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킬레스 수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f/f6/Achilles_number_Cuisenaire_rods_72.png/250px-Achilles_number_Cuisenaire_rods_72.png)
아킬레스 수(영어: Achilles number)는 모든 소인수에 거듭제곱이 포함된 강력수 중 거듭제곱수가 아닌 수로, ‘강력하지만 완벽하지는 않은 수’를 의미한다. 즉, 어떤 자연수에 “소인수가 두 개 이상이고, 그 자연수의 모든 소인수가 거듭제곱이지만, 지수가 서로소인 경우”를 아킬레스 수로 정의한다.
아킬레스 수의 예
예로, 72는 소인수분해하면 이다. 소인수가 2, 3으로 2개이고, 두 소인수의 지수가 모두 2 이상이지만 서로소다. 따라서 72는 아킬레스 수다.
1만보다 작은 아킬레스 수는 다음과 같다. (OEIS의 수열 A052486)
- 72, 108, 200, 288, 392, 432, 500, 648, 675, 800, 864, 968, 972, 1125, 1152, 1323, 1352, 1372, 1568, 1800, 1944, 2000, 2312, 2592, 2700, 2888, 3087, 3200, 3267, 3456, 3528, 3872, 3888, 4000, 4232, 4500, 4563, 4608, 5000, 5292, 5324, 5400, 5408, 5488, 6075, 6125, 6272, 6728, 6912, 7200, 7688, 7803, 8575, 8712, 8748, 8788, 9000, 9248, 9747, 9800, …
같이 보기
![]() |
이 글은 수학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