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연합 외교 문제·안보 정책 고위대표
유럽연합 유럽 연합 외교 문제·안보 정책 고위대표 | |
---|---|
High Representative of the Union for Foreign Affairs and Security Policy | |
![]() 문장 유럽 대외행동부 | |
호칭 | HR HR/VP |
임명자 | 유럽 연합 집행위원회 (고위대표) |
임기 | 5년 |
역할 | 유럽 연합의 외교정책 집행 |
초대 | 하비에르 솔라나 |
설치일 | 1999년 |
봉급 | 288,877€ |
유럽 연합 외교 문제·안보 정책 고위대표(-聯合外交問題·安保政策高位代表, High Representative of the Union for Foreign Affairs and Security Policy)는 유럽 연합의 외교·안보 정책 조정을 담당하는 직책이다. 현재는 에스토니아 출신의 카야 칼라스가 2024년부터 역임하고 있다.
역할
외교 및 안보에 관련된 사항들에 대하여 유럽연합 회원국들을 대표하고, 유럽연합 회원국들의 이익과 사안을 반영하여 권리와 책임을 갖는다. 고위대표는 유럽연합 특별대표(예시: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고위대표)와 관련 사항에 대해서 협력하고 있다. 고위대표는 다음과 같은 역할을 수행한다.[1][2][3]
- 유럽 연합 집행위원회의 부위원장
- 유럽 연합 정상회의 협의 참여
- 유럽연합 특별대표 관리
- 유럽 대외행동부의 대표
- 유럽 연합 이사회의 외교위원장
- 서유럽 연합의 사무총장(2011년 6월 30일까지)
- 유럽방위청의 대표
- 유럽연합 안보연구원의 대표
역사
1999년 암스테르담 조약의 발효와 함께 신설되었으며, 유럽 연합 공동 외교 안보 정책 고위 대표(High Representative for Common Foreign and Security Policy)이라는 직책으로 출발하였으며, 당시에는 유럽 평의회의 사무총장(Secretary-General of the Council of the EU)을 겸임하였다. 2009년 리스본 조약의 발효와 함께 확대되었으며, 유럽 연합 외교 문제·안보 정책 고위대표로 출범하였으며, 유럽연합 집행위원회의 부위원장을 겸임한다.[4][5]
역대 고위대표
유럽 연합 공동 외교 안보 정책 고위 대표 시절(1999년~2009년)과 유럽 연합 외교 문제·안보 정책 고위 대표(2009년~현재)로 구분된다.
대수 | 사진 | 고위대표 이름 | 출신 유럽 연합 회원국 | 임기 | 소속 정당 | 비고 |
---|---|---|---|---|---|---|
유럽 연합 공동 외교 안보 정책 고위 대표 | ||||||
- | ![]() |
위르겐 트룸프 | ![]() |
1999년 5월 1일 ~ 1999년 10월 17일 | 없음 | 독립 외교관 |
- | ![]() |
하비에르 솔라나 | ![]() |
1999년 10월 18일 ~ 2009년 12월 1일 | 스페인 사회노동당 (국가 범위) 유럽 사회당 (유럽 범위) |
유럽 연합 이사회 사무총장 겸임 |
유럽 연합 외교 문제·안보 정책 고위대표 | ||||||
제1대 | ![]() |
캐서린 애슈턴 | ![]() |
2009년 12월 1일 ~ 2014년 11월 1일 | 노동당 (국가 범위) 유럽 사회당 (유럽 범위) |
리스본 조약 발효와 함께 확대됨 |
제2대 | ![]() |
페데리카 모게리니 | ![]() |
2014년 11월 1일 ~ 2019년 11월 30일 | 민주당 (국가 범위) 유럽 사회당 (유럽 범위) |
|
제3대 | ![]() |
주제프 보렐 | ![]() |
2014년 11월 1일 ~ 2019년 11월 30일 | 스페인 사회노동당 (국가 범위) 유럽 사회당 (유럽 범위) |
|
제4대 | ![]() |
카야 칼라스 | ![]() |
2024년 12월 1일 ~ 현재 | 에스토니아 개혁당 (국가 범위) 유럽 사회당 (유럽 범위) |
각주
- ↑ “EU High Representative for Foreign Affairs and Security Policy” (영어). 2024년 12월 15일에 확인함.
- ↑ “High Representative of the Union for Foreign Affairs and Security Policy - EUR-Lex” (영어). 2024년 12월 15일에 확인함.
- ↑ Kaddous, Christine (2008). Griller, Stefan; Ziller, Jacques, 편집. 《Role and position of the High Representative of the Union for Foreign Affairs and Security Policy under the Lisbon Treaty》 (영어). Vienna: Springer. 205–221쪽. doi:10.1007/978-3-211-09429-7_8. ISBN 978-3-211-09429-7.
- ↑ 이종서 (2008년 4월). “유럽연합 CFSP 결정과정의 현실과 전망에 관한 연구 : 유럽안보방위정책(ESDP)을 중심으로 :유럽안보방위정책(ESDP)을 중심으로”. 《국제지역연구》 12 (1): 249–276. doi:10.18327/jias.2008.04.12.1.249. ISSN 1226-5810.
- ↑ 이종광 (2012년 6월). “유럽연합의 공동외교안보정책 발전과 리스본조약에서의 안보전략 강화”. 《국제정치연구》 15 (1): 183–207. doi:10.15235/jir.2012.6.15.1.183. ISSN 2671-93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