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와지르
대와지르 또는 대비지에르(페르시아어: وزيرِ اعظم vazîr-i aʾzam; 오스만 튀르크어: صدر اعظم sadr-ı aʾzam; 튀르키예어: sadrazam), 대재상은 이슬람 세계의 많은 주권 국가의 실질적인 정부 수반의 직책이었다. 이 직책은 아바스 칼리파국의 관료들이 처음 사용했다. 그 후오스만 제국, 무굴 제국, 소코토 칼리파국, 사파비 제국, 모로코에서 사용되었다. 오스만 제국에서는 대비지에르가 황실 직인을 가지고 다른 모든 비지에르들을 소집하여 국정에 관한 회의를 소집할 수 있었으며, 회의 장소인 톱카프 궁전의 쿠베알티('돔 아래')에서 유래하여 회의에 참석한 비지에르들을 '쿠베알티 비지에르'이라 불렀다. 그의 집무실은 수블림 포르테에 있었다. 오늘날 파키스탄의 총리는 우르두어로 와지르-에-아잠으로 불리며, 이는 문자 그대로 대와지르로 번역된다.[1]
처음에 대와지르는 오스만 제국의 투르크족 출신만 임명되었다. 그러나 터키의 대부인 찬달리 소 할릴 파샤와 술탄 메흐메트 2세(그를 처형한) 사이에 문제가 생긴 후 노예 관리인(데브쉬르메)이 등장했다. 이들은 튀르크 귀족 출신의 자유 관리자에 비해 술탄이 통제하기가 훨씬 쉬웠다.
각주
- ↑ Aksin Somel, Selcuk (2010). 《The A to Z of the Ottoman Empire》. Scarecrow Press. 67쪽. ISBN 9780810875791.
The disappearance of this dynasty [ Çandarlı family ] was symptomatic with the rise of the class of slave administrators, who were much easier for the sultan to control than free administrators of noble origin.
외부 링크
위키미디어 공용에 대와지르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이 글은 사회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 |
이 글은 사람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