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군공중전투사령부
공군공중전투사령부 | |
---|---|
空軍空中戰鬪司令部 | |
활동 기간 | 2003년 7월 1일 ~ 현재 |
국가 | ![]() |
소속 | ![]() |
종류 | 기능 사령부 |
역할 | 공중전투 담당 |
규모 | 9개 비행단 |
명령 체계 | 공군작전사령부 |
본부 | 대구광역시 동구 대구국제공항 |
지휘관 | |
사령관 | ![]() |
공군공중전투사령부(空軍空中戰鬪司令部, ROKAF Air Combat Command)는 대한민국 공군의 항공전을 담당하는 공군작전사령부의 예하 사령부이다.
역사
2003년 7월 1일 대구공군기지에서 창설되었다.[1]
2015년 3월 27일, 대한민국 국방부는 열린 합동참모회의에서 의결한 공군지휘구조 개편안을 바탕으로, 남부전투사령부를 '공중전투사령부'로 재편성할 것이라고 언론에 발표하였다. 7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5개월간의 시범 운영을 마치고, 2016년 1월 1일부터 정식으로 운용된다.[2][3][4]
편성
- 제1전투비행단 - 광주
- 제8전투비행단 - 원주
- 제10전투비행단 - 수원
- 제11전투비행단 - 대구
- 제16전투비행단 - 예천
- 제17전투비행단 - 청주
- 제18전투비행단 - 강릉
- 제19전투비행단 - 충주
- 제20전투비행단 - 서산
- 제29전술개발훈련비행전대 - 청주
- 제38전투비행전대 - 군산
계보
- 남부전투사령부, 2003년 7월 1일 ~ 2015년 6월 30일
- 공중전투사령부 (임시), 2015년 7월 1일 ~ 2015년 12월 31일
- 공중전투사령부, 2016년 1월 1일 ~ 현재
같이 보기
참고
- ↑ “공군, 남부전투사령부 창설”. 대한민국 공군. 2003년 6월 30일. 2014년 10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6월 20일에 확인함.
- ↑ 김태훈 (2015년 3월 31일). “공군 남부·북부사령부, 각각 공중전투·공중기동정찰사령부로 개편”. SBS 뉴스. 2015년 4월 19일에 확인함.
- ↑ 이영재 (2015년 6월 30일). “공군 전투사령부 운영, 지역→기능 중심으로 바뀐다”. 연합뉴스. 2015년 7월 16일에 확인함.
- ↑ 윤상범 (2015년 12월 29일). “공중전투사·공중기동정찰사 새해 공식 출범”. 국방일보. 2015년 12월 30일에 확인함.[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공군남부전투사령부령”. 국가법령정보센터. 2014년 4월 16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