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스트로이메리아과
알스트로이메리아과 | ||
---|---|---|
Alstromeria aurea | ||
생물 분류ℹ️ | ||
계: | 식물계 | |
(미분류): | 속씨식물군 | |
(미분류): | 외떡잎식물군 | |
목: | 백합목 | |
과: | 알스트로이메리아과 (Alstroemeriaceae) Dumort. | |
족 | ||
|
알스트로이메리아과는 속씨식물과 중 하나이다. 3~4개 속에 200여 종을 포함하고 있으며, 중앙아메리카에서 남부의 남아메리카에 이르는 아메리카가 원산지이다. 2003년의 APG II 분류 체계는 이 과를 외떡잎식물군 내의 백합목으로 분류했다.[1][2]
하위 분류
- 알스트로이메리아족 (Alstroemerieae)
- 알스트로이메리아속 (Alstroemeria)
- Bomarea
- Leontochir
- Schickendantzia (일부 분류학자들은 알스트로이메리아속에 포함시킨다.)
- 루주리아가족 (Luzuriageae)
- Drymophila R.Br.
- Luzuriaga Ruiz & Pav. (이명.: Enargea Banks ex Gaertn.)
흔히 "페루백합"으로 불리는 알스트로이메리아속(Alstroemeria)는 대중적인 원예 및 정원용 화훼식물이다. 보마레아속(Bomarea)은 다양한 색깔의 종 모양의 꽃들 송이를 만드는 일종의 덩굴식물이다.
계통 분류
다음은 백합목의 계통 분류이다.[3]
백합목 |
| ||||||||||||||||||||||||||||||||||||||||||||||||
갤러리
-
에콰도르 남부의 Bomarea sp.
각주
- ↑ Aagesen, L. & A. M. Sanso. (2003). “The phylogeny of the Alstroemeriaceae, based on morphology, rps16 intron, and rbcL sequence data”. 《Syst. Bot.》 28 (58).
- ↑ Sanso, A. M. & C. C. Xifreda (1997). “A morphological and taxonomic appraisal of the monotypic South American genus Schickendantzia (Alstroemeriaceae)”. 《Scripta Bot. Belgica》 15 (139).
- ↑ APG IV (2016).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V”. 《Botanical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181 (1): 1–20. doi:10.1111/boj.12385.
외부 링크
- 위키미디어 공용에 알스트로이메리아과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Alstroemeriaceae Archived 2006년 4월 24일 - 웨이백 머신 in L. Watson and M.J. Dallwitz (1992 onwards), The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rchived 2007년 1월 3일 - 웨이백 머신.
- NCBI Taxonomy Browser
- links at CSDL, Texas Archived 2008년 10월 13일 - 웨이백 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