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효대교
원효대교 | |
---|---|
![]() 원효대교 | |
교통시설 | 여의대방로 |
횡단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와 용산구 사이의 한강 |
국적 | ![]() |
관리 | 서울특별시청 |
구조 | 거더교 |
길이 | 1,470m |
폭 | 20m |
착공일 | 1978년 7월 |
개통일 | 1981년 10월 27일 |
통행요금 | 1983년 2월 무료화 |
위치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 용산구 한강로3가 |
원효대교(元曉大橋)는 서울특별시의 한강에 위치한 다리이다. 용산구 원효로4가와 영등포구 여의도동을 잇는다. 1978년 7월에 착공[1], 1981년 10월 27일에 완성되었다. 폭은 20미터 (차도폭 15.4미터, 보도폭 4.6미터[2])에, 4차선 규모로 총연장 1,120미터 길이를 지니고 있다.[3] 원효대교는 지보공이 없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장대교량이다.[4]
원효대교는 독일의 디비닥 공법 및 프리 캔틸레버 공법을 이용하여 건설되었다.[2] 원래 동아건설(주)[1]에서 건설했다.
서울특별시는 대한민국 최초로 디비닥 공법을 도입하여 건설한 원효대교를 보존가치가 충분하다고 여겨 서울시미래유산으로 선정하였다. 원효대교 남쪽에 63빌딩이 있다.
연혁
- 1978년 7월 : 착공
- 1981년 10월 27일 : 개통
- 1981년 12월 10일 : 통행료 징수 개시[5]
- 1983년 2월 1일 : 동아건설이 서울시에 원효대교를 헌납하면서 통행료 징수 폐지[6]
통행료
1981년 12월 10일부터 통행료를 징수했으나, 차량통행이 워낙 적은데다 통행료를 부과하는 바람에 차량들이 통행을 기피하면서 가로등 전력비도 뽑지 못하여 이후 1983년 2월 1일 동아건설이 서울특별시에 헌납하였다.[1] 다리의 소유권을 서울특별시에 기부한 이후 톨게이트는 철거되었다.[3]
아래는 1981년 12월 10일부터 1983년 2월 1일까지 징수한 통행 요금표이다.
구분 | 통행료 |
---|---|
2륜, 3륜차 | 100원 |
승용차, 버스, 화물차 | 200원 |
특수차(10t 이상) | 200원 |
관련 작품
영화
2006년 개봉되었던 대한민국 영화 괴물의 감독 봉준호는 원효대교를 영화 내 삽입된 전투 장면의 배경으로 결정했다. 영화 속에서 원효대교는 괴물이 은신하는 장소이자, 영화 내에서 주인공의 딸이 납치되는 장소이다. 낙점의 이유는 다리 아래에 있는 하수구가 영화의 컨셉과 맞기 때문이었으며, 또 다른 이유로는 원효대교의 외관이 다른 다리와는 달리 다이내믹하고 긴장감을 주기 때문이었다는 것이다.[4]
-
야경
-
소방공무원(소방관) 활동 사진 수난구조
-
원효대교
각주
- ↑ 가 나 다 엔싸이버. “엔싸이버: 원효대교”. 2008년 10월 26일에 [http://www.encyber.com/search_w/ctdetail.php?
gs=ws&gd=&cd=&q=&p=&masterno=120736&contentno=120736 원본 문서]
|url=
값 확인 필요 (도움말)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7월 5일에 확인함.|url=
에 라인 피드 문자가 있음(위치 46) (도움말) - ↑ 가 나 브리태니커 세계 대백과사전. “엔사이클로피디아 브리타니카:원효대교”. 2004년 9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7월 5일에 확인함.
- ↑ 가 나 “○ 원효대교(元曉大橋)”. 2005년 12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7월 5일에 확인함.
- ↑ 가 나 조선일보 (2006년 8월 2일). “테마기획: 원효대교 '큰 하수구' 발견 영화 배경 낙점”. 2013년 10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7월 5일에 확인함.
- ↑ 서울특별시공고 제355호, 1981년 12월 5일.
- ↑ 서울특별시공고 제46호, 1983년 1월 29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