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단위 DGCR8은 세포핵에 국한되어 있으며 microRNA(miRNA) 처리에 필요하다. 이것은 RNase III 효소인 다른 소단위 드로샤에 결합하여 pri-miRNA로 알려진 1차 전사체를 pre-miRNA로 알려진 특징적인 줄기 루프 구조로 절단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복합체를 형성하고, 이 복합체는 이후 다이서에 의해 miRNA 단편으로 추가 처리된다. DGCR8은 RNA 결합 도메인을 포함하며 Drosha에 의한 처리를 위해 안정화하기 위해 pri-miRNA에 결합하는 것으로 생각된다.[6]
DGCR8은 일부 유형의 DNA 복구에도 필요하다. 전사 결합 뉴클레오티드 절단 복구(TC-NER) 동안 UV 유도 DNA 광산물의 제거는 세린 153에서 DGCR8의 JNK 인산화에 따라 달라진다.[7] DGCR8은 마이크로RNA 생합성에서 기능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이 활성은 UV 유도 광생성물의 DGCR8 의존적 제거에 필요하지 않다.[7]과산화수소( H2O2 )로 인한 산화적 DNA 손상의 복구를 위해서는 뉴클레오티드 절단 복구도 필요하며 DGCR8이 고갈된 세포는 H2O2에 민감하다.[7]
Shiohama A, Sasaki T, Noda S, Minoshima S, Shimizu N (Apr 2003). “Molecular cloning and expression analysis of a novel gene DGCR8 located in the DiGeorge syndrome chromosomal region”. 《Biochemical and Biophysical Research Communications》 304 (1): 184–90. doi:10.1016/S0006-291X(03)00554-0. PMID12705904.
Gregory RI, Yan KP, Amuthan G, Chendrimada T, Doratotaj B, Cooch N, Shiekhattar R (Nov 2004). “The Microprocessor complex mediates the genesis of microRNAs”. 《Nature》 432 (7014): 235–40. doi:10.1038/nature03120. PMID15531877.
Han J, Lee Y, Yeom KH, Nam JW, Heo I, Rhee JK, Sohn SY, Cho Y, Zhang BT, Kim VN (Jun 2006). “Molecular basis for the recognition of primary microRNAs by the Drosha-DGCR8 complex”. 《Cell》 125 (5): 887–901. doi:10.1016/j.cell.2006.03.043. PMID16751099.
Faller M, Matsunaga M, Yin S, Loo JA, Guo F (Jan 2007). “Heme is involved in microRNA processing”. 《Nature Structural & Molecular Biology》 14 (1): 23–9. doi:10.1038/nsmb1182. PMID17159994.
Sohn SY, Bae WJ, Kim JJ, Yeom KH, Kim VN, Cho Y (Sep 2007). “Crystal structure of human DGCR8 core”. 《Nature Structural & Molecular Biology》 14 (9): 847–53. doi:10.1038/nsmb1294. PMID177048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