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류굴

울진 성류굴
(蔚珍 聖留窟)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천연기념물
종목천연기념물 제155호
(1963년 5월 7일 지정)
주소경상북도 울진군 근남면 구산리 산30
정보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정보

성류굴(聖留窟)은 경상북도 울진군 근남면 구산리의 원남층군 장군 석회암층 또는 조선 누층군 근남층 내에 발달하는 석회암 동굴이다. 천연기념물 제155호. 탱천굴(撑天窟) 또는 선유굴(仙遊窟)이라고도 한다. 주굴 길이 약 470m. 전체 길이 약 800m. 종유석·석순·석주 등이 다채로우며 왕피천이 흘러들어 지하호수를 형성해 경관이 특이하다.

개요

울진 성류굴은 불영사 계곡 부근에 있으며 길이는 915m(수중동굴구간 포함) 정도이다. 동굴은 석회암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색깔은 담홍색·회백색 및 흰색을 띠고 있다.

동굴 안에는 9곳의 광장과 수심 4∼5m의 물웅덩이 3개가 있으며, 고드름처럼 생긴 종유석(鐘乳石)·땅에서 돌출되어 올라온 석순(石筍)·종유석과 석순이 만나 기둥을 이룬 석주(石柱) 등 다양한 동굴생성물이 고루 분포하고 있다.

성류굴은 원래 신선들이 한가로이 놀던 곳이라는 뜻으로 선유굴이라 불리었으나 임진왜란(1592) 때 왜군을 피해 불상들을 굴안에 피신시켰다는데서 유래되어 성스런 부처가 머물던 곳이라는 뜻의 성류굴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또 임진왜란 때 주민 500여 명이 굴속으로 피신하였는데 왜병이 굴 입구를 막아 모두 굶어 죽었다고 전해진다.

울진의 성류굴에서는 지하 궁전과 같이 화려한 종유석과 석순, 석주 등 석회동굴에서 볼 수 있는 매우 아름답고 다양한 생성물들을 볼 수 있다.

문화유산

2019년 3월 21일 울진 성류굴 제8광장에서 정원 14년명을 비롯한 다수의 신라 시대 각석문(刻石文; 암석에 새긴 문자)이 발견되었다. 동굴 내 암벽과 석순, 석주 등에 새겨진 명문에는 경진년, 신유년, 갑진년, 정원 14년, 병부사, 화랑과 승려의 이름, 향도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후 심현용 학예연구사와 이용현 국립경주박물관 학예연구사가 공동판독한 결과, 신라 진흥왕(재위 540~576)이 성류굴에 행차하였음이 확인되었다. 아래 글은 "경진년(560년) 6월 일, 잔교(棧橋=柵)를 만들고, 뱃사공[榏父]을 배불리 먹였다. 여자 둘이 교대로 보좌하며 펼쳤다. 진흥왕이 다녀가셨다(행차하셨다). 세상에 도움이 된 이(보좌한 이)가 50인이었다."와 같이 해독된다. 이는 삼국사기와 같은 기존 문헌에도 없었던 것으로 신라 역사를 재구성하고 울진 성류굴의 역사적 위상을 밝힐 중요한 사료로 평가된다.[1]

叉金(또는 余)△(또는 朼·札) : 차금△또는 차여비·차여찰

庚辰六月日
柵作榏父飽
女二交右伸
眞興
王挙
世益者五十人

甲珎九月十一日
恅火△旦(?)
從(?)行
(갑진 9월 11일 노화△단종이 왔다 간다)

— 동굴 내 석주에 음각된 각석문.[1]

지질

성류굴은 울진군의 지질과 연관이 있다. 울진 지질도폭(1963)에 의하면 성류굴 일대 지역에는 선캄브리아기에 형성된 석회암 퇴적층 원남층군 장군석회암층이 분포한다. 장군 석회암층의 경우 삼척탄전 지역의 조선 누층군과 암상 및 층서가 유사해 고생대의 조선 누층군으로 분류된 바 있다.[2]

김련 외(2010)는 성류굴 주변의 퇴적암류를 조사하고, 기존에 알려져 있는 바와 다르게 고생대 조선 누층군 대기층, 화절층 그리고 동점층이 나타난다고 보고하였다. 하지만 동점층 상위에 두무골층막골층이 나타나는 삼척탄전 지역과는 달리 성류굴 암석은 두 층군의 구분이 뚜렷하지 않아 근남층으로 명명하였으며, 성류굴은 이 근남층 내에 발달하고 있다.[3]

대기층

성류굴 주변의 대기층은 주로 유백색의 괴상 결정질 석회암으로 이루어져 있다. 층리는 거의 없다.[3]

화절층

성류굴 주변의 화절층은 주로 리본암으로 구성되며 성류굴 주변의 노두대기층화절층의 점이적인 경계를 잘 보여준다.[3]

동점층

동점층은 성류굴의 입구 부분까지 나타나며, 주로 암록색의 사암 내지 규암으로 구성된다.[3]

근남층

동점층을 정합적으로 덮고 있는 주로 담회색 내지 암회색의 석회암은 암석 내에 화석이 거의 없으며, 심한 변성과 변형 작용을 받아 대부분 결정질 석회암으로 나타난다. 이 지층은 층서상 동점층 위에 있지만 암석의 구성은 태백 지역의 두무골층과는 많이 다르다. 또한 성류굴 주변에는 막골층과 대비되는 암석이 나오지 않는다. 따라서 김련 외(2010)는 성류굴 주변 지역에서 두무골층막골층을 설정하지 못하고 이 두 지층을 합하여 근남층을 제안했다.[3]

고지진

최진혁 등(2012)은 울진 성류굴 내 동굴생성물들을 대상으로 생성물들의 파괴 특성과 고지진과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를 시도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종유석, 석순, 석주, 동굴커튼 등 비교적 뚜렷한 파괴를 보이는 총 4종류의 동굴생성물에 대한 정밀 동굴조사를 실시하여 이들에 대한 기하 및 운동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석순과 석주 그리고 동굴커튼에 발달하는 단열이 고지진에 의해 파열되었을 가능성을 지시하고 있음이 드러났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는 천연기념물 보호법으로 인해 동굴 생성물들에 대해 접근과 시료 채취가 허가되지 않아 파괴된 생성물과 재성장한 생성물의 연대 측정은 실시하지 못하였다.

울진군에는 제4기에 활동한 매화 단층구산 단층이 발달한다. 두 단층에 대한 ESR 연대측정 결과는 각각 최소 약 22만년, 37만년 전으로 보고된 바 있다. 매화 단층과 구산 단층의 제4기 활동과 성류굴 내 동굴생성물의 파괴를 유발시킨 고지진이 서로 관련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4]

같이 보기

외부 링크

  • 성류굴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