닌텐도 시스템개발본부
형태 | 부서 |
---|---|
창립 | 1997년 |
산업 분야 | 비디오 게임 |
해체 | 2015년 9월 16일 |
후신 | 닌텐도 기술개발본부 |
본사 소재지 | 교토시 |
핵심 인물 | 시모무라 마사루 (종합관리자) |
제품 | 닌텐도 네트워크 서비스 |
모기업 | 닌텐도 |
닌텐도 시스템개발본부[a](약칭 닌텐도 SDD)는 일본의 비디오 게임 개발사 닌텐도의 교토시 본사 내에 존재했던 부서였다. 닌텐도의 소프트웨어 및 주변기기 개발이 주업무인 부서였으며, 닌텐도 네트워크 서비스 데이터베이스와 공동으로 닌텐도 네트워크 서비스 프로그래밍을 담당한 '닌텐도 개발영업부'와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와 그 외 기술 개발을 담당한 '환경개발부' 2개의 개발진으로 나뉘어 운영했다.
2015년 9월 16일, 닌텐도 시스템개발본부는 닌텐도 종합개발본부와 합병해 닌텐도 기술개발본부로 재탄생했다.
역사
2015년 9월 16일, 닌텐도 시스템개발본부는 닌텐도 종합개발본부와 합병해 닌텐도 기술개발본부로 재편성되면서 사라졌다.[1][2]
부서 상세
닌텐도 영업개발부
제목 | 종류 | 플랫폼 | 연도 | 프로듀서 | 디렉터 |
---|---|---|---|---|---|
Wii 숍 채널 | 디지털 배급 | Wii | 2006 | 시모무라 마사루 | 미즈키 키요시 |
닌텐도 채널 | 디지털 배급 | Wii | 2006 | 시모무라 마사루 | 미즈키 키요시 |
닌텐도 DSi 숍 | 디지털 배급 | 닌텐도 DSi | 2008 | 시모무라 마사루 | |
닌텐도 존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 닌텐도 DS 닌텐도 DSi |
2009 | 시모무라 마사루 | |
친구 목록 | 친구 목록 | 닌텐도 3DS | 2011 | 시모무라 마사루 | 미즈키 키요시 |
스트리트패스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 닌텐도 3DS | 2011 | 시모무라 마사루 | |
닌텐도 e숍[3] | 디지털 배급 | 닌텐도 3DS | 2011 | 시모무라 마사루 | 나카야 카즈토 |
닌텐도 비디오 | 미디어 플레이어 | 닌텐도 3DS | 2011 | 시모무라 마사루 | |
닌텐도 존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 닌텐도 3DS | 2011 | 시모무라 마사루 | Fumihiko Tamiya |
어느새 교환 일기[4] | 프로세스 간 통신 | 닌텐도 3DS | 2011 | 미즈키 키요시 시모무라 마사루 |
이마이 다이지 |
WaraWara Plaza[co-developed 1] | 운영체제 (Miiverse) | Wii U | 2012 | 미즈키 키요시 에구치 카츠야(닌텐도 EAD) 카와모토 코이치(닌텐도 SPD) |
노가미 히사시 (닌텐도 EAD) |
Miiverse[co-developed 2][5] |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 Wii U | 2012 | 미즈키 키요시 콘도 준야(하테나) 베푸 유스케(닌텐도 NSD) |
유자와 히데토 크리스 요시오미(하테나) |
닌텐도 네트워크 ID | Wii U | 2012 | |||
Wii U 챗[co-developed 3] | 온라인 채팅 | Wii U | 2012 | Fumihiko Tamiya | |
닌텐도 e숍 | 디지털 배급 | Wii U | 2012 | 미즈키 키요시 | 나카야 카즈토 |
Miiverse[co-developed 2] |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 웹 브라우저 | 2013 | 미즈키 키요시 콘도 준야(하테나) 베푸 유스케(닌텐도 NSD) |
유자와 히데토 크리스 요시오미(하테나) |
StreetPass Relay[6]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 닌텐도 3DS | 2013 | 미즈키 키요시 | 야마자키 마사토시 |
Miiverse[co-developed 2] |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 닌텐도 3DS | 2013 | 미즈키 키요시 콘도 준야(하테나) 베푸 유스케(닌텐도 NSD) |
유자와 히데토 크리스 요시오미(하테나) |
- 내용주
환경개발부
Title | Genre(s) | Platform(s) | Year | Producer(s) | Director(s) |
---|---|---|---|---|---|
WiiConnect24 | Wii | 2006 | |||
Wii 시스템 소프트웨어 | Wii | 2006 | |||
닌텐도 DSi 브라우저 | 닌텐도 DSi | 2009 | |||
Download Play | 닌텐도 3DS | 2011 | |||
닌텐도 e숍 | 닌텐도 3DS | 2011 | |||
마리오 카트 7 | 닌텐도 3DS | 2011 | |||
키드 이카루스: 업라이징 | 닌텐도 3DS | 2012 | |||
닌텐도 랜드 | Wii U | 2012 | |||
StreetPass Relay | 닌텐도 3DS | 2013 | |||
친구모아 아파트 | 닌텐도 3DS | 2013 | |||
마리오 카트 8 | Wii U | 2014 |
기계설계부
Title | Year | Platform(s) | Director | Producer |
---|---|---|---|---|
사테라뷰 | 1995 | 하드웨어 | 시모무라 마사루 | 야마토 사토시 |
BS 슈퍼 마리오 USA 파워 챌린지 | 1996 | 사테라뷰 | 스즈키 토시아키 | 야마토 사토시 |
BS 마블러스 타임 애슬레틱스 | 1996 | 사테라뷰 | 아오누마 에이지 | 야마토 사토시 |
BS 마블러스 타임 아놀드 | 1996 | 사테라뷰 | 츠지야마 요시노리 | 야마토 사토시 |
닌텐도 파워 | 1996 | 슈퍼 패미컴게임보이 | ||
BS 에프제로 그랑프리 | 1997 | 사테라뷰 | 스즈키 토시아키 | 야마토 사토시 |
익사이트바이크: 분분 마리오 배틀 스타디움 | 1997 | 사테라뷰 | 츠지야마 요시노리 | 야마토 사토시 |
포켓몬 피카츄 | 1998 | 하드웨어 | ||
포켓몬 피카츄 2 GS | 1999 | 하드웨어 | ||
Poket Hello Kitty | 1999 | 하드웨어 | ||
Mobile Adapter GB | 2001 | 하드웨어 | 시모무라 마사루 | 야마토 사토시 |
포켓몬 파티 미니 | 2001 | 포켓몬 미니 | 카와다 신야 | 야마토 사토시 |
포켓몬 핀볼 미니 | 2001 | 포켓몬 미니 | 모리 요시카즈 | 야마토 사토시 |
사쿠라 모모코의 우끼우끼 카니벌 | 2002 | 게임보이 어드밴스 | 오사와 토루 | 야마토 사토시 |
포켓몬 레이스 미니 | 2002 | 포켓몬 미니 | 카와다 신야 | 야마토 사토시 |
포켓몬 쇼크 테트리스 | 2002 | 포켓몬 미니 | 카와다 신야 | 야마토 사토시 |
포켓모션 | 2003 | 하드웨어 | 카와다 신야 | 야마토 사토시 |
포켓몬 파티e | 2002 | e리더 | 오사와 토루 | 야마토 사토시 |
게임보이 어드밴스 와이어리스 어댑터 | 2004 | 게임보이 어드밴스 | ||
슬라이드 어드벤처 마그키드 | 2007 | 닌텐도 DS | 시미즈 카즈노부 | 카와다 신야 |
Personal Trainer: Walking | 2008 | 닌텐도 DS | 모리무라 나오야 | 카와다 신야 |
Cooking Guide: Can't Decide What to Eat? | 2008 | 닌텐도 DS | 와타나베 히로타카 | 츠지야마 요시노리 |
포켓워커 | 2009 | 하드웨어 | 시모무라 마사루 | 마스다 준이치야마가미 히토시 |
참조
내용주
각주
- ↑ Kohler, Chris. “Nintendo Consolidates Its Game Development Teams”. Wired. 2015년 9월 15일에 확인함.
- ↑ Rad, Chloi; Otero, Jose. “Nintendo Reveals Restructuring Plans”. IGN. 2015년 9월 15일에 확인함.
- ↑ Nintendo. Iwata Asks: Nintendo 3DS: Nintendo eShop
- ↑ Nintendo. Iwata Asks: Nintendo 3DS: Swapnote
- ↑ Nintendo. Iwata Asks: Wii U: Miiverse
- ↑ Nintendo. Iwata Asks: Nintendo 3DS: StreetPass Relay Poi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