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데닐릴화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9/97/AMPylation_Before.png/220px-AMPylation_Before.png)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4/4d/AMPylation_After.png/220px-AMPylation_After.png)
아데닐릴화(영어: adenylylation)[1][2]는 아데노신 일인산(AMP) 분자가 단백질의 아미노산 곁사슬에 공유 결합되는 과정이다.[3] 아데닐화(영어: adenylation), AMP화(영어: AMPylation)라고도 한다. 단백질 곁사슬의 하이드록실기에 AMP를 공유 결합으로 첨가하는 것은 번역 후 변형이다.[4] 아데닐릴화는 아데닐릴화를 겪는 분자의 하이드록실기와 뉴클레오타이드인 아데노신 일인산(즉, 아데닐산)의 인산기 사이의 포스포다이에스터 결합을 포함한다. 이 과정을 촉매할 수 있는 효소를 AMPylator라고 한다.
같이 보기
각주
- ↑ Han KK, Martinage A (1992). “Post-translational chemical modification(s) of proteins”.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Biochemistry》 24 (1): 19–28. doi:10.1016/0020-711x(92)90225-p. PMID 1582530.
- ↑ Garrett RH, Grisham CM (2007). 《Biochemistry》 3판. Belmont, CA: Thomas. 815–20쪽.
- ↑ Itzen A, Blankenfeldt W, Goody RS (April 2011). “Adenylylation: renaissance of a forgotten 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 《Trends in Biochemical Sciences》 36 (4): 221–8. doi:10.1016/j.tibs.2010.12.004. PMID 21256032.
- ↑ Woolery AR, Luong P, Broberg CA, Orth K (2010). “AMPylation: Something Old is New Again”. 《Frontiers in Microbiology》 1: 113. doi:10.3389/fmicb.2010.00113. PMC 3095399. PMID 216070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