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레크 댐
누레크 댐 또는 누레크 수력 발전소(타지크어: Нерӯгоҳи обии Норак, 러시아어: Нурекская ГЭС)는 타지키스탄 바흐시강에 위치한 흙으로 채워진 제방댐이다. 주된 목적은 수력 발전이고 3,015MW의 발전 용량을 갖고 있다. 타지키스탄의 국영 전력 회사인 바르키 토지크(타지크어: Барқи Тоҷик, 러시아어: Барки Точик)에서 관리한다.
이 댐은 1961년에 공사를 시작했고 1972년에 첫 발전소가 준공되었다. 마지막 발전소는 1979년에 시운전되었고 전체적인 건설 프로젝트는 타지키스탄이 소련을 구성하던 공화국이었던 1980년에 완료되었다. 준공 당시에는 세계에서 가장 높은 댐이었다. 댐의 높이는 700m, 고도는 300m로[1][2][3] 2013년에 준공된 중국의 진핑-1 댐에 이어 세계에서 2번째로 높은 인공 댐이다. 또한 타지키스탄의 바흐시강을 따라 건설되고 있는 로군 댐은 완공되면 그 크기를 초과할 것으로 예상된다.
건설

누레크 댐은 소련 시대였던 1961년에서 1980년 사이에 건설되었다. 이 댐의 건설 과정은 독특한 편인데 300m 높이의 암석과 흙으로 채워진 구조물 안에서 시멘트의 중심핵이 불침투성 장벽을 형성했기 때문이다.[1][2][3] 언덕의 부피는 5,400만m3에 달한다. 누레크 댐은 9개의 수력 발전소를 포함하고 있는데 1번째 발전소는 1972년에, 마지막 발전소는 1979년에 각각 가동되었다. 약 5,000명의 사람들이 누레크 댐 건설로 인해 수몰된 지역에서 다른 곳으로 재정착했다.[4]
누레크 댐은 타지키스탄의 수도인 두샨베에서 동쪽으로 약 75km 떨어진 서부 바흐시강을 따라 있는 깊은 협곡에 위치해 있는데 행정 구역상으로는 하틀론주와 공화국 직할구 간의 경계 지점에 해당한다. 누레크 댐 근처에 위치한 도시인 누레크에는 댐의 발전소에서 일하는 기술자들과 다른 노동자들이 살고 있다.
발전
누레크 댐의 발전소에는 총 9기의 프랜시스수차 발전기가 설치되어 있다. 원래는 1기당 300MW의 발전 용량(총 2,700MW)을 갖고 있었지만 1984년부터 1988년 사이에 재설계되고 개조되어 현재는 1기당 335MW의 발전 용량(총 3,015MW)을 갖고 있다.[2] 누레크 댐의 발전소는 1994년에 4.0기가와트 수력 발전 용량의 대부분을 형성했는데 이는 타지키스탄 전력 수요의 98%를 감당하기에 충분했다.[5]
저수지
누레크 댐에 의해 형성된 저수지는 간단히 누레크라고 알려져 있는데 10.5km3를 수용하고 있는 타지키스탄에서 가장 큰 저수지이다. 저수지의 길이는 70km 이상이고 표면적은 98km2이다. 저수지는 댐 안에 위치한 수력 발전소를 가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저수지에 저장된 물은 농지의 관개에도 사용된다. 관개용수는 단가라 관개 터널을 통해 14km를 이동하며 약 700km2의 농지를 관개하는 데에 사용된다. 저수지가 물을 수용할 때에 유발지진을 일으켰을 것으로 추정된다.[1]
각주
- ↑ 가 나 다 “History of Nurek Dams”. Canadian Induced Seismicity Research Group. 2015년 9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월 10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Open Joint Stock Holding Company "Barki Tajik"”. 《Ministry of Energy of the Republic of Tajikistan》 (타지크어). 2007년 10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월 10일에 확인함.
- ↑ 가 나 Jansen, Robert B. (1988년). 《Advanced Dam Engineering for Design, Construction, and Rehabilitation》.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744쪽. ISBN 0442243979.
- ↑ Sodiqov, Alexander (2013년). 〈From Resettlement to Conflict: Development-Induced Involuntary Displacement and Violence in Tajikistan〉. Heathershaw, John; Herzig, Edmund. 《The Transformation of Tajikistan: The Sources of Statehood》. New York, MY: Routledge. 49–65쪽. ISBN 9781135697600.
- ↑ Ghasimi, Reza (1994년). 《Tajikistan》. The International Bank for Reconstruction. 138쪽. ISBN 0-8213-310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