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몬틸라도의 술통
〈아몬틸라도의 술통 〉("The Cask of Amontillado" )은 에드거 앨런 포 의 단편소설이다. 1846년 11월 《고디 여성지》(Godey's Lady's Book )에 투고되었다.
이름을 알 수 없는 이탈리아 의 한 도시에 어느 해인지 알 수 없지만 사육제 기간을 배경으로 삼고 있다. 주인공은 자신을 모욕했다고 생각되는 친구에게 죽음으로 복수하려고 한다. 포의 다른 소설들과 마찬가지로 이 작품도 19세기 환상적 색채가 강하다. 생매장 이 주요 소재로, 〈검은 고양이 〉, 〈고자질하는 심장 〉과 마찬가지로 살인자가 주인공이자 서술자인 1인칭 소설이다.
사실 Amontillado는 '아몬틸라도' 가 아닌 스페인어 발음인 ' 아몬티야도 ' 로 발음된다.
시문학
〈타메를란 〉(1827년)
〈알 아라아프〉(1829년)
〈과학에 바치는 소네트〉(1829년)
〈헬렌에게〉(1831년)
〈바닷속 도시〉(1831년)
〈귀신들린 궁전〉(1839년)
〈정복자 구더기〉(1843년)
〈레노어〉(1843년)
〈에우랄리에〉(1843년)
〈도래까마귀 〉(1845년)
〈울랄름〉(1847년)
〈몽중몽〉(1849년)
〈엘도라도〉(1849년)
〈종〉(1849년)
〈애너벨 리 〉(1849년)
단편소설
〈메쳉거슈타인〉(1832년)
〈봉봉〉(1832년)
〈병 속에서 발견된 원고〉(1833년)
〈베레니케〉(1835년)
〈모렐라〉(1835년)
〈한스 프팔의 미증유의 모험〉(1835년)
〈라이지아〉(1838년)
〈곤경〉(1838년)
〈종탑 안의 악마〉(1839년)
〈소모된 남자〉(1839년)
〈어셔 가문의 몰락〉(1839년)
〈윌리엄 윌슨〉(1839년)
〈에이로스와 카르미온의 대화〉(1839년)
〈사업가〉(1840년)
〈군중 속의 남자〉(1840년)
〈모르그 가의 살인 사건 〉(1841년)
〈마엘스트롬 속으로의 하강〉(1841년)
〈악마에게 머리를 걸지 마라〉(1841년)
〈엘레오노라〉(1841년)
〈타원형 초상화〉(1842년)
〈적사병의 가면극 〉(1842년)
〈마리 로제의 수수께끼 〉(1842년)
〈구덩이와 진자 〉(1842년)
〈고자질하는 심장 〉(1843년)
〈황금충 〉(1843년)
〈검은 고양이 〉(1843년)
〈안경〉(1844년)
〈누더기 산맥 이야기〉(1844년)
〈성급한 매장 〉(1844년)
〈직사각형 상자〉(1844년)
〈괴짜들의 천사〉(1844년)
〈그대가 범인이다! 〉(1844년)
〈도둑맞은 편지 〉(1844년)
〈미라와 함께 몇 마디〉(1845년)
〈심술궂은 임프〉(1845년)
〈타르 박사와 페더 교수의 치료법〉(1845년)
〈M. 발데마르 사건의 진상〉(1845년)
〈아몬틸라도의 술통 〉(1846년)
〈절름발이 개구리〉(1849년)
소논문
〈마엘젤의 체스 플레이어〉(1836년)
〈가구의 철학〉(1840년)
〈위사히콘에서 아침을〉(1844년)
〈작법 이론서〉(1846년)
〈시의 원리〉(1846년)
《유레카: 산문시》(1848년)
장편소설 단행본 희곡 그 외
《패류학자의 첫걸음》(1839년)
《열기구 보고서》(1844년)
《등대》(1849년)
참조 사항
버지니아 엘자 클렘 포(아내)
엘리자 포(모친)
데이비드 포 주니어(부친)
윌리엄 헨리 포(형제)
에드거 앨런 포 시골집
에드거 앨런 포 생가 및 박물관
에드거 앨런 포 국립사적지
《스타일러스》
죽음
에드거상
포의 건배자
The article is a derivative under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ShareAlike License .
A link to the original article can be found here and attribution parties here
By using this site, you agree to the Terms of Use . Gpedia ® is a registered trademark of the Cyberajah Pty Lt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