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 무손실
![]() | |
개발자 | 애플 |
---|---|
발표일 | 2004년 4월 28일 |
안정화 버전 | 2011년 10월 28일
|
저장소 | |
운영 체제 | 크로스 플랫폼 |
종류 | 오디오 코덱, 오디오 파일 포맷 |
라이선스 | 아파치 라이선스 2.0 |
웹사이트 | 애플 무손실 오디오 코덱 프로젝트 |
파일 확장자 | .m4a .caf |
---|---|
개발 | 애플 |
포맷 종류 | 무손실 오디오 |
다음에 포함 | MPEG-4 파트 14 |
오픈 포맷? | 예 |
애플 무손실(Apple 無損失) 또는 ALE(Apple Lossless Encoder) 또는 ALAC(Apple Lossless Audio Codec, /əˈlæk/)은 애플에서 개발한 디지털 음악의 무손실 압축 오디오 코덱이다.
애플 무손실 코덱의 데이터는 MP4의 컨테이너에 저장되어 있으며 .m4a 파일 확장자를 사용한다. 이 확장자는 MP4 컨테이너에 들어있는 AAC 오디오 데이터에도 쓰이지만 AAC의 변형은 아니고, 다른 무손실 코덱인 FLAC와 Shorten와 유사한 점을 보인다.[1] 아이팟의 최신 펌웨어는 애플 무손실로 인코딩된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ALAC에는 여러 DRM 계획이 짜여지지 않았지만 원래 컨테이너에 의하면 ALAC는 다른 퀵타임 컨테이너를 사용하는 파일들처럼 DRM을 장착할 수 있다.
역사
애플 무손실 인코더는 2004년 4월 28일, 퀵타임 6.5.1의 구성 요소로 발표되었고, 그래서 아이튠즈 4.5에서도 사용되었다.[2] 또한 에어포트 익스프레스의 Airtune에 구현된 바 있다.
데이비드 해머턴(David Hammerton)과 코디 브로셔스(Cody Brocious)는 포맷에 대한 문서 없이 이 코덱을 해석하고 디코딩하였다. 2005년 5월 5일, 해머턴은 역공학에 기반을 둔 C로 만든 간단한 오픈 소스 디코더를 만들어내었다.[3]
2011년 10월 말 애플이 아파치 라이선스로 공개하여 오픈 소스가 되었다.[4][5][6]
같이 보기
각주
- ↑ Hammerton, David (2005년 3월 1일). “Re: Apple Lossless Audio Codec: Issues surrounding the release of my code?”. Gmane. 2007년 2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6년 11월 5일에 확인함.
- ↑ “QuickTime 6.5.1 adds Lossless Encoder, improves AAC”. 《Macworld》. 2004년 4월 28일. 2016년 1월 24일에 확인함.
- ↑ “ALAC”. Crazney.net. 2004. 2012년 6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6월 27일에 확인함.
- ↑ “Apple Lossless Audio Codec”. MacOS Forge. 2011년 10월 27일. 2011년 10월 29일에 확인함.
- ↑ Foresman, Chris (2011년 10월 28일). “After seven years, Apple open sources its Apple Lossless Audio Codec”. Ars Technica. 2011년 10월 29일에 확인함.
- ↑ von Eitzen, Chris (2011년 10월 28일). “Apple open sources its ALAC lossless audio codec”. The H. 2012년 5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10월 29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