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리라족
올리라족 | ||
---|---|---|
Olyra latifolia | ||
생물 분류ℹ️ | ||
계: | 식물계 | |
(미분류): | 속씨식물군 | |
(미분류): | 외떡잎식물군 | |
(미분류): | 닭의장풀군 | |
목: | 벼목 | |
과: | 벼과 | |
아과: | 대나무아과 | |
족: | 올리라족 Olyreae Kunth ex Spenn., 1825 | |
모식종 | ||
올리라속(Olyra L.) | ||
[출처 필요] | ||
속 | ||
|
올리라족(olyra族, 학명: Olyreae 올리레아이[*])은 대나무아과의 족이다.[1] 올리라족은 다른 2개의 대나무 족 분류와 달리, 목질성 줄기가 아닌 초본성 줄기를 갖고 있다. 자매군은 열대성 목질 대나무인 대나무족이다.[2] 올리라족 대나무는 습한 열대 숲의 하층에서 자란다. 주로 아마존 분지와 같은 신열대구에 분포하지만, 아프리카에 1종(올리라 라티폴리아, Olyra latifolia) 뉴기니에 1종(부에르게르시오클로아 밤부소이데스, Buergersiochloa bambusoides)이 발견된다.[2]
3아족 21속으로 분류한다.[3]
하위 분류
계통 분류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 괄호 안의 숫자는 추정되는 종의 수이다.[7]
벼과 |
| ||||||||||||||||||||||||||||||||||||||||||||||||||||||||||||||||||||||||||||||
각주
- ↑ Kunth, Karl Sigismund. Flora Friburgensis 1: 172. 1825.
- ↑ 가 나 Kelchner S, Bamboo Phylogeny Working Group (2013). “Higher level phylogenetic relationships within the bamboos (Poaceae: Bambusoideae) based on five plastid markers” (PDF). 《Molecular Phylogenetics and Evolution》 67 (2): 404–413. doi:10.1016/j.ympev.2013.02.005. ISSN 1055-7903. 2015년 6월 5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7월 25일에 확인함.
- ↑ Soreng, Robert J.; Peterson, Paul M.; Romaschenko, Konstantin; Davidse, Gerrit; Zuloaga, Fernando O.; Judziewicz, Emmet J.; Filgueiras, Tarciso S.; Davis, Jerrold I.; Morrone, Osvaldo (2015). “A worldwide phylogenetic classification of the Poaceae (Gramineae)”. 《Journal of Systematics and Evolution》 53 (2): 117–137. doi:10.1111/jse.12150. ISSN 1674-4918.
- ↑ Clark, Lynn G. & Judziewicz, Emmet Joseph. Aliso 23: 311. 2007.
- ↑ Krombach, Johann Heinrich Wilhelm. Flore du Grand-Duche de Luxembourg 496. 1875.
- ↑ Hackel, Eduard. Die Natürlichen Pflanzenfamilien 2(2): 88. 1887.
- ↑ Grass Phylogeny Working Group II (2012). “New grass phylogeny resolves deep evolutionary relationships and discovers C4 origins”. 《New Phytologist》 193 (2): 304–312. doi:10.1111/j.1469-8137.2011.03972.x. PMID 22115274.
이 글은 벼목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