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화정 아이파크 외벽 붕괴 사고
날짜 | 2022년 1월 11일 |
---|---|
시간 | 15시 46분경 (KST) |
위치 | 광주광역시 서구 화운로230번길 20 |
원인 | 동바리 조기 제거가 원인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현재 법원에서 정확한 사고원인과 책임에 대한 소재가 가려질 예정 |
최초 보고자 | 광주소방안전본부 |
결과 | 콘크리트 타설 작업 중 23층부터 38층까지 콘크리트 구조물이 붕괴[1] |
사망자 | 6명 |
부상자 | 1명 |
실종자 | 명 |
재산 피해 | 집계중 |
광주 화정 아이파크 외벽 붕괴 사고는 2022년 1월 11일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서구에서 공사중인 아파트 1개동에서 발생한 사고이다.
여파
2022년 1월 14일 실종자 1명(남성 60세)을 구조했지만 안타깝게 사망하였다.[2][3]
경찰은 서구청을 압수수색하였다.[4]
현대산업개발 정몽규 회장이 책임을 지고 사퇴하였다.[5]
1월 20일 내부영상모습이 공개되었다.[6]
2021년 1월 21일 부 정밀 수색의 분수령인 타워크레인 해체가 시작되었다. 타워크레인을 중심으로 동쪽 화정아이파크 1단지 입구, 기존에 대피령이 내려졌던 서편 주상복합아파트, 인근 문구도매상가, 다른 아파트 신축용 공터, 광주종합버스터미널 주차장 일부도 통제 위험 구역에 포함되었다.[7]
2021년 1월 24일 경찰은 현대산업개발 현장소장 등 관계자 41명을 조사하고 이중 10명을 입건했다. 현대산업개발 본사 등 총 29곳에 대한 압수수색을 진행해 확보한 자료를 토대로 조사에 들어갔다.[8][9]
2022년 1월 25일 추가 실종자를 발견하였다.[10]
2022년 1월 27일 28층에서 실종자 추가 발견되었다.[11]
2022년 1월 31일 광주 붕괴현장 28층 매몰자는 구조되었지만 숨진상태로 발견되었다.[12]
2022년 2월 4일 광주 붕괴사고 5번째 매몰자 위치 추가 확인되었다. 실종자는 2명으로 파악되었다.[13]
결과
HDC현대산업개발은 사고가 발생 다음달인 2022년 2월말 희생자 유족분들에 대한 보상절차를 마치고 같은해 10월 18일 입주예정자들과 협의해 이들에 대한 보상안을 마련했다. 현재 사고원인에 대해서는 재판절차가 진행 중이다.
같이 보기
각주
- ↑ 흘러내리고 꺼진 천장·바닥 언제 무너질지…쌓인 구조물 '처참' 출처:연합뉴스
- ↑ '붕괴 사고' 실종자 1명 사망 소식에 가족들 '착잡' 출처: 연합뉴스
- ↑ 실종자 6명 중 첫 발견 60대 남성, 결국 싸늘한 시신으로 출처: 뉴스1
- ↑ 경찰, '아파트 붕괴 사고' 승인 광주 서구청 압수수색 출처:뉴시스
- ↑ 정몽규 "책임 통감" HDC현대산업개발 회장 사퇴 출처: 파이낸셜뉴스
- ↑ "두세 걸음이 생사 갈랐을 듯"…실종자 가족들 탄식 출처:JTBC
- ↑ 광주 붕괴사고 현장 타워크레인 해체…반경 79m 대피령 출처: 연합뉴스
- ↑ 경찰, 광주 붕괴 사고 현장소장 등 41명 조사…10명 입건 출처: 세계일보
- ↑ 경찰, ‘광주 아파트 붕괴’ 현장소장 업무상 과실치상 혐의로 입건 출처: 조선비즈
- ↑ 광주 붕괴사고 대책본부 “실종자 추가 발견…30층 이상 고층부” 출처: 문화일보
- ↑ 광주 아파트 붕괴 현장 28층서 실종자 추가 발견 출처:조선일보
- ↑ 광주 붕괴현장 28층 매몰자 구조…사고 발생 3주째 출처: 매일경제
- ↑ 광주 붕괴사고 5번째 매몰자 위치 추가 확인 출처: 국민일보
![]() |
이 글은 재난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 |
이 글은 사고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