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민주당 총재 (일본어 : 自由民主党総裁 지유민슈토소사이[* ] , 영어 : President of the Liberal Democratic Party )는 일본 자유민주당 의 당총재 이며, 당의 최고 책임자로서 당을 지휘한다. 자유민주당의 국회의원과 당원들에 의해 선출된다.
자유민주당 은 1955년 11월 창당 이후 일부 시기를 제외하고는 지금까지 중의원 에서 제1당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제1당의 총재 또는 대표가 내각총리대신 을 맡는 일본 의 관례에 따라[ 주 1] , 역대 자민당 총재의 대부분이 재임 중 내각총리대신 을 겸임하였다. 이 때문에 양자를 모두 합쳐 "총리총재(総理総裁 )" 라고 부르기도 하나, 언론 등의 매체에서는 "총리대신(総理大臣 )", "수상(首相 )" 등 총리에 해당하는 직함을 호칭하는 것이 대부분이며, "총재(総裁 )"라는 호칭이 사용되는 것은 "자민당 총재" 자격으로 출연하는 선거 관련 프로그램이나 자민당의 총재 선거 관련 뉴스 등이다. 따라서 과거 일부 기간 동안 자민당이 야당 이었을 때를 제외하고는 미디어에서 총재라는 호칭이 자주 사용된 적은 없다.
일본 에서는 자유민주당 이 오랜 기간 동안 집권하였기에 행정부 수반 인 총리 와 집권 여당인 자민당의 최고 책임자인 총재를 모두 한 사람이 겸직함에 따라, 권력이 한곳으로만 집중되며 집권 여당이 총리의 실정(失政)을 바로 잡지 못하고 "거수기" 로 전락하는 등의 여러 문제점이 발생하자 과거에 "총리·총재 분리론" (총리와 총재를 각각 다른 인물이 맡는 것)이 방안으로 몇번 제시된 적이 있지만 실현된 적은 한번도 없다.
자민당의 최고 책임자는 총재이지만, 총재가 내각총리대신 을 겸임할 경우에는 총재를 보좌하는 간사장이 거의 대부분의 당무를 담당한다.
선출
총재는 자유민주당 당칙에 따라 총재 선거를 실시하여 선출하는데 총재 선거 규정 제9조에 따라 당 소속 국회의원만 입후보가 가능하며, 이때 당칙 6조 1항의 총재 선거 규정 제1조에서 규정하고 있는 "당 소속 국회의원, 당원, 자유국민회의[ 주 2] 의 회원 및 국민정치협회[ 주 3] 의 회원" 만 총재 선거에 참여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당칙 6조 2항에서 총재가 임기 중에 궐위된 경우에서 긴급 사태로 인해 정식 규정에 따라 총재 선거를 치를 수 없는 경우에는 "당대회 대신 양원(중의원 , 참의원 ) 의원 총회에 소속된 모든 현직 국회의원 및 도도부현 연합 대표자"에 의한 투표로 새 총재를 선출하는 경우도 있으며, 당의 식자(識者)들이나 간부들이 협의, 조정해 결정한 총재 후보자가 양원 의원 총회에서 승인을 받아 새 총재가 되는 경우도 있다.
임기
자유민주당 당칙 80조 1항에 따르면 총재의 임기는 3년이다. 또한 1974년 이후에는 전임자가 임기 중 퇴임했을 때의 남은 잔여 임기를 제외한 임기를 "연속 2기에 한정" 하는 규정이 추가되었으나, 2017년에 "연속 3기 한정"으로 변경되었다. 이 규정은 말 그대로 임기를 "연속"으로 3기까지 제한하는 것일뿐 최다 선출 제한 규정이 아니기에 총재가 연속 3기 동안 재임하고 퇴임한 뒤 한번 임기를 건너뛰고 다시 총재가 되는 것은 가능하다.
1955년 자민당 창당 이후 총재의 임기는 몇 차례 변경되었는데, 그 것은 다음과 같다.
1955년~1972년 : 2년
1972년~1978년 : 3년
1978년~2003년 : 2년
2003년~현재 : 3년
권한
자유민주당 당칙에 규정된 내용에 따르면, 총재의 권한은 다음과 같다.
총칙
당의 최고 책임자로서 당을 대표하고 당무를 총괄한다.
인사
부총재를 당대회에서의 승인에 앞서 지명한다.
총무 25명 중 6명을 지명한다.
총무회 승인을 받아 간사장, 정무조사회장, 선거대책위원장, 재무위원, 조직운동본부장, 홍보본부장, 인사위원을 결정한다.
총무회 심의를 거쳐 고문, 참여, 당우, 찬조원을 위촉한다.
인사위원 중에서 인사위원장을 지명한다.
당기(黨紀)위원 18명 중 6명을 추천한다.
임원연락회 참가자를 지명한다.
또한, 총무회장은 총무회에서 호선으로 선출하고 국회대책위원장은 총무회 승인을 거쳐 간사장이 결정한다. 당칙 상에서는 총재가 이들 인사에 관여하는 규정은 없다.
집행
임원회를 소집하고, 의장으로서 이를 운영한다.
선거대책본부장, 중앙정치대학원 총장의 임무를 맡는다.
총무회 심의를 거쳐 당대회를 소집한다.
총무회 심의를 거쳐 당에 임시 특별기구를 설치한다.
총무회 심의를 거쳐 당비 금액을 결정한다.
역대 총재
은 총리를 역임한 인물들을 뜻함.
대
이름
취임일
퇴임일
총재 선거
자유민주당 총재 대행 위원 (1955년~1956년)
–
하토야마 이치로
1955년 11월 15일
1956년 4월 5일
총재 대행 위원회 결성 및 추대
오노 반보쿠
미키 부키치
오가타 다케토라 (재임 중 사망)
1956년 1월 28일
마쓰노 쓰루헤이
1956년 2월 10일
1956년 4월 5일
자유민주당 총재 (1956년~현재)
초대
하토야마 이치로
1956년 4월 5일
1956년 12월 14일
하토야마 이치로 - 394표 기시 노부스케 - 4표 기타 - 15표
2
이시바시 단잔
1956년 12월 14일
1957년 3월 21일
기시 노부스케 - 223표 이시바시 단잔 - 151표 이시이 미쓰지로 - 137표
이시바시 단잔 - 258표 기시 노부스케 - 251표
3
기시 노부스케
1957년 3월 21일
1960년 7월 14일
기시 노부스케 - 471표 마쓰무라 겐조 - 2표 기타무라 도쿠타로 - 1표 이시이 미쓰지로 - 1표
기시 노부스케 - 320표 마쓰무라 겐조 - 166표 기타 - 5표
4
이케다 하야토
1960년 7월 14일
1964년 12월 1일
이케다 하야토 - 246표 이시이 미쓰지로 - 194표 후지야마 아이이치로 - 49표 기타 - 7표
이케다 하야토 - 302표 이시이 미쓰지로 - 194표
이케다 하야토 - 391표 사토 에이사쿠 - 17표 기타 - 20표
이케다 하야토 - 242표 사토 에이사쿠 - 160표 후지야마 아이이치로 - 72표 나다오 히로키치 - 1표
5
사토 에이사쿠
1964년 12월 1일
1972년 7월 5일
사토 에이사쿠 - 289표 후지야마 아이이치로 - 89표 마에오 시게사부로 - 47표 나다오 히로키치 - 11표 노다 우이치 - 9표 기타 - 5표
사토 에이사쿠 - 249표 미키 다케오 - 107표 마에오 시게사부로 - 95표 기타 - 25표
사토 에이사쿠 - 353표 미키 다케오 - 111표 기타 - 3표
6
다나카 가쿠에이
1972년 7월 5일
1974년 12월 4일
다나카 가쿠에이 - 282표 후쿠다 다케오 - 180표
7
미키 다케오
1974년 12월 4일
1976년 12월 23일
8
후쿠다 다케오
1976년 12월 23일
1978년 12월 1일
9
오히라 마사요시 (재임 중 사망)
1978년 12월 1일
1980년 6월 12일
오히라 마사요시 - 748표 후쿠다 다케오 - 638표 나카소네 야스히로 - 93표 고모토 도시오 - 46표
–
니시무라 에이이치
1980년 6월 12일
1980년 7월 15일
총재 대행
10
스즈키 젠코
1980년 7월 15일
1982년 11월 25일
11
나카소네 야스히로
1982년 11월 25일
1987년 10월 31일
나카소네 야스히로 - 57.6% (559,673) 고모토 도시오 - 27.2% (265,078) 아베 신타로 - 8.2% (80,443) 나카가와 이치로 - 6.8% (66,041)
12
다케시타 노보루
1987년 10월 31일
1989년 6월 2일
13
우노 소스케
1989년 6월 2일
1989년 8월 8일
14
가이후 도시키
1989년 8월 8일
1991년 10월 30일
가이후 도시키 - 279표 하야시 요시로 - 120표 이시하라 신타로 - 48표
15
미야자와 기이치
1991년 10월 31일
1993년 7월 30일
미야자와 기이치 - 285표 완타나베 미치오 - 120표 미쓰즈카 히로시 - 87표
16
고노 요헤이
1993년 7월 30일
1995년 9월 30일
고노 요헤이 - 208표 와타나베 미치오 - 159표
17
하시모토 류타로
1995년 10월 1일
1998년 7월 24일
하시모토 류타로 - 304표 고이즈미 준이치로 - 87표
18
오부치 게이조
1998년 7월 24일
2000년 4월 5일
오부치 게이조 - 225표 가지야마 세이로쿠 - 102표 고이즈미 준이치로 - 84표
오부치 게이조 - 350표 가토 고이치 - 113표 야마사키 다쿠 - 51표
19
모리 요시로
2000년 4월 5일
2001년 4월 24일
20
고이즈미 준이치로
2001년 4월 24일
2006년 9월 20일
고이즈미 준이치로 - 298표 하시모토 류타로 - 155표 아소 다로 - 31표
21
아베 신조
2006년 9월 20일
2007년 9월 23일
아베 신조 - 464표 아소 다로 - 136표 다니가키 사다카즈 - 102표
22
후쿠다 야스오
2007년 9월 23일
2008년 9월 22일
후쿠다 야스오 - 330표 아소 다로 - 197표
23
아소 다로
2008년 9월 22일
2009년 9월 16일
24
다니가키 사다카즈
2009년 9월 28일
2012년 9월 26일
다니가키 사다카즈 - 300표고노 다로 - 144표 니시무라 야스토시 - 54표
25
아베 신조
2012년 9월 26일
2020년 9월 14일
26
스가 요시히데
2020년 9월 14일
2021년 9월 29일
27
기시다 후미오
2021년 9월 29일
2024년 9월 27일
기시다 후미오 - 257표고노 다로 - 170표
28
이시바 시게루
2024년 9월 27일
이시바 시게루 - 215표 다카이치 사나에 - 194표
같이 보기
각주
↑ 예외적으로 1993년부터 1996년까지는 자민당이 중의원 제1당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과반에 이르지 못해 자민당 소속이 아닌 호소카와 모리히로 , 하타 쓰토무 , 무라야마 도미이치 가 연정을 통해 내각총리대신으로 재임한 바 있다.
↑ 여러 사정으로 자민당에 입당하지 못하는 학자, 문화인 등의 자민당 지원과 친목 도모를 위해 만들어진 조직
↑ 자민당의 정치헌금을 관리하는 일반 재단법인 으로, 돈이 움직이는 기관이다 보니 금권선거 논란 등 여러 의혹이 제기되기도 하였음.
외부 링크
1950년대 1960년대 1970년대 1980년대 1990년대 2000년대 2010년대 2020년대
역사
파벌
보수본류
굉지회 (이케다파 → 마에오파 → 오다이라파 → 스즈키파 → 미야자와파 → 가토파), ※대용회(고노파 → 위공회(아소파) → 아소파에 합류×),
지공회 (
아소파 ), ※
굉지회 (다니가키파) (오자토파 → 다니가키파 → 고가파에 합류×),
굉지회 (고가파) (호리우치파 → 니와·고가파 → 고가파),
굉지회 (고가파 →
기시다파 ),
유린회 (
다니가키 그룹 )
목요 클럽(사토파),
주산회 (사토파), 주산 클럽(호리파 → 후쿠다파에 합류×), ※칠일회(다나카파), 정치동우회(다나카파),
목요 클럽 (다나카파 → 니카이도파 → ×), ※경세회(다케시타파 → 오부치파), ※
개혁포럼21 (하타·오자와파 →
신생당 에 합류×), 헤이세이 정치연구회(오부치파),
헤이세이 연구회 (오부치파 → 하시모토파 → 쓰시마파 → 누카가파 → 다케시타파 →
모테기파 )
수요회
수요회(오가타파 → 이시이파 → ×)
백정회
백정회(오노파), 목정회(오노파), 일신회(후나다파 → ×), ※일양회(무라카미파 → 손회(미즈다파 → ×))
보수방류
십일회(기시파 → ), 당풍쇄신간화회(후쿠다파), 당풍쇄신연맹(후쿠다파), ※애정회(후지야마파 → 미즈다파에 합류×), ※(난조·히라이파 → 후쿠다파에 합류×), ※교우구락부(가와시마파 → 시나파 → ×)、기미정회(후쿠다파), 팔일회(후쿠다파), 청화회(후쿠다파 → 아베파 → ), ※정진회(가토파 → 신생당에 합류×), 청화회(미쓰즈카파), 21세기를 생각하는 모임·신정책연구회(미쓰즈카파), ※(가메이 그룹 → 무라카미·가메이파에 합류×), 21세기를 생각하는 회·신정책연구회(미쓰즈카파 → 모리파), 세이와 정책연구회 (모리파 → 마치무라파 → 호소다파 → 아베파 )
춘추회 (고노파 → 모리파 → 소노다파 → 후쿠다파에 합류×), ※신정동지회(나카소네파),
정책과학연구소 (나카소네파 → 와타나베파 → ), ※
근미래정치연구회 (야마사키파 →
이시하라파 ), ※
최고다 일본 (
아마리 그룹 ), 정책과학연구소(무라카미파),
지수회 (무라카미·가메이파 → 에토·가메이파 → 가메이파 → ), ※국익과 국민의 생활을 지키는 모임(히라누마 그룹 →
일본의 마음 에 합류×),
지수회 (이부키파 →
니카이파 )
정책연구회계
정책연구회(마쓰무라·미키파), 정책동지회(마쓰무라・미키파), 정책간담회(마쓰무라・미키파 → ), ※(마쓰무라파 → ×), 정책간담회(미키파), ※(하야카와파 → 후쿠다파에 합류×), 신정책연구회(고모토파),
반초 정책연구소 (고모토파 → 고무라파 → 오시마파 → 산토파 → 아소파에 합류×)
이일회
화요회(이시바시파), 이일회(이시다파 → 미키파에 합류×)
청람회
청람회, 자유혁신동우회(나카가와 그룹 → 이시하라 그룹 → 후쿠다파에 합류×)
보수신당
보수신당,
새로운 물결 (니카이파 → 이부키파에 합류×)
83회
83회 , 새로운 바람(다케베 그룹), 전통과 창조의 회 (이나다 그룹 )
수월회
무파벌연락회, 무파벌유지의 모임 , 고사리새싹회(이시바 그룹 → 수월회 (이시바파 )), 노조미(야마모토 그룹), 키사라기카이 (하토야마 그룹 → 스가 그룹 )
무파벌
※는 파벌 이탈, 볼드체는 현존 파벌, 괄호 안 화살표는 파벌 계승.
기구
제도 집행부 조직 자유민주당 국회의원 목록 -
총무회 -
정무조사회 - 세제조사회 - 국회대책위원회 - 참의원의원단 - 청년국 - 학생부 - 섀도캐비닛 - 중앙정치대학원 - 싱크탱크 2005·일본 - 과거를 배우고 두터운 보수정치를 지향하는 젊은 의원의 모임 - 문화예술간화회 - 아베노믹스를 성공시키는 모임 - 일본교직원조합문제구명의원연맹(
의원연맹 ) - 국민정치협회(정치자금단체) - 자유사회를 지키는 국민회의(
당우 ) - 자유민주당 동지회(원외단) - 자민당 넷써포터즈 클럽
관계
정당간 협력 분파정당 합류정당 오키나와 자유민주당 - 신자유구락부 - 세금당 - 보수신당 - 일본의 마음
원류
일본자유당 계일본진보당 계(입헌개진당 → 진보당 → 헌정본당 →
입헌국민당 → 입헌동지회 →
헌정회 →
입헌민정당 → 익찬의원동맹 → 익찬정치회 → 대일본정치회 → )
일본진보당 →
민주당 → 국민민주당(국민협동당이 합류) → 개진당 → 일본자유당 →
일본민주당 일본협동당계 (호국동지회 → ) 일본협동당 → 협동민주당 → 국민협동당 → 민주당과 합동하여 국민민주당 결성
단체
지원단체 국민정치협회(정치자금단체) - 자유사회를 지키는 국민회의(
당우 )
지지단체 일본행정서사정치연맹 - 일본사법서사정치연맹 - 전국토지가옥조사사정치연맹 - 일본공인회계사정치연맹 - 전국사회보험노무사정치연맹 - 일본주조조합연합회 - 일본증류주주조조합 - 맥주주조조합 - 일본양주주조조합 - 전국도매주판조합중앙회 - 전국소매주판정치연맹 - 전국담배판매정치연맹 - 전국담배경작조합중앙회 - 전사학연합회 - 전일본사립유치원연합회 - 전국전수학교각종학교총연합회 - 전일본교직원연맹 - 일본사립중학고등학교연합회 - 사단법인전국교육문제협의회 - 전국골프관련단체협의회 - 사립유치원경영자간담회 - 전국사립소중고등학교보호자회연합회 - 신도정치연맹 - 재단법인 전일본불교회 -
천태종 - 코야산 진언종 - 진언종 지산파 - 진언종 풍산파 -
정토종 - 정토진종 혼간지파 - 진종 오오타니파 - 임제종 묘신지파 -
조동종 -
일련종 - 이너트립 이데올로그 리서치센터 - 숭교 참빛 -
입정교성회 - 불소호념회교단 - 묘지회교단 - 신생불교교단 - 송록신토 야마토산 - 세계구세교 - 일본의사연맹 - 일본치과의사연맹 - 일본약제사연맹 - 일본간호연맹 - 일본제약단체연합회 - 일본보육추진연맹 - 일본유도정복사회 - 일본치과기공사연맹 - 전국개호정치연맹 - 전국여관정치연맹 - 전국음식업생활위생동업조합연합회 - 전일본미용생활위생동업조합연합회 - 전국클리닝업정치연맹 - 환경보전정치연맹 - 일본환경보전협회 - 일본조원조합연합회 - 전국빌딩메인터넌스정치연맹 - 전국상공정치연맹 - 전국석유정치연맹 - 전국LP가스정치연맹 - 일본상공연맹 - 전국중소기업정치협회 - 전국상점가정치연맹 - 사단법인 일본조사업협회 - 사단법인 전일본댄스협회연합회 - 전국농업자농정운동조직협의회 - 21전국농정추진동지회 - 일본삼림조합연합회 - 사단법인 전국임업협회 - 일본낙농정치연맹 - 전국축산정치연맹 - 전국어업협동조합연합회 - 대일본수산회 - 일본자동차공업회 - 일본중고자동차판매협회연합회 - 일본자동차판매협회연합회 - 일본자동차정비진흥연합회 - 일본항만공항건설협회연합회 - 일본자동차정비진흥会연합회 - 사단법인 전일본트럭협회 - 동일본토키와회 미야기현지부 - 21텔레콤회의 - 전국토지개량정치연맹 - 일본항만공항건설협회연합회 - 사단법인 전국건설업협회 - 사단법인 일본건설업단체연합회 - 사단법인 일본토목공업협회 - 사단법인 건축업협회 - 사단법인 일본건설업경영협회 - 사단법인 전국중소건설업협회 - 사단법인 일본도로건설업협회 - 사단법인 일본교량건설협회 - 사단법인 건설컨설턴츠협회 - 사단법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건설업협회 - 사단법인 건설산업전문단체연합회 - 사단법인 일본연공업연합회 - 사단법인 일본조원건설업협회 - 사단법인 전국건설업산업단체연합회 - 사단법인 전국측량설계업협회연합회 - 사단법인 전국지질조사업협회연합회 - 사단법인 전국착정협회 - 사단법인 건설전기기술협회 - 일본하수컴포스트협회 - 사단법인 전국도로표식・표시업협회 - 사단법인 전국철구공업협회 - 사단법인 일본건설구체공사업단체연합회 - 사단법인 일본도장공업회 - 일반사단법인 일본프리패브주차장공업회 - 사단법인 부동산협회 - 전국부동산정치연맹 - 전일본부동산정치연맹 - 사단법인 주택생산단체연합회 - 전국생콘크리트공업조합연합회 - 군은연맹전국협의회 - 일본상이군인회 - 사단법인 일본향우연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