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에서와 같이 아래에서도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ko/d/de/RWS_Tarot_01_Magician.jpg)
위에서와 같이 아래에서도(As above, so below)는 헤르메스교의 경전인 『녹옥판』에 나오는 유명한 구절이다.
- 라틴어: Quod est superius est sicut quod inferius, et quod inferius est sicut quod est superius.[1]
- 영어: That which is above is like to that which is below, and that which is below is like to that which is above.
- 한국어: 위에서와 같이 아래에서도, 그리고 아래에서와 같이 위에서도
철학사학자, 과학사학자들은 이 문장을 천체의 움직임("위")이 지구상의 사건("아래")에 영향을 미친다는 관념을 표현한 것이라고 이해해 왔다. 태양은 계절의 변화를 야기하고, 달은 조석을 일으키는 것이 대표적이다. 또한 그보다도 미세한 점성적 효과까지 포함한 문장이라는 것이다.[2][3] 또한 대우주(고대 그리스어: makros kosmos 마크로스 코스모스[*])와 소우주(고대 그리스어: mikros kosmos 미크로스 코스모스[*]), 즉 세계와 인간 사이의 구조적 유사성, 또는 감응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기도 한다.[4]
근대의 은비학자들은 이 “아래에서와 같이 위에서도”라는 문장을 에마누엘 스베덴보리의 대우주-소우주간의 감응신학에 기반해서 받아들였고, 또한 널리 대중화시켰다. 이 분야에서 대표적인 선구자가 신지학 협회의 헬레나 블라바츠키다.[5] 블라바츠키는 이 문장에 스베덴보리 철학 뿐 아니라 피타고라스, 카발라, 불교 등 역사적으로 무관한 여러 사상들까지 뒤섞어 결부시켰다.[6] 블라바츠키는 『베일 벗은 이시스』(1877년)에서 “위에서와 같이 아래에서도. 있었던 일은 다시 돌아온다. 천상에서와 같이 지상에서도.”(영어: As above, so it is below. That which has been, will return again. As in heaven, so on earth.)라고 가필했다.[7]
그런데, 『녹옥판』 원본은 8-9세기에 아랍어로 쓰인 것으로,[8] 아랍어 원문은 조금 달라서 “에서와 같이”(like to)가 아니라 “-로부터”(from)로 해석해야 옳다. “위에서와 같이 아래에서도”라는 감응론적 문장이 역사적으로 사용된 것과 별개로 이 문장 자체는 12세기 라틴어역에서 오역으로서 처음 나타난 것이다.
- 아랍어: إن الأعلى من الأسفل والأسفل من الأعلى
- 후고 산크텔리엔시스의 역: 라틴어: Superiora de inferioribus, inferiora de superioribus.[9]
- 영어: That which is above is from that which is below, and that which is below is from that which is above.[10]
- 한국어: 위에 있는 것은 아래에 있는 것으로부터, 그리고 아래에 있는 것은 위에 있는 것으로부터.
각주
- ↑ Steele & Singer 1928, p. 42/486 (English), p. 48/492 (Latin). For other medieval translations, see Emerald Tablet.
- ↑ Principe 2013, 198쪽; Van Gijsen 2006
- ↑ Steele & Singer 1928, 42/486쪽; Principe 2013, 32쪽.
- ↑ On the macrocosm and the microcosm in general, see, e.g., Conger 1922; Allers 1944; Barkan 1975.
- ↑ Cf. Prophet 2018, 91쪽.
- ↑ On the syncretic nature of Blavatsky's reception of Hermetic ideas, see Prophet 2018, 87 et passim쪽.
- ↑ Blavatsky 1877, vol. 1, p. 35.
- ↑ In pseudo-Apollonius of Tyana's Sirr al-khalīqa or The Secret of Creation; see Kraus 1942–1943, vol. II, pp. 274–275; Weisser 1980, 54쪽.
- ↑ Hudry 1997–1999, 152쪽.
- ↑ Holmyard 1923. (translation of the version quoted by Jabir ibn Hayyan)
참고 자료
- Allers, Rudolf (1944). “Microcosmus: From Anaximandros to Paracelsus”. Traditio 2: 319–407. doi:10.1017/S0362152900017219. JSTOR 27830052.
- Barkan, Leonard (1975). Nature's Work of Art: The Human Body as Image of the World. London/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ISBN 9780300016949.
- Blavatsky, Helena P. (1877). Isis Unveiled: A Master-Key to the Mysteries of Ancient and Modern Science and Theology 1–2. New York: J. W. Bouton.
- Conger, George Perrigo (1922). Theories of Macrocosms and Microcosms in the History of Philosophy.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ISBN 9781290429832.
- Holmyard, Eric J. (1923). “The Emerald Table”. Nature 122 (2814): 525–526. Bibcode:1923Natur.112..525H. doi:10.1038/112525a0.
- Hudry, Françoise (1997–1999). “Le De secretis nature du Ps. Apollonius de Tyane, traduction latine par Hugues de Santalla du Kitæb sirr al-halîqa”. Chrysopoeia 6: 1–154.
- Kraus, Paul (1942–1943). Jâbir ibn Hayyân: Contribution à l'histoire des idées scientifiques dans l'Islam. I. Le corpus des écrits jâbiriens. II. Jâbir et la science grecque. Cairo: Institut Français d'Archéologie Orientale. ISBN 9783487091150. OCLC 468740510.
- Principe, Lawrence M. (2013). The Secrets of Alchemy.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ISBN 978-0226103792.
- Prophet, Erin (2018). “Hermetic Influences on the Evolutionary System of Helena Blavatsky's Theosophy”. Gnosis: Journal of Gnostic Studies 3 (1): 84–111. doi:10.1163/2451859X-12340050.
- Steele, Robert; Singer, Dorothea Waley (1928). “The Emerald Table”. 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of Medicine 21 (3): 41–57/485–501. doi:10.1177/003591572802100361. PMC 2101974. PMID 19986273.
- Van Gijsen, Annelies (2006). “Astrology I: Introduction”. Hanegraaff, Wouter J. Dictionary of Gnosis and Western Esotericism. Leiden: Brill. 109–110쪽. ISBN 9789004152311.
- Weisser, Ursula (1980). Spies, Otto, 편집. Das "Buch über das Geheimnis der Schöpfung" von Pseudo-Apollonios von Tyana. Berlin: De Gruyter. doi:10.1515/9783110866933. ISBN 978-3-11-086693-3.
![]() |
이 글은 철학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