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창구

의창구 | |
---|---|
의창구청사 | |
![]() 의창구의 위치 | |
행정 | |
국가 | 대한민국 |
행정 구역 | 2읍, 1면, 4동 |
법정동 | 21동 |
청사 소재지 | 의창구 원이대로 80 (도계동 468) |
단체장 | 안제문 |
국회의원 | 김종양(국민의힘, 창원시 의창구) |
지리 | |
면적 | 204.89km2 |
인문 | |
인구 | 218,027명 (2021[1]년) |
세대 | 95,630세대 (2021[2]년) |
지역 부호 | |
웹사이트 | http://uichang.changwon.go.kr/ |
의창구(義昌區)는 대한민국 경상남도 창원시의 북동부에 있는 구이다. 경남도청이 위치한다. 2010년 7월 1일 인근의 마산시, 진해시와 통합한 새로운 창원시가 출범하면서 신설되었으며, 구청은 통합 이전의 명곡동주민센터를 사용하고 있다.
역사
신라 35대 왕인 경덕왕 16년(757년)에 지방제도 정비 시 삽량주를 양주라 고치고 1주 1소경 12군으로 정비했다. 이 때 굴자군을 의안군이라고 고쳤다.[3]
고려 현종 9년(1018년)에는 회원현과 의안군을 금주(김해)의 속읍으로 귀속시켰다.[3]
지명은 창원의 옛 지명인 의창(義昌)에서 따온 것이다. 의창구의 관할 구역 중 북면, 동읍, 대산면은 1995년 도농통합 창원시가 출범하기 이전의 옛 의창군에 속했던 지역이며, 과거 의창 지역이었던 의창동 역시 이 지역에 속해있었다. 이때문에, 통합 창원시 출범 이전인 2010년 4월 17일부터 4월 21일까지 실시된 구청 명칭 공모에서는 기존 국회의원 창원시 갑선거구에 해당하는 창원시 지역의 북서쪽을 신설되는 구 행정구역으로 하여, 이 지역에 대해 '의창'이라는 구 명칭이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4] 이는 5월 6일 창원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된 통합준비위원회 제13차 회의에서 이루어진 구 명칭 최종 결정에서도 그대로 반영되었다.[5]
- 2010년 7월 1일: 구제(區制)가 실시되어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를 신설하였다.[6]
- 2021년 7월 1일: 성산구의 반송동이 월경지로 문제가 되었는데, 용지동, 팔룡동 중 대원동 일대, 봉림동의 일부를 성산구로 이관하여 해결되었다.[7]
- 2022년 10월 24일 : 의창구 원이대로 80 (도계동 468)에 의창구 신청사 개청 및 이전 하였다.
행정 구역
의창구의 행정 구역은 1읍, 2면, 4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의창구의 인구는 2021년 7월 말 주민등록 기준으로 21만8589명, 9만4827가구이고[8], 면적은 204.31km2이다.[9]
|
인구 추이
창원시 의창구(에 해당하는 영역)의 연도별 인구 추이[10]
연도 | 총인구 | |
---|---|---|
2010년 | 255,055명 | ![]() ![]() ![]() |
2015년 | 256,471명 | ![]() ![]() ![]() |
문화·예술
교육
주요 시설
의창구에는 경상남도청, 경상남도의회 등 경상남도의 주요 관공서가 위치해있다. 뿐만 아니라 의창구는 KTX 정차역인 창원역, 창원중앙역과 창원종합버스터미널 등 중요한 교통 시설이 있는 창원시 교통의 중심지이다.
갤러리
-
창원대학교 정문
-
소계광장
같이 보기
각주
- ↑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행정안전부》.
- ↑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행정안전부》.
- ↑ 가 나 “의창구청 의창구 소개”. 2016년 3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7월 16일에 확인함.
- ↑ 통합 창원시 구명칭, '의창-성산-합포-회원-진해구' 유력[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노컷뉴스》, 2010년 4월 22일.
- ↑ 통합창원시 구청이름 결정, 《서울신문》, 2010년 5월 7일.
- ↑ 창원시 조례 제65호 (2010년 7월 1일)
- ↑ 의창구-성산구 간 행정구역 조정 안내, 2021년 7월 1일 확인.
- ↑ 주민등록 인구통계 행정안전부, 2021년 8월 12일 확인.
- ↑ 지적공부등록현황 창원시청, 2021년 8월 14일 확인.
- ↑ 창원시 정보통계시스템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