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타 차단제

베타 차단제(영어: beta blocker, β-blocker)는 교감 신경의 아드레날린작동성 수용체 중 β-수용체만을 특이하게 차단하는 약제를 가리킨다. 베타 억제제, 베타 블로커라고도 불린다. 임상적으로 부정맥을 컨트롤하거나 2차적 심근경색을 예방하기 위해 사용된다. 보통 1차적으로는 쓰이지 않으나 고혈압 완화를 위해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효과
베타 차단제의 적응증은 다음과 같다.
- 협심증[1][2][3] (변이형 협심증에 금기)
- 심방세동[4]
- 심장 부정맥[5][3]
- 울혈성 심부전[6]
- 본태성진전[7]
- 녹내장[3][8] - 안약으로 사용하며, 방수 분비를 낮추어 안압을 낮추는 효과를 보인다.[9] )
- 고혈압[3] - 일반적으로 초기 치료로 선호되지는 않는다.[10]
- 갑상샘 기능 항진증[3]
- 편두통의 예방[11]
- 승모판 탈출증[12]
- 심근경색[13]
- 크롬친화세포종에서 알파 차단제와 함께 투여[14]
- 기립성 빈맥 증후군[15]
- 불안 및 갑상선 기능 항진증의 증상 조절(빈맥, 떨림)[15]
- 테오필린 과다 복용[16]
종류
비선택적 제제
- 프로프라놀롤[17]
- 카르테올롤[18]
- 카르벨딜롤 (추가 α 1 -차단 활성 있음)[17]
- 라베탈롤 (내재적 교감신경흥분 활성 및 추가적인 α 1 차단 활성이 있음)[17]
- 나돌롤[17]
- 펜부톨롤 (내재적 교감신경흥분 활성이 있음)[17]
- 티몰롤[17]
β1 - 선택적 제제
- 아세부톨롤 (내재적 교감신경흥분 활성, ISA 있음)[19]
- 아테놀롤[19]
- 베타솔롤[19]
- 비소프롤롤[19]
- 셀리프롤롤 (내재적 교감신경흥분 활성이 있음)[20]
- 메토프롤롤[19]
- 네비볼롤[19]
- 에스몰롤[21]
β2 - 선택적 제제
같이 보기
각주
- ↑ Cleophas, Ton (1995). 《Beta-blockers in hypertension and angina pectoris: different compounds, different strategies》. Kluwer Academic Publishers. ISBN 978-0-7923-3516-0.
- ↑ Khan, M.I. Gabriel (2007). 《Cardia Drug Therapy》. Humana Press. ISBN 978-1-59745-238-0.
- ↑ 가 나 다 라 마 Katzung, Bertram (2018). 《Basic & Clinical Pharmacology》. McGraw-Hill. ISBN 9781259641152.
- ↑ “[Treatment of atrial fibrillation in every days [sic] practice]” [Treatment of atrial fibrillation in everyday practice]. 《Der Internist》 49 (12): 1437–42, 1444–45. December 2008. doi:10.1007/s00108-008-2152-6. PMID 19020848.
- ↑ “Medications for Arrhythmia”. 《www.heart.org》 (영어). 2019년 8월 10일에 확인함.
- ↑ “Beta Blocker Therapy”.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2019년 8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8월 10일에 확인함.
- ↑ “Essential Tremor Medications”. 《Cleveland Clinic》 (영어). 2019년 8월 10일에 확인함.
- ↑ 《Goodman & Gilman's: The Pharmacological Basic of Therapeutics》. McGraw-Hill. 2018. ISBN 9781259584732.
- ↑ Shen, Howard (2008). 《Illustrated Pharmacology Memory Cards: PharMnemonics》. Minireview. 15쪽. ISBN 978-1-59541-101-3.
- ↑ NICE Hypertension guidance 보관됨 4월 9, 2017 - 웨이백 머신 Last updated 2013
- ↑ “Preventive Treatment of Migraine in Adults”. 《www.uptodate.com》. 2019년 8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8월 10일에 확인함.
- ↑ “Mitral Valve Prolapse”. 《Mayo Clinic》. 2018년 3월 6일. 2019년 8월 9일에 확인함.
- ↑ “Acute myocardial infarction: Role of beta blocker therapy”. 《www.uptodate.com》. 2019년 8월 10일에 확인함.
- ↑ “Pheochromocytoma Medication: Alpha Blockers, Antihypertensives, BPH, Alpha Blocker, Vasodilators, Beta Blockers, Nonselective, Beta Blockers, Beta1 Selective, Antihypertensives, Other, Radiopharmaceuticals”. 《emedicine.medscape.com》. 2019년 8월 10일에 확인함.
- ↑ 가 나 “Vanderbilt Autonomic Dysfunction Center – Propranolol (Beta Blocker)”. 《ww2.mc.vanderbilt.edu – Vanderbilt Health Institute》. Nashville, TN. 2019년 8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8월 10일에 확인함.
- ↑ “Theophylline Poisoning”. 《www.uptodate.com》. 2019년 8월 10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마 바 “Comparison of Oral Beta-Blockers”. 《pharmacist.therapeuticresearch.com》. Therapeutic Research Center. 2017년 10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4월 30일에 확인함.
- ↑ “CARTEOLOL”. 《pubchem.ncbi.nlm.nih.gov》 (영어).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2017년 10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0월 18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마 바 “Comparison of Oral Beta-Blockers”. 《pharmacist.therapeuticresearch.com》. Therapeutic Research Center. 2017년 10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4월 30일에 확인함.
- ↑ “Celiprolol”. 《pubchem.ncbi.nlm.nih.gov》 (영어).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2017년 10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0월 18일에 확인함.
- ↑ “Esmolol, an ultrashort-acting, selective beta 1-adrenoceptor antagonist: pharmacodynamic and pharmacokinetic properties”. 《European Journal of Clinical Pharmacology》 46 (5): 399–404. 1994. doi:10.1007/BF00191900. PMID 7957532.
- ↑ “Butaxamine”. 《pubchem.ncbi.nlm.nih.gov》 (영어).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2017년 10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0월 18일에 확인함.
- ↑ “ICI 118551”. 《ChEBI》 (영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