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로바키아 인민당
흘린카의 슬로바키아 인민당
Hlinkova slovenská ľudová strana | |||
| |||
약칭 | HSĽS-SSNJ | ||
---|---|---|---|
표어 | 신과 국민을 위하여 (슬로바키아어: Za boha, za národ! 자 보하, 자 나로드!) | ||
상징색 | 청, 적, 백 | ||
이념 | 정치 가톨릭[1][2] 슬로바키아 내셔널리즘[1] 국수주의[1] 교권파시즘[3][4] 국민보수주의[5][6] 조합주의[7] 국민가톨릭[3][4] 반공주의[8][9] 헝가리어 정서[8][9] 반유대주의[8][9] 나치즘 (소수)[8][9] | ||
스펙트럼 | 1938년 이전 : 우익~극우 1938년 이후 : 극우 | ||
종교 | 천주교 | ||
당원(1936) | 36,000 | ||
당직자
| |||
당수 | 안드레이 흘린카 (1913년-1939년) 요제프 티소 (1939년-1945년) | ||
역사
| |||
창당 | 1913년 7월 29일 | ||
해산 | 1945년 5월 8일 | ||
내부 조직
| |||
청년조직 | 흘린카 청년단 | ||
준군사조직 | 로도브라나 (1923년-1927년) 흘린카 위병대 (1938년-1945년) | ||
|
흘린카의 슬로바키아 인민당 - 슬로바키아 민족협동당(슬로바키아어: Hlinkova slovenská ľudová strana - Strana slovenskej národnej jednoty; HSĽS-SSNJ 흘린코바 슬로벤스카 류도바 스트라나 - 스트라나 슬로벤스케이 나로드네이 예드노티; 하에스엘에스-에스에스엔예)은 로마 가톨릭교회 사제인 안드레이 흘린카(Andrej Hlinka)가 창당한 슬로바키아의 우익 보수정당으로, 기독교 정치 및 국민주의적 성향을 지녔다. 그 당원들을 루다크(슬로바키아어: Ludaks)라고 했다.
HSĽS는 슬로바키아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일부였던 시절에 창당되었다. 이들은 슬로바키아 국민 국가의 독립을 요구하는 한편 자유주의에 반대했다. 체코슬로바키아 제1공화국이 수립된 뒤 HSĽS는 체코슬로바키아주의를 거부하고 슬로바키아인의 자치를 요구했다. 1930년대 하반기 들어 유럽 곳곳에 전체주의 정권들이 들어서면서 HSĽS도 그 흐름을 따라 급진화되었다. 체코슬로바키아가 나치 독일에 합병된 뒤 세워진 괴뢰국 체코슬로바키아 제1공화국의 유일 집권당이 되었다.
초대 당수는 천주교 사제인 안드레이 흘린카였으며, 후반기 당수는 역시 천주교 사제인 요제프 티소였다.
이름
년도 | 이름 | 원어 이름 |
---|---|---|
1905년 ~ 1925년 | 슬로바키아 인민당 | Slovenská ľudová strana 슬로벤스카 류도바 스트라나 |
1925년 ~ 1938년 | 흘린카의 슬로바키아 인민당 | Hlinkova slovenská ľudová strana 흘린코바 슬로벤스카 류도바 스트라나 |
1938년 ~ 1945년 | 흘린카의 슬로바키아 인민당 - 슬로바키아 민족협동당 | Hlinkova slovenská ľudová strana - Strana slovenskej národnej jednoty 흘린코바 슬로벤스카 류도바 스트라나 - 스트라나 슬로벤스케이 나로드네이 예드노티 |
같이 보기
각주
- ↑ 가 나 다 Felak, James R. (1994). 《"At the Price of the Republic": Hlinka's Slovak People’s Party, 1929–1938》. University of Pittsburgh Press. 39쪽.
- ↑ Suppan, Arnold (2004). 《Catholic People's Parties in East Central Europe: The Bohemian Lands and Slovakia》. 《Political Catholicism in Europe 1918-1945》 1 (Routledge). 178, 187쪽.
- ↑ 가 나 Cameron, Rob (2016년 3월 6일). “Marian Kotleba and the rise of Slovakia's extreme right”. BBC News. 2016년 12월 13일에 확인함.
- ↑ 가 나 Lettrich, Jozef (2012). 《Dejiny novodobého Slovenska》. Nadácia Dr. Jozefa Lettricha. 285쪽. ISBN 978-80-971152-5-8.
- ↑ Camus, Jean-Yves (2016). 《Far-Right Politics in Europe》. Harvard University Press. 242쪽.
- ↑ Davies, Peter (2002). 《The Routledge Companion to Fascism and the Far Right》. Psychology Press. 265쪽.
- ↑ Trubačík, Josef (2011). 《Economy of the First Slovak Republic from the Point of View of Contemporary Czech and Slovak Economists》 (PDF). Masaryk University. 81쪽.
- ↑ 가 나 다 라 Kamenec 2013, 107쪽.
- ↑ 가 나 다 라 Baka 2010.
![]() |
이 글은 정치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