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체시

고체시(古體詩)중국 성당(盛唐) 이전에 널리 쓰인 의 형태로, 형식에 제약이 없는 자유로운 시의 형태를 말하며, 고시(古詩) 혹은 고풍(古風)이라고도 한다. 고체시라는 말은 육조 시대(六朝時代)와 그 이전 시대의 시를 말하며. 대에 근체시가 완성된 이후에는 근체시에 대한 고대의 시, 즉 태고 때부터 수대(隋代)에 이르는 모든 시를 뜻하게 되었다. 그러나 근체시 성립 이전의 시라 하더라도 악부체(樂府體) 시는 일반적으로 고시에 포함시키지 않고 따로 분류하고 있으며, 또 근체시 성립 이후라도 근체시의 형식에 따르지 않고 고체시의 형식을 따라서 지은 것은 여전히 고체시라고 명명한다.

고체시의 규칙은 근체시에 비해 자유롭다. 시의 길이와 압운(押韻)이 자유롭고, 각 장의 구수(句數)도 일정하지 않으며 구성상의 규칙도 없다. 4언(四言), 5언(五言), 6언(六言), 7언(七言) 등의 형식이 있으며, 오언과 칠언을 섞은 잡언(雜言)도 있다.

고체시는 위진남북조(魏晉南北朝)시대를 거치면서 현언시, 유선시, 산수시, 전원시, 궁체시 등 다양한 형태를 띠게 되었으며 조식(曹植), 도연명(陶淵明), 사령운(謝靈運), 포조(鮑照) 등 수많은 문인들의 노력에 의해 표현 역량이 극대화되었고, 압운과 평측, 대구와 구성 등 각 방면에서 고도로 세련된 형태를 갖추어 나갔다. 근체시가 나타난 당대 이후에도 이백(李白), 두보(杜甫) 등의 문인들에 의해 계속 창작되었으며, 말에 이르기까지 근체시에 못지않게 높은 문학적 성취를 이루었다.

같이 보기

중국 문학의 변천
연대 선진 육조 시대 현대
운문 시경, 초사 사부, 고체시, 악부 고체시, 변부 근체시, 유부 근체시, 연극 신사, 현대 가사
비운문(非--) 산문 변문 전기, 변문 고문 -- 장회소설 백화문, 소설
v  d  e  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