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국이상국집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은 고려 고종 때 문인 이규보의 문집(文集)으로, 이규보의 아들 이함(李涵)이 간행했다.
전집 권 1~18은 연보(年譜)·시, 권 19~20은 잡저·상량문·구호(口號)·송(頌)·서(序), 권 22는 잡문(雜文), 권 23~32는 기(記)·방문·서(書)·서장(書狀)·표(表)·인국교통소제표전장, 권 33~34는 교서·비답·조서·마제(麻制)·관고(官誥), 권 35~36은 비명(碑銘)·묘지뇌언, 권 37은 애사(哀辭)·제문, 권 38은 도량(道場)·초소(醮疏)·제문, 권 39는 불도소(佛道疏), 권 40~41은 석도소(釋道疏)·제축(祭祝)으로 되어 있다. 후집 12권의 내용도 전집의 내용과 같은 것을 취급하고 있다.
동국이상국집에는 상정고금예문이 1234년 금속 활자로 인쇄되었다는 내용이 있는데, 이것은 금속 활자에 대한 세계 최초의 기록이다.
같이 보기
참고 자료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무인시대의 문화〉" 항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외부 링크
- 동국이상국집, 한국고전종합DB
![]() | 이 글은 책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