1558). 《아비달마구사론(阿毘達磨俱舍論)》. 대정신수대장경. T29, No. 1558, CBETA.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T.1585). 《성유식론(成唯識論)》. 대정신수대장경. T31, No. 1585, CBETA.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각주
- ↑ 星雲, "結". 2012년 12월 28일에 확인. 9결(九結)
"結: (一)梵語 bandhana 或 sajyojana。又作結使。即使煩惱。結,為繫縛之義;蓋煩惱繫縛眾生於迷境,令不出離生死之苦,故有此異稱。諸經論所說結之類別有多種,略舉如下:... (五)九結。雜阿含經卷十八、阿毘達磨發智論卷三、辯中邊論卷上等列舉愛、恚、慢、無明、見、取、疑、嫉、慳等九種煩惱為九結。此係六種根本煩惱(將「見」分身、邊、邪三見,稱為見結;見取見與戒禁取見合併為取結)加上嫉結、慳結,而成九結。大毘婆沙論卷五十說九結之體(自性)共有一百種。〔雜阿含經卷三十二、大毘婆沙論卷四十六、卷四十九、成實論卷十雜煩惱品、大乘阿毘達磨雜集論卷六〕(參閱「九結」、「四結」) " - ↑ 星雲, "慳". 2012년 10월 9일에 확인.
- ↑ 운허, "慳(간)". 2012년 10월 9일에 확인.
- ↑ 星雲, "嫉". 2012년 10월 9일에 확인.
- ↑ 운허, "嫉(질)". 2012년 10월 9일에 확인.
- ↑ 세우 조, 현장 한역 & T.1542, 제1권. p. T26n1542_p0693b26 - T26n1542_p0693b27. 간결(慳結)
"慳結云何。謂心鄙吝。" - ↑ 세우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 K.949, T.1542, 제1권. p. 7 / 448. 간결(慳結)
"간결(慳結)이란 무엇인가? 마음이 비루하고 인색한 것이다." - ↑ 세우 조, 현장 한역 & T.1542, 제3권. p. T26n1542_p0700b14 - T26n1542_p0700b15. 간(慳)
"慳云何。謂心鄙吝。" - ↑ 세우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 K.949, T.1542, 제3권. p. 47 / 463. 간(慳)
"간(慳)은 무엇인가? 마음이 비루하고 인색한 것이다." - ↑ "鄙陋[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네이버 한자사전》. 2012년 12월 28일에 확인.
"鄙陋: 마음이 고상(高尙)하지 못하고, 하는 짓이 천함. 卑陋(비루)와 동의어." - ↑ "인색(吝嗇) Archived 2016년 3월 5일 - 웨이백 머신", 《네이버 국어사전》. 2012년 10월 9일에 확인.
- ↑ "집착(執着)", 《네이버 국어사전》. 2012년 10월 9일에 확인.
- ↑ 운허, "繫著(계착)". 2012년 10월 9일에 확인.
- ↑ 星雲, "執". 2012년 10월 9일에 확인.
- ↑ 권오민 2003, 69–81쪽.
- ↑ 세친 조, 현장 한역 & T.1558, 제21권. p. T29n1558_p0109b24 - T29n1558_p0109b25. 간(慳)
"慳謂財法巧施相違令心吝著。" -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5, T.1558, 제21권. p. 954 / 1397. 간(慳)
"'간(慳)'이란, 이를테면 재시(財施)·법시(法施)의 교시(巧施 : 타인에게 보시하여 이익을 주는 것)에 반대되는 개념으로, 마음으로 하여금 인색하여 집착하게 하는 것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