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수자리 크시1
궁수자리 크시1 | ||
명칭 | ||
---|---|---|
플램스티드 명명법 | 플램스티드 36 (36 Sgr)[1] | |
밝은 별 목록 | HR 7145[1] | |
헨리 드레이퍼 목록 | HD 175687[1] | |
스미소니언 천문대 항성목록 | SAO 187498[1] | |
소천성표 | BD −20° 5339[1] | |
히파르코스 목록 | HIP 93057[1] | |
관측 정보 (역기점 J2000.0) | ||
별자리 | 궁수자리 | |
적경(α) | 18h 57m 20.47670s[2] | |
적위(δ) | −20° 39′ 22.8539″[2] | |
겉보기등급(m) | +5.06[3] | |
절대등급(M) | −3.92[4] | |
위치천문학 | ||
적경 고유운동 | −1.46 mas/yr[2] | |
적위 고유운동 | −5.75 mas/yr[2] | |
연주시차 | 1.58 ± 0.26 mas[2] | |
성질 | ||
광도 | 2,753 L☉[5] | |
나이 | 39.8±4.9 (백만 년)[6] | |
분광형 | B9/A0 Ib[7] | |
U-B 색지수 | −0.14[3] | |
B-V 색지수 | +0.12[3] | |
추가 사항 | ||
질량 | 7.8±0.1 M☉[6] | |
반지름 | 15 R☉[8] | |
중원소 함량 (Fe/H) | −0.20[9] | |
표면 중력 (log g) | 2.3 cgs[9] | |
자전 속도 | 10 km/s[10] | |
항성 목록 |
궁수자리 크시1(ξ1 Sgr)는 궁수자리 방향에 있는 단독성으로[11] 청백색 빛을 낸다. 겉보기등급은 +5.06으로 맨눈으로 관측시 희미하게 보인다.[3] 지구에서 봤을 때의 연주 시차는 1.58 밀리초각으로[2] 이로부터 계산한 이 계와 우리 사이의 거리는 약 2100 광년이다.
크시1은 무거운 초거성으로[8] 분광형은 B9/A0 Ib이다.[7] 질량은 태양의 약 7.8 배에[6] 나이는 약 4천만 년이다.[6] 이 별은 중심핵에 있던 수소를 모두 소진했으며 현재 태양 반지름의 15배 크기로 확장되어 있다.[8] 광구에서의 유효 온도는 약 9400 켈빈으로 태양 광도의 2753 배에 이르는 에너지를 복사하고 있다.[5][9]
각주
- ↑ 가 나 다 라 마 바 “ksi01 Sgr”. 《SIMBAD》.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17년 7월 5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마 바 van Leeuwen, F. (2007), “Validation of the new Hipparcos reduction”, 《Astronomy and Astrophysics》 474 (2): 653–664, arXiv:0708.1752, Bibcode:2007A&A...474..653V, doi:10.1051/0004-6361:20078357.
- ↑ 가 나 다 라 Fernie, J. D. (1983), “New UBVRI photometry for 900 supergiants”, 《Astrophysical Journal Supplement Series》 52: 7, Bibcode:1983ApJS...52....7F, doi:10.1086/190856.
- ↑ Anderson, E.; Francis, Ch. (2012), “XHIP: An extended hipparcos compilation”, 《Astronomy Letters》 38 (5): 331, arXiv:1108.4971, Bibcode:2012AstL...38..331A, doi:10.1134/S1063773712050015.
- ↑ 가 나 McDonald, I.; 외. (2012), “Fundamental Parameters and Infrared Excesses of Hipparcos Stars”,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427 (1): 343–57, arXiv:1208.2037, Bibcode:2012MNRAS.427..343M, doi:10.1111/j.1365-2966.2012.21873.x.
- ↑ 가 나 다 라 Tetzlaff, N.; 외. (January 2011), “A catalogue of young runaway Hipparcos stars within 3 kpc from the Sun”,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410 (1): 190–200, arXiv:1007.4883, Bibcode:2011MNRAS.410..190T, doi:10.1111/j.1365-2966.2010.17434.x.
- ↑ 가 나 Houk, Nancy; Smith-Moore, M. (1978), 《Michigan catalogue of two-dimensional spectral types for the HD stars》 4, Ann Arbor: Dept. of Astronomy, University of Michigan, Bibcode:1988mcts.book.....H.
- ↑ 가 나 다 Venn, Kim A. (August 1995), “Atmospheric Parameters and LTE Abundances for 22 Galactic, A형 초거성”, 《Astrophysical Journal Supplement》 99: 659, Bibcode:1995ApJS...99..659V, doi:10.1086/192201.
- ↑ 가 나 다 Soubiran, C.; Le Campion, J.-F.; Cayrel de Strobel, G.; Caillo, A. (June 2010), “The PASTEL catalogue of stellar parameters”, 《Astronomy and Astrophysics》 515: A111, arXiv:1004.1069, Bibcode:2010A&A...515A.111S, doi:10.1051/0004-6361/201014247.
- ↑ Royer, F.; 외. (January 2012), “Rotational velocities of A-type stars. I. Measurement of v sin i in the southern hemisphere”, 《Astronomy and Astrophysics》 381: 105–121, arXiv:astro-ph/0110490, Bibcode:2002A&A...381..105R, doi:10.1051/0004-6361:20011422.
- ↑ Eggleton, P. P.; Tokovinin, A. A. (September 2008), “A catalogue of multiplicity among bright stellar systems”,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389 (2): 869–879, arXiv:0806.2878, Bibcode:2008MNRAS.389..869E, doi:10.1111/j.1365-2966.2008.13596.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