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서군
요서 지방의 다른 이름이자 중국어 표현에 대해서는 랴오시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요서군(遼西郡)은 중국의 옛 군이다.
전한
유주자사부에 속했다.[1] 작은 강이 48개 있어 함께 3046리를 간다. 원시 2년(2년)의 인구조사에 따르면 72,654호, 352,325명이 있었다. 아래의 속현 목록은 《한서》지리지의 내용이다.[2][1] 원연·수화 연간(기원전 8년 무렵)의 현황으로 여겨지며, 총 14현이다. 치소는 고제의 사당이 있는 저려현일 가능성이 높고, 나중에 후한 시절의 치소인 양락현으로 옮겼을지도 모른다.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저려현 | 且慮縣 | 진저우시 이현 북부 일대 | 고제의 사당[高廟]이 있다. |
해양현 | 海陽縣 | 탕산시 롼현 남서부 | 용선수(龍鮮水)가 동으로 봉대수(封大水)로 들어간다. 봉대수와 수허수(綏虛水)가 모두 남으로 바다로 들어간다. 염관이 있다. |
신안평현 | 新安平縣 | 탕산시 롼현 북서부 | 이수(夷水)가 동으로 새외로 들어간다. |
유성현 | 柳城縣 | 차오양시 남서부 | 마수산(馬首山)이 남서에 있다. 참류수(參柳水)가 북으로 바다로 들어간다. 서부도위의 치소가 있다. |
영지현 | 令支縣 | 탕산시 첸안시 서부 | 고죽성(孤竹城)이 있다. 응소에 따르면 옛 백이의 나라다. |
비여현 | 肥如縣 | 친황다오시 루룽현 북부 | 현수(玄水)가 동으로 난수(濡水)로 들어간다. 난수가 남으로 바다로 들어간다. 또 노수(盧水)가 있어 남으로 현수로 들어간다. 응소에 따르면 옛 비(肥)나라 임금[肥子]이 연나라로 망명한 후 연나라에서 받은 땅이라 한다. |
빈종현 | 賓從縣 | 진저우시 북부 | |
교려현 | 交黎縣 | 진저우시 이현 | 유수(渝水)가 새외에서 갈라져 나와 남으로 바다로 들어간다. 동부도위의 치소가 있다. |
양락현 | 陽樂縣 | 진저우시 이현 서부 | |
호소현 | 狐蘇縣 | 차오양시 남동부 | 당취수(唐就水)가 도하현에 이르러 바다로 들어간다. |
도하현 | 徒河縣 | 진저우시 | |
문성현 | 文成縣 | 후루다오시 젠창현 동부 | |
임유현 | 臨渝縣 | 차오양시 동부 | 유수(渝水)가 백랑에서 갈려져나와 동으로 새외로 들어간다. 또 후수(侯水)가 있어 북으로 유수로 들어간다. |
누현 | 絫縣 | 친황다오시 창리현 남부 | 하관수(下官水)가 남으로 바다로 들어간다. 또 갈석수(揭石水)와 빈수(賓水)가 있어 모두 남으로 관수로 들어간다. |
신
다음 현의 이름을 고쳤다.
전한 | 신 |
---|---|
저려 | 서려(鉏慮) |
영지 | 영지정(令氏亭) |
비려 | 비이(肥而) |
빈종 | 면무(勉武) |
교려 | 금로(禽虜) |
도하 | 하복(河福) |
문성 | 언로(言虜) |
임유 | 빙덕(馮德) |
누 | 선무(選武) |
후한
후한이 건국된 이후 만리장성이남으로 오환이 남하하면서 해양현, 영지현, 비려현, 임유현, 양락현의 5개현을 제외한 모든 현들이 폐지되거나 진저우시 일대에 신설된 요동속국으로 이관되었다. 5현에서 14,150호 81,714명을 거느렸다.[3] 후한시기 교려현이 '창려현(昌黎縣)'으로 개칭되었다.
전한 | 후한 | ||
---|---|---|---|
요서군 | 해양현, 영지현, 비려현, 임유현, 양락현 | 요서군 | 해양현, 영지현, 비려현, 임유현, 양락현 |
도하현, 빈종현, 교려현 | 요동속국 | 도하현, 빈종현, 교려현 | |
저려현, 신안평현, 유성현, 호소현, 문성현, 누현 | 폐지 | 저려현, 신안평현, 유성현, 호소현, 문성현, 누현 |
후한말, 유성현의 고지에 오환이 거점을 세워 조조에게 대항한 적이 있었다.
위진
3현 2,800호를 거느렸다.[4]
현명(한자) | 현명(한글) | 대략적 위치 | 비고 |
---|---|---|---|
陽樂縣 | 양락현 | 변함 없음 | |
肥如縣 | 비려현 | ||
海陽縣 | 해양현 |
조위 말대부터 선비족이 난하유역에 정착하였는데, 선비족중 우문부, 단부선비가 요서군 일대에, 모용부가 창려군일대에 정착했다.
영가의 난이후 모용부가 유성현의 고성북쪽에 도성을 쌓고 이를 '용성'으로 삼았다.
북조
북위대의 요서군은 3현 537호 1,905명을 거느렸다. 평주로 소속이 이관되었다.
현명(한자) | 현명(한글) | 대략적 위치 | 비고 |
---|---|---|---|
肥如縣 | 비려현 | 변화 없음 | 고죽산사(孤竹山祠)와 갈석산(碣石山), 무왕사(武王祠), 영지성(令支城), 황산(黃山), 난하(濡河)가 있다. 평주자사부가 있었다. 낙랑군의 주민들이 현 서부지역에 정착하면서 서부지역에서 낙랑군이 설치되었다. |
陽樂縣 | 양락현 | (태평진군 7년) 영지현, 함자현을 통폐합했다. 무력산(武歷山), 복주산(覆舟山), 임유산(林榆山), 태진산(太眞山)이 있다. | |
海陽縣 | 해양현 | 횡산(橫山), 신부산(新婦山), 청수(淸水)가 있다. |
북위이후 영주로 소속이 옮겨졌다.
수
개황초 총관부를 두었다가 대업초에 폐지했다. 1현 751호를 거느렸다.[5]
현명(한자) | 현명(한글) | 대략적 위치 | 비고 |
---|---|---|---|
柳城縣 | 유성현 | 차오양 시 | 북위가 화룡성에 설치한 영주는 건덕군, 기양군, 창려군, 요동군, 낙랑군, 영구군 등의 군과 용성현(龍城縣), 대흥현(大興縣), 영락현(永樂縣), 대방현(帶方縣), 정황현(定荒縣), 석성현(石城縣), 광도현(廣都縣, 現 후루다오 시 젠창 현), 양무현(陽武縣), 양평현(襄平縣), 신창현(新昌縣), 평강현(平剛縣, 現 차오양 시 링위안 시 서), 유성현(柳城縣, 차오양), 부평현(富平縣)등의 현을 관할했다. 북제에서 건덕군, 기양군, 영락현, 대방현, 용성현, 대흥현을 유지하고 나머지는 모두 폐지했다. 581년(수문제 개황 원년), 건덕군, 용성현을 남기고 나머지를 모두 폐지되었다. 남은 건덕군이 폐지되면서 용성현은 용산현으로 격하되었다. 598년(수문제 개황 18년) 용산현을 유성현으로 개명했고 대업초에 요서군을 신설했다. 대방산(帶方山), 독려산(禿黎山)、계명산(雞鳴山)、송산(松山), 유수(渝水)、백랑수(白狼水)가 현경내에 있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