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성구청역
수성구청(KBS)
(틀을잡은 국어학원) | |
---|---|
![]() 역명판 (문양 방면) | |
![]() 승강장 (문양 방면) | |
개괄 | |
관할 기관 | 대구교통공사 |
소재지 | 대구광역시 수성구 달구벌대로 지하2500 (범어동) |
좌표 | 북위 35° 51′ 32″ 동경 128° 38′ 08″ / 북위 35.858866° 동경 128.635633° |
개업일 | 2005년 10월 18일 |
역 번호 | 234 |
승강장수 | 1면 2선(섬식) |
거리표 | |
● 대구 도시철도 2호선 | |
문양 기점 20.0 km | |
|
수성구청(KBS)역(Suseong-gu Office station, 壽城區廳(KBS)驛)은 대구광역시 수성구 범어동에 있는 대구 도시철도 2호선의 전철역이다. 부역명은 KBS로, 인근에 KBS대구방송총국이 있다.
심야에 1편성이 주박하며, 유치선은 만촌네거리 방향에 있다.
특징
개통 초기에 수성구청 인근에 있다고 해서 수성구청역으로 명명했으나, 2010년 범어2동에 범어월드프라자 및 범어역 출구를 신설한 이후 수성구청은 범어역 7번 출구에서 더 가깝다.
역 주변은 대입 전문 학원가들이 많아서, 대입 재수생들 및 고등학교 재학생들의 이용률이 높다. 주변 지역의 지대가 높지 않지만, 역 깊이가 깊은 편(30m 이상. 지하 5층에 승강장이 있음)이다. 영남대행 막차 이후 심야에 수성구청역 종착 1편성이 운행 종료 후 주박하고, 다음 날 아침 문양행 첫차로 출발한다.
2014년 2월 28일 수성구청역에서 수성구청(KBS)역으로 역명이 변경되었다.[1] 대한민국에서 공식 역명에 알파벳이 들어간 최초의 역이다.
기점인 문양역과 정확히 20km 떨어져 있는 역이다.
역 구조
1면 2선의 하얀색 기둥의 섬식 승강장이 있는 지하역이다.
역사
승강장
범어 ↑ |
| 하 상 | |
↓ 만촌 |
상행 | ● 대구 도시철도 2호선 | 반월당·용산·문양 방면 |
---|---|---|
하행 | 신매·사월·영남대 방면 |
- 승강장에서 반대 방향 열차로 탑승할 수 있다.
역 주변
- KBS대구방송총국
- 경남타운
- 가든하이츠
- 범어SK뷰아파트
- 뉴대공원아파트
- 우방하이니스
- 송원학원
- 지성학원
- 경신고등학교
- 우방청솔맨션
- 남부시장
- 대공원시장
- 동대구농협
- 범어2동 주민센터
- 범어2동 우체국
- 범어4동 주민센터
- 만촌1동
- 범어의류로데오타운
- 새범어아파트
- 천주교 대구대교구 성김대건성당
- 천주교 대구대교구 만촌1동성당
- 흥사단대구지부
- 대동우편취급소
- 틀을잡는국어학원
승차량 변동
노선 | 승차 인원[2] | 주석 | ||||||||||||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
2호선 | 3,466 | 4,353 | 4,313 | 4,523 | 4,684 | 4,468 | 4,740 | 4,816 | 5,123 | 5,062 | 4,999 | 5,106 |
사진
-
역명판
-
개찰구
-
1번 출입구
-
2번 출입구
-
3번 출입구
-
4번 출입구
인접한 역
대구 도시철도 2호선 | ||
---|---|---|
233 범어 문양 방면 |
● 대구 도시철도 2호선 | 235 만촌 영남대 방면 |
각주
- ↑ “《개명 신남역 ‘서문시장역’ 표기 수두룩》. 대구일보. 2014년 4월 2일 작성.”. 2014년 5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4월 30일에 확인함.
- ↑ 원자료는 알림판>지하철자료실>통계자료, 대구지하철 승객량 통계 1997~2008 Archived 2009년 1월 30일 - 웨이백 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