꼬마부드러운털쥐
![]() | |
---|---|
생물 분류ℹ️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포유강 |
목: | 쥐목 |
과: | 쥐과 |
아과: | 쥐아과 |
족: | 프라오미스족 |
속: | 프라오미스속 |
종: | 꼬마부드러운털쥐 (P. minor) |
학명 | |
Praomys minor | |
Hatt, 1934 | |
보전상태 | |
|
꼬마부드러운털쥐(Praomys minor)는 쥐과에 속하는 설치류의 일종이다.[2] 콩고민주공화국에서만 발견된다. 자연 서식지는 아열대 또는 열대 기후 지역의 습윤 저지대 숲이다.[1]
특징
작은 설치류로 몸통 길이가 91~105mm, 꼬리 길이가 130~136mm이다. 발 길이는 23mm이다.[3] 등 쪽은 불그스레한 갈색이고 옆구리 윗쪽을 따라 좀더 연한 색을 띠는 반면에 아래쪽으로 갈수록 시나몬색을 띤다. 눈 주위에 둥글게 짙은 갈색 환이 있다. 배 쪽은 흰색을 띤다. 다리도 희다.
생태
야행성 동물이고 부분적으로 나무 위에서 생활한다. 나무 구멍 속에 둥지를 만든다.
분포 및 서식지
콩고 민주 공화국 루콜렐라 지역에만 알려져 있지만 정확한 분포 지역은 알려져 있지 않다. 콩고강 분지의 저지대 열대우림에서 서식한다.
각주
- ↑ 가 나 Van der Straeten , E. & Kennerley, R. 2016. Praomys minor.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16: e.T18116A22418194. https://dx.doi.org/10.2305/IUCN.UK.2016-3.RLTS.T18116A22418194.en. Downloaded on 14 February 2021.
- ↑ Musser, G.G.; Carleton, M.D. (2005). “SPECIES Praomys minor”. Wilson, D.E.; Reeder, D.M.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영어) 3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1448쪽. ISBN 978-0-8018-8221-0. OCLC 62265494.
- ↑ Robert T. Hatt, Fourteen hitherto unrecognized African rodents, in American Museum Novitates, vol. 708, 19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