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메틸폼아마이드
![]() | |||
| |||
이름 | |||
---|---|---|---|
우선명 (PIN)
N,N-dimethylformamide[2] | |||
별칭 | |||
식별자 | |||
3D 모델 (JSmol)
|
|||
3DMet | |||
605365 | |||
ChEBI | |||
ChEMBL | |||
ChemSpider | |||
DrugBank | |||
ECHA InfoCard | 100.000.617 | ||
EC 번호 |
| ||
KEGG | |||
MeSH | Dimethylformamide | ||
PubChem CID
|
|||
RTECS 번호 |
| ||
UNII | |||
UN 번호 | 2265 | ||
CompTox Dashboard (EPA)
|
|||
| |||
| |||
성질 | |||
C3H7NO | |||
몰 질량 | 73.095 g·mol−1 | ||
겉보기 | 무색 액체 | ||
냄새 | 비린내, 암모니아 냄새 | ||
밀도 | 0.948 g/mL | ||
녹는점 | −61 °C (−78 °F; 212 K) | ||
끓는점 | 153 °C (307 °F; 426 K) | ||
혼화성 | |||
log P | −0.829 | ||
증기 압력 | 516 Pa | ||
산성도 (pKa) | -0.3 (짝산에 대해) (H2O)[3] | ||
UV-vis (λmax) | 270 nm | ||
흡광도 | 1.00 | ||
굴절률 (nD)
|
1.4305 (20 °C에서) | ||
점도 | 0.92 mPa s (20 °C에서) | ||
구조 | |||
3.86 D | |||
열화학 | |||
열용량 (C)
|
146.05 J/(K·mol) | ||
표준 생성 엔탈피 (ΔfH⦵298)
|
−239.4 ± 1.2 kJ/mol | ||
표준 연소 엔탈피 (ΔcH⦵298)
|
−1.9416 ± 0.0012 MJ/mol | ||
위험 | |||
GHS 그림문자 | ![]() ![]() ![]() | ||
신호어 | 위험 | ||
GHS 유해위험문구
|
H226, H312, H319, H332, H360 | ||
GHS 예방조치문구
|
P280, P305+351+338, P308+313 | ||
NFPA 704 (파이어 다이아몬드) | |||
인화점 | 58 °C (136 °F; 331 K) | ||
445 °C (833 °F; 718 K) | |||
폭발 한계 | 2.2–15.2% | ||
유해화학물질 허용농도 (TLV)
|
30 mg/m (TWA) | ||
반수 치사량 또는 반수 치사농도 (LD, LC): | |||
LD50 (median dose)
|
| ||
LC50 (median concentration)
|
3092 ppm (mouse, 2 h)[5] | ||
LCLo (lowest published)
|
5000 ppm (rat, 6 h)[5] | ||
NIOSH (미국 건강 노출 한계): | |||
PEL (허용)
|
TWA 10 ppm (30 mg/m3) [skin][4] | ||
REL (권장)
|
TWA 10 ppm (30 mg/m3) [skin][4] | ||
IDLH (직접적 위험)
|
500 ppm[4] | ||
관련 화합물 | |||
관련 알칸아마이드
|
| ||
관련 화합물
|
| ||
달리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면, 표준상태(25 °C [77 °F], 100 kPa)에서 물질의 정보가 제공됨.
|
다이메틸폼아마이드(영어: dimethylformamide)는 화학식이 (CH3)2NC(O)H인 유기 화합물이다. DMF로 줄여 쓰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DMF는 2,5-다이메틸퓨란이나 디메틸푸마레이트를 의미하기도 한다. 이 무색의 액체는 물, 대부분의 유기 액체들과 혼화성이 있다. 다이메틸폼아마이드는 냄새가 나지 않으나 감퇴된 샘플은 다이메틸아민의 불순도로 인해 비린내가 나는 경우가 있다.
구조 및 특성
![]() |
독성
반수 치사량(쥐 대상 구강 투여)은 2.2~7.55 g/kg이다.[6]
각주
- ↑ N,N-Dimethylmethanamide, NIST web thermo tables
- ↑ 《Nomenclature of Organic Chemistry : IUPAC Recommendations and Preferred Names 2013 (Blue Book)》. Cambridge: The Royal Society of Chemistry. 2014. 841, 844쪽. doi:10.1039/9781849733069-FP001. ISBN 978-0-85404-182-4.
The traditional name ‘formamide’ is retained for HCO-NH2 and is the preferred IUPAC name. Substitution is permitted on the –NH2 group.
- ↑ “Hazardous Substances Data Bank (HSDB) - N,N-DIMETHYLFORMAMIDE”.
- ↑ 가 나 다 NIOSH Pocket Guide to Chemical Hazards. “#0226”. 미국 국립 직업안전위생연구소 (NIOSH).
- ↑ 가 나 “Dimethylformamide”. 《Immediately Dangerous to Life and Health Concentrations (IDLH)》.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NIOSH).
- ↑ Bipp, H.; Kieczka, H., 〈Formamides〉, 《울만 공업화학 백과사전(Ullmann's Encyclopedia of Industrial Chemistry)》, Weinheim: Wiley-VCH, doi:10.1002/14356007.a12_001.pub2
외부 링크
- International Chemical Safety Card 0457
- NIOSH Pocket Guide to Chemical Hazards. “#0226”. 미국 국립 직업안전위생연구소 (NIO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