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허리근
작은허리근 | |
---|---|
![]() 볼기와 넓적다리 앞칸의 근육들, 작은허리근은 빨갛게 표기됨. | |
정보 | |
이는곳 | T12, L1의 척추뼈몸통 가쪽 측면과 사이의 척추사이원반 |
닿는곳 | 두덩근선과 엉덩두덩융기 |
동맥 | 갈비밑동맥, 허리동맥 |
신경 | L1 척수신경의 앞가지 |
작용 | 약한 엉덩관절 굽힘 |
대항근 | 척주세움근 |
식별자 | |
라틴어 | musculus psoas minor |
영어 | psoas minor muscle |
TA98 | A04.7.02.005 |
TA2 | 2596 |
FMA | 22350 |
작은허리근(psoas minor muscle), 또는 소요근(小腰筋)은 길고 가느다란 골격근이다. 존재하는 경우, 작은허리근은 큰허리근의 앞쪽에 위치한다.[1][2]
구조
작은허리근은 마지막 등뼈(T12)와 첫 번째 허리뼈(L1)에 붙어 있는 수직 방향의 근섬유에서 시작된다. 그 근섬유는 큰허리근의 안쪽 경계선을 지나 분계선(linea terminalis)과 엉덩두덩융기(iliopubic eminence)에 닿는다. 또한, 엉덩근막(iliac fascia) 깊은면에도 닿은 뒤 더욱 늘어나 가장 낮게 주행하는 작은허리근 섬유는 고샅인대(inguinal ligament)에까지 닿는다.[3][4] 엉덩허리근(iliopsoas muscle)의 뒤가쪽에 위치한다.[5] 하지만 변이가 있을 수 있는데, 이런 경우 엉덩두덩융기에 닿던 작은허리근이 칸사이근막활(iliopectineal arch)까지 주행하여 닿을 수 있다.[6]
작은허리근은 갈비밑동맥(subcostal artery)이나 허리동맥(lumbar arteries)에서 산소가 풍부한 혈액을 공급받는다.[7]
신경 지배
작은허리근은 허리신경(lumbar spinal nerves)에서 직접나온 신경가지에 의해 지배를 받는다.[8]
변이
작은허리근은 형태가 일정하지 않으며 종종 아예 존재하지 않을 수 있어, 인간 표본의 약 40%에만 존재한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9] 평균 길이는 약 24cm로, 그 중 약 7.1cm는 근육 조직이며 약 17cm는 힘줄이다.
기능
작은허리근은 허리뼈 척주의 약한 굽힘근이다.
다른 동물들에서
작은허리근은 말과 같은 다른 포유류에도 존재한다.[10] 말의 경우 요통의 원인을 확인하기 위해 곧창자 검사(rectal examination) 중에 촉진될 수 있다.[10]
추가 이미지
-
오른쪽 볼기뼈, 내부 표면
-
오른쪽 넙다리뼈 뒷면
-
작은허리근
-
작은허리근
-
작은허리근
각주
- ↑ Tank, Patrick W. (2005). 《Grant's dissector.》 13판.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93쪽. ISBN 0-7817-5484-4.
- ↑ 《Gray's anatomy : the anatomical basis of clinical practice》 40, anniversary판. [Edinburgh]: Churchill Livingstone/Elsevier. 2008. 1372쪽. ISBN 978-0-443-06684-9.
- ↑ Deepthi Simhadri, T Navakalyani, D Suseelamma (2021). “A study of psoas minor muscle morphology”. 《Indian Journal of Clinical Anatomy and Physiology》.
- ↑ Bendavid (2001). 《Abdominal wall hernias : principles and management》. New York: Springer. 58쪽. ISBN 0-387-95004-4.
- ↑ Zwingenberger, Allison; Benigni, Livia; Lamb, Christopher R. (2015년 1월 1일). Mattoon, John S.; Nyland, Thomas G., 편집. 《Chapter 14 - Musculoskeletal System》 (영어). St. Louis: W.B. Saunders. 517–540쪽. ISBN 978-1-4160-4867-1.
- ↑ Melissa Ruth Blum, DO. “Long-Standing Groin Pain in a Male Athlete”. 《Practical Pain Management》.
- ↑ Students, Phed 301 (2018년 5월 1일). “Nerves, Blood Vessels and Lymph” (캐나다 영어).
- ↑ 《Chapter 2 - Gross Anatomy of the Peripheral Nervous System》 (영어), W.B. Saunders
- ↑ Mcg Farias (1 Jan. 2012). Morphological and morphometric analysis of Psoas Minor Muscle in cadavers. ResearchGate. Retrieved from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280236296_Morphological_and_morphometric_analysis_of_Psoas_Minor_Muscle_in_cadavers
- ↑ 가 나 《21 - Back and pelvis》 (영어), W.B. Saund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