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
![]() | |
직업 | |
---|---|
활동 분야 | 공무 |
설명 | |
역량 | 공무 능력, 중립성 |
과정 | 공무원 체제에 합격 |
공무원(公務員, 문화어: 정무원)은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그리고 공공 기관의 사무를 맡는 신분을 뜻한다.
공무원의 종류로는 경력직 공무원, 특정직 공무원, 정무직 공무원이 존재한다. 국가공무원법 제2조 제2항 제1호, 지방공무원법 제2조 제2항 제1호 항에 의거, 경력직 공무원, 특정직 공무원은 경찰, 군인, 소방관, 검사, 판사 등을 포함하고 있다.
국가공무원법 제2조 제3항 제1호, 지방공무원법 제2조 제3항 제1호 항에 의거, 정무직 공무원은 대통령, 국무총리, 국회의장, 부총리, 대법원장, 경찰청장, 검찰총장, 장관, 차관, 국회의원 등 1급 이상 국가의 초고위 공무원을 의미한다. 정무직 공무원은 군사적, 행정적, 사법적 집행 권한을 가진 신분이기에 정치인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정치인은 가장 강력한 권력을 가지고 있으며 평균 연봉은 2024년 기준 세전 5억원 정도를 받는다.(품위유지비 등 포함)[1][2] 인구 감소의 시대임에도 공무원의 수는 증가하는 추세이다.[3] 최고위급 공무원을 정무직 공무원이라고 하지만 그냥 공무원이라고 부르는 경우도 많다.
동일한 일을 하더라도 회사에 소속되면 회사원이지만 정부에 소속되면 공무원이다.
장점
- 군인, 경찰, 소방관이 아닌 이상 업무 강도가 동일 직렬의 회사원보다 약하다.
- 큰 잘못을 저지르지 않는 한 해고 당하지 않으며 정년이 보장된다. 이 때문에 공무원 임용 시험 경쟁은 늘 치열하다.
- 일정 기간 이상 근무하면 퇴직 후 연금이 지급된다.
단점
- 급여가 회사원에 비해 낮다.
- 직군에 따라서는(직업 군인, 국립 초 중 고등학교 교사 등) 이사를 자주 다녀야 한다.
같이 보기
각주
- ↑ 정치인 중에서 정무직 공무원일 경우 비서관, 보좌관, 경호관, 수행기사 등을 제공받는 등의 예우를 받는다. 품위유지비, 업무추진비 등을 수여한다.
- ↑ “Discussions on the Political Neutrality of Public Servants: Its Concept, Normativity, and Feasibility”. 2021년 3월 3일. 2024년 2월 13일에 확인함.
- ↑ “인구감소시대, 역대 정권별 행정부 국가공무원 계속 증가 추세”. 2021년 7월 20일. 2024년 1월 29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