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해선
남해선 | |
---|---|
기본 정보 | |
운행 국가 | ![]() |
종류 | 간선철도 |
상태 | 공사 중 |
기점 | 임성리역 (전라남도 목포시) |
종점 | 보성역 (전라남도 보성군) |
역 수 | 7 |
개통일 | 2025년 8월(예정) |
소유자 | 대한민국 정부 (국가철도공단 위탁관리) |
운영자 | 한국철도공사 |
노선 제원 | |
궤간 | 1,435 mm (표준궤) |
선로 수 | 단선 |
전철화 | 가공전차선 교류 25,000 V 60 Hz |
남해선(南海線)[1][2]은 호남선 임성리역에서 경전선 보성역에 이르는 신설 철도이다. 이 구간이 완성되면 장흥, 강진, 해남, 영암에 철도가 들어가며, 한국철도가 목포와 부산을 더 빠르게 이어주게 된다.
연혁
역사
2003년에 착공이 되었으나 2006년에 예산부족으로 착공중인 2개공구중 1개공구는 터널굴착이 중지되고 나머지 한 공구는 인부가 철수하는 사태가 일어났다.[4] 2007년 4월에 공사가 완전 중지되었다.[5] 노무현 정부 말에 사업 재개 및 정상 개통을 결정했으나[6] 이명박 정부에서 사업을 재개하지 않았다.
2009년 감사원은 5개 노선에 대해 재검토를 권고했는데 이명박 정부에선 영남지역 철도는 공사를 계속 하고 이 노선만 사업을 재개하지 않았다.[7] 2014년에 국회에서 사업재개를 위한 예산이 편성되었다.[8] 공사 재개는 2015년 11월에 이루어졌다.[9] 2019년 11월 전철화 결정으로 개통이 미뤄졌다.
2025년 8월[10] 또는 10월에 개통할 예정이다.[11]
역 목록
역명 | 로마자 역명 | 한자 역명 | 역간 거리 |
영업 거리 |
접속 노선 | 소재지 | 비고 | |
---|---|---|---|---|---|---|---|---|
임성리 | Imseong-ri | 任城里 | 0.0 | 호남선 | 전라남도 | 목포시 | 기존역 | |
영암 | Yeongam | 靈岩 | 영암군 | 북위 34° 45′ 34″ 동경 126° 31′ 51″ / 북위 34.7594° 동경 126.5307° | ||||
해남 | Haenam | 海南 | 해남군 | 북위 34° 38′ 11″ 동경 126° 38′ 18″ / 북위 34.6365° 동경 126.6383° | ||||
강진 | Gangjin | 康津 | 강진군 | 북위 34° 37′ 41″ 동경 126° 46′ 17″ / 북위 34.6281° 동경 126.7715° | ||||
장흥 | Jangheung | 長興 | 장흥군 | 북위 34° 40′ 09″ 동경 126° 54′ 43″ / 북위 34.6693° 동경 126.9119° | ||||
장동 | Jangdong | 長東 | 북위 34° 45′ 14″ 동경 126° 59′ 46″ / 북위 34.7538° 동경 126.9961° | |||||
보성 | Boseong | 寶城 | 82.5 | 경전선 | 보성군 | 북위 34° 45′ 33″ 동경 127° 05′ 11″ / 북위 34.7592° 동경 127.0865° |
각주
- ↑ 보성~임성리 철도건설사업 노선명 및 역명 심의자료 제출. 보성임성리사업단TF-1199(2024.11.04)
- ↑ 철도노선도(2025.01.01 기준)
- ↑ 건설교통부고시제2005-332호
- ↑ 여운창 기자 (2006년 9월 28일). “목포-보성 철도공사 중단”. 《연합뉴스》.
- ↑ http://www.jnilbo.com/read.php3?aid=1447340400482442013
-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14&aid=0000362853
- ↑ http://www.mediawatch.kr/mobile/article.html?no=243173
- ↑ 조근영 기자 (2014년 12월 2일). “'공사 중단' 목포-보성 남해안철도 9년 만에 재개”. 《연합뉴스》.
- ↑ “사설 남해안철도 공사 이번에는 차질 없어야 목포-보성 8년 만에 재착공”. 《전남일보》. 2015년 11월 13일.
- ↑ 중장기 운송전략(2025~30) 롤링 계획(안)
- ↑ 김영록 지사, ‘더 위대한 전라남도’ 비전·분야별 전략 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