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랍 서판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1/11/Table_with_was_and_stylus_Roman_times.jpg/220px-Table_with_was_and_stylus_Roman_times.jpg)
밀랍 서판은 밀랍이 덮혀 있는 나무판으로, 보통 서판과 헐렁하게 연결된 덮개 서판이 있어 보통 2연판(디프티카) 구조로 이뤄졌다. 고대와 중세 시대 때 재사용 가능하고 휴대할 수 있는 필기구로 사용되었다. 키케로의 문헌들은 '케라이'(cerae)를 사용하는 것을 언급하며, 일부 밀랍 서판들은 하드리아누스 방벽에 있는 로마 요새의 물에 잠긴 채 보존되어 있었다. 중세의 밀랍 서판은 일부 유럽의 박물관에서 전시되고 있다.
밀랍에 글씨를 쓰는 행위는 첨필이라고 하는 뾰족한 도구와 같이 이뤄졌다. 직선 형태의 스패튤러 같은 도구 (보통 침필의 촉 부분 반대쪽에 위치)가 지우개처럼 사용되었을 것이다.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e/ef/Douris_Man_with_wax_tablet.jpg/220px-Douris_Man_with_wax_tablet.jpg)
밀랍 서판은 학생들이나 비서들이 필기를 하는 것에서부터 업무 장부를 기록하는 것까지 다양한 목적들로 사용되었다. 속기의 초기 형태 역시도 사용되었다.
고대 때 사용
상아 힌지가 달린 나무 서판에 대한 가장 오래된 예시는 1986년 터키의 카쉬 인근에서 발견된 기원전 14세기의 울루부룬 난파선에서 발견되었다.[1] 이 발견물은 호메로스 기록물에서 서판에 대한 언급이 시대 착오적이지 않음을 보여주었다. 1979년 알바니아 두러스에서, 서기 2세기의 대금 업자의 것으로 여겨지는 무덤에서 상아로 만든 밀납 서판 두 개가 발견되었다.[2]
그리스인들은 가죽으로 된 두루마리와 함께 접이식 밀랍 서판을 기원전 8세기 중엽에 사용하기 시작했을 것이다. Liddell & Scott, 1925년 개정판은 그리스어로 서판을 뜻하는 '델토스' (δέλτος) 대한 어원을 고대 그리스와 로마 저자들과 문서들에서 서판의 형태에 대한 기록을 근거로 하여 델타 (Δ)에서 비롯했다고 하였다.[3] 또 다른 이론에서는 델토스가 셈어 지명 '달투'(daltu)를 가지고 있으며, 달투는 본래 문을 뜻하지만 기원전 13세기 우가리트에서 서판으로 사용되었다고 한다. 히브리어에서 달투는 '달레트'(daleth)로 바뀌었다.[4]
기원전 1천년대에 서판이 메소포타미아와 시리아, 팔레스타인 등 지역에서 사용되었다. 이라크의 니네베의 아시리아 통치자 센나케립의 남서쪽 궁전에서 발굴된, 기원전 640년-615년의 것으로 추정되는 석제 서판(British Museum, ME 124955)은 사람 두 명을 묘사하는데, 한 명은 두루마리를 움켜쥐고 있고, 나머지는 열린 2연판으로 여겨지는 서판을 들고 있다.[5] 베르트 반 레게모터 (Berthe van Regemorter)는 기원전 8세기 후반의 것으로 추정되는 신히타이트의 '타르훈피야스의 석주'(Tarhunpiyas, Musée du Louvre, AO 1922.))에서 유사한 인물을 식별하였는데, 이 인물은 독특한 단추가 있는 명판같이 생긴 형태를 쥐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6][7] 상아 서판들이 님루드의 사르곤 왕궁 유적지에서 발견되었다.[8] Margaret Howard는 이 서판들이 H 문자를 닮은 가죽 조각들이 콘서티나 구조 형태를 이루게 서판의 모서리를 따라 있는 구멍에 끼워 들어가 이뤄진 정교한 구조를 이용하여 연결되어 있었을 것이라 추측하였다.[9]
중세에서 근대에서 사용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6/68/Scribe_tomb_relief_Flavia_Solva.jpg/220px-Scribe_tomb_relief_Flavia_Solva.jpg)
수도사이자 수학자인 라이헤나우의 헤르만(1013년–1054년)은 밀랍 서판을 사용했고 그는 제자 라이헤나우의 베르톨트에게 자신의 기록들을 밀랍 서판에 기재한 뒤에 필사본으로 만들 것을 부탁하였다.[10]
투르네의 생 마르텡 수도원의 수도사 투르네의 에리망 (1095년—1147년)은 서판에 어느 정도는 기록을 한다고 하였다.[11]
밀랍 서판에 대한 주목할 만한 예시는 오스트리아의 가장 오래된 도시 엔스에 1500년에 건설된 병원에 대한 지역권 기록이다. 375 x 207 mm (14.76 x 8.15 인치) 크기에 한 가리 당 90 mm (3.54 inch)으로 배열된 나무판 열 개 각각은 축을 따라 두 쪽으로 나뉜다. 연간 지불해야하는 비용 등이 왼쪽의 접착제가 발라진 양피지 또는 종이에 적혔다. 수취한 지불 비용은 오른쪽에 공제되어 (이후에 삭제) 기록되었으며, 이 내용들은 갈색을 띄는 검은색 필기용 왁스로 칠해졌다. 왁스는 밀랍을 기반으로 했고, 식물성 기름 5-10%와 탄소 안료를 함유했다. 녹는점은 대략 65 °C이다.[12] 이 기록물은 1447년부터 시작된 일찍이 쓰인 기록물에 대한 연장선이다.
밀랍 서판은 19세기까지 한시적으로 중요한, 대량의 업무 기록에 쓰였다. 예시로, 슈베비슈할의 소금 광산 관리국은 1812년까지 밀랍 서판을 썼다.[13] 루앙의 어시장은 1860년대까지 썼는데, 서판의 구조 및 사용법 등이 1849년 기록물에 잘 남아 있었다.[14]
각주
- ↑ Payton, Robert (1991). “The Ulu Burun Writing-Board Set”. 《Anatolian Studies》 41: 99–106. doi:10.2307/3642932.
- ↑ “Wax Tablets Reveal Secrets of Ancient Illyria - Albanian Economy News”. 《Albanian Economy News》.
- ↑ Εntry δέλτος[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deltos) at Liddell & Scott
- ↑ Walter, Burkert (1995). 《The orientalizing revolution: Near Eastern influence on Greek culture in the early archaic age》.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30쪽.
- ↑ “Stone Panel from the South-West Palace of Sennacherib (Room 28, Panel 9)”. British Museum. 2011년 1월 8일에 확인함.
- ↑ Van Regemorter, Berthe (1958). “Le Codex Relié À L'époque Néo-Hittite”. 《Scriptorium》 12: 177–81.
- ↑ Szirmai, J.A. (1990). “Wooden Writing Tablets and the Birth of the Codex”. 《Gazette du Livre Médèvale》 17: 31–32.
- ↑ Wiseman, D.J. (1955). “Assyrian Writing Boards”. 《Iraq》 17 (1): Plate III. doi:10.2307/4241713.
- ↑ Howard, Margaret (1955). “Technical Description of the Ivory Writing-Boards from Nimrud”. 《Iraq》 17 (1): 14–20; Fig. 7–11. doi:10.2307/4241714.
- ↑ https://mathshistory.st-andrews.ac.uk/Biographies/Hermann_of_Reichenau/
- ↑ Herman of Tournai, Lynn Harry Nelson, ed. and tr. The Restoration of the Monastery of Saint Martin of Tournai "Prologue" p. 11.
- ↑ Wilflingseder, F., 1964. "Die Urbare des Ennser Bürgerspitals aus den Jahren 1447 und 1500". Biblos 13, 134-45
- ↑ Büll, R., 1977. Wachs als Beschreib- und Siegelstoff. Wachstafeln und ihre Verwendung. In: Das große Buch vom Wachs. Vol. 2, 785-894
- ↑ Lalou E., 1992. "Inventaire des tablettes médiévales et présentation genérale". In: Les Tablettes à écrire de l'Antiquité à l'Epoque Moderne, pp. 233-288; esp. p. 280 and Fig. 13
참고 문헌
- Galling, K., 1971. "Tafel, Buch und Blatt" in Near Eastern Studies in Honour of W. F. Albright (Baltimore), pp 207–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