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락조자리 델타
극락조자리 델타1, 2 | ||
명칭 | ||
---|---|---|
다른 이름 | (항성계) CP-78 1092, FK5 1424, HR 6020. (델타1) HD 145366, HIP 80047, SAO 257380. (델타2) HD 145388, HIP 80057, SAO 257381.[1][2] | |
관측 정보 (역기점 J2000) | ||
별자리 | 극락조자리 | |
적경(α) | 델타1: 16h 20m 20.80462s, 델타2: 16h 20m 26.85843s[3] | |
적위(δ) | 델타1: –78° 41′ 44.6889″, 델타2: –78° 40′ 02.9901″[3] | |
위치천문학 | ||
연주시차 | (델타1/델타2) 4.28 ± 0.16/5.32 ± 0.22 밀리초각[3][4] | |
성질 | ||
분광형 | 델타1: M5 IIIb, 델타2: K3 III[5] | |
항성 목록 |
극락조자리 델타(δ Aps)는 남반구 하늘 극락조자리 방향에 있는 이중성이다. ‘델타’는 바이어 명명법에 따라 밝기 순으로 붙은 이름이다.
이 별은 맨눈으로 볼 때는 하나의 별처럼 보이나, 실제로는 두 개의 별로 이루어진 이중성이다. 둘 중 밝은 쪽인 극락조자리 델타1은 분광형 M의 적색 거성이며 겉보기 등급은 4.68이다. 델타1은 불규칙 변광성[6]으로 밝기가 4.66에서 4.87까지 변한다. 쌍성 중 어두운 쪽인 극락조자리 델타2는 델타1로부터 각거리로 102.9초각 떨어져 있다. 델타2의 분광형은 K형 거성이며 겉보기 등급은 5.27이다.
히파르코스 자료에는 지구에서 극락조자리 델타1까지의 거리가 약 760광년으로 나와 있으며 델타2와 지구 사이 거리는 610광년 정도이다. 두 별은 고유 운동을 공유한다.
이름
극락조자리는 남반구의 별자리로 동아시아 별자리에는 예전에 없던 존재였다. 중국어로 이 별자리를 ‘이작’(異雀, Yì Què)으로 해석했는데 이는 ‘이국적인 새’라는 의미이다. 이 이작에 속한 별들로 극락조자리 델타, 제타, 요타, 감마, 팔분의자리 델타, 베타, 에타, 알파, 엡실론이 있다. 베타별 자체를 부르는 명칭은 ‘이작륙’(異雀六, Yì Què liù)으로 ‘이작의 여섯 번째 별’이라는 뜻이다.[7]
각주
- ↑ “del01 Aps -- Pulsating variable Star”, 《SIMBAD》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12년 7월 8일에 확인함.
- ↑ “HR 6021 -- Star in double system”, 《SIMBAD》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12년 7월 8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van Leeuwen, F. (2007년 11월), “Validation of the new Hipparcos reduction”, 《Astronomy and Astrophysics》 474 (2): 653–664, arXiv:0708.1752, Bibcode:2007A&A...474..653V, doi:10.1051/0004-6361:20078357.
- ↑ Wielen, R.; 외. (1999), 《Sixth Catalogue of Fundamental Stars (FK6). Part I. Basic fundamental stars with direct solutions》 (35), Astronomisches Rechen-Institut Heidelberg, Bibcode:1999VeARI..35....1W.
- ↑ Houk, Nancy (1979), 《Michigan catalogue of two-dimensional spectral types for the HD stars》 1, Ann Arbor, Michigan: Dept. of Astronomy, University of Michigan, Bibcode:1978mcts.book.....H.
- ↑ Tabur, V.; 외. (2009년 12월), “Long-term photometry and periods for 261 nearby pulsating M giants”,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400 (4): 1945–1961, arXiv:0908.3228, Bibcode:2009MNRAS.400.1945T, doi:10.1111/j.1365-2966.2009.15588.x.
- ↑ “AEEA (Activities of Exhibition and Education in Astronomy) 天文教育資訊網 2006 年 7 月 29 日”. 2011년 5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월 14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