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잎란강
솔잎란류 | ||
---|---|---|
생물 분류ℹ️ | ||
계: | 식물계 | |
문: | 양치식물문 | |
강: | 솔잎란강 (Psilotopsida) D. H. Scott | |
목 | ||
|
솔잎란류는 양치식물문의 솔잎란강(Psilotopsida) 또는 고사리삼아강(Ophioglossidae) 식물의 총칭이다.
특징
몸은 기는줄기와 곧은줄기로 이루어져 있으며, 현생종은 퇴화된 작은잎을 가지지만 화석종에서는 완전한 잎의 형태를 찾아볼 수 없다. 또한, 화석종이나 현생종 모두 뿌리가 없다. 포자낭은 길게 뻗은 가지나 짧게 퇴화된 가지 끝에 있으며, 중심주는 원생 중심주나 방사 중심주이다. 한편, 비늘조각 모양의 돌기를 가진 것이 있어서 이것이 작은잎으로 진화된 것이 아닌가 추정된다. 화석종의 배우체는 밝혀지지 않았지만, 현생종의 배우체는 작은 원기둥 모양으로 땅 속에 만들어지는데, 이들의 세포에는 엽록체가 없어서 공생하는 균의 작용으로 영양분을 얻는다. 대부분이 고생대 데본기의 화석으로 알려져 있으며, 현생종으로는 솔잎란속 등 2속이 있다.
분포
지금은 주로 열대 및 아열대 지방에서 자라며, 한국의 제주도 남쪽 서귀포 근방에서도 자라고 있다.
하위 분류
계통 분류
다음은 2006년 스미스(Smith) 등과 2011년 리(Li) 등, 2013년 그레위(Grewe) 등의 연구에 기초한 계통 분류이다.[1][2][3]
|
진정포자낭군
양치식물 박벽포자낭군 양치식물 |
2016년 크리스텐휴즈(Christenhusz)와 채즈(Chase) 등의 연구 결과에 기초한 대안적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4]
양치식물강 |
| ||||||||||||||||||
각주
- ↑ Smith, Alan R.; Kathleen M. Pryer; Eric Schuettpelz; Petra Korall; Harald Schneider; Paul G. Wolf (2006). “A classification for extant ferns” (PDF). 《Taxon》 55 (3): 705–731. doi:10.2307/25065646. JSTOR 25065646.
- ↑ Li, F-W; Kuo, L-Y; Rothfels, CJ; Ebihara, A; Chiou, W-L; 외. (2011). “rbcL and matK Earn Two Thumbs Up as the Core DNA Barcode for Ferns”. 《PLoS ONE》 6 (10): e26597. Bibcode:2011PLoSO...626597L. doi:10.1371/journal.pone.0026597. PMC 3197659. PMID 22028918.
- ↑ Grewe, Felix; 외. (2013). “Complete plastid genomes from Ophioglossum californicum, Psilotum nudum, and Equisetum hyemale reveal an ancestral land plant genome structure and resolve the position of Equisetales among monilophytes”. 《BMC Evolutionary Biology》 13 (1): 1–16. doi:10.1186/1471-2148-13-8. ISSN 1471-2148. PMC 3553075. PMID 23311954.
- ↑ Pteridophyte Phylogeny Group (November 2016). “A community-derived classification for extant lycophytes and ferns” (PDF). 《Journal of Systematics and Evolution》 54 (6): 563–603. doi:10.1111/jse.12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