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주 (칸트)

연속 기획
이마누엘 칸트
칸트주의의무론적 윤리학
초월적 관념론 · 비판철학 · 사페레 아우데  · 스키마 · 아 프리오리와 아 포스테리오리  · 분석판단과 종합판단의 구분 · 물자체 · 범주 · 정언명령 · 가언명령 · "목적의 왕국" · 정치철학
주요 저서
순수이성비판》 ·형이상학 서설》 ·계몽이란 무엇인가?》 ·윤리형이상학 정초》 ·실천이성비판》 ·판단력비판
주요 인물
버클리 · 데카르트 · 헤겔 ·  · 쇼펜하우어 · 스피노자 · 테텐스
관련
독일 관념론 · 쇼펜하우어의 비판 · 신칸트주의
v  d  e  h

칸트 철학에서 범주(독일어: Categorie)는 지성의 순수 개념이다. 칸트의 범주는 일반적으로 어떤 객체의 현상의 특질이다. 칸트는 "그것은 일반적으로 객체의 개념이다..."[1]라며, 또한 "...지성의 순수 개념[범주]는...일반적으로 직관의 객체에 적용된다..."[2] 이러한 범주는 세간에서 흔히 쓰이는 것과 같이 분류상의 분할이 아니다. 대신 객체의 가능성의 상태,[3] 즉, 그런, 어떤, 모든 객체로서의 객체를 말하는 것이지 특정하게 구체적인 객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같이 보기

각주

  1. Kant, Immanuel, Critique of Pure Reason, B129, (Sie sind Begriffe von einem Gegenstande überhaupt)
  2. Kant, Immanuel, Critique of Pure Reason, § 79 (reine Verstandesbegriffe, welche a priori auf Gegenstände der Anschauung überhaupt gehen)
  3. Kant, Immanuel, Critique of Pure Reason, A 1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