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칙 국소환
가환대수학에서 정칙 국소환(正則局所環, 영어: regular local ring)은 극대 아이디얼의 최소 생성원 집합의 크기가 크룰 차원과 같은 뇌터 국소환이다.
정의
가환 뇌터 국소환 에 대하여, 다음 두 성질들은 서로 동치이며, 이를 만족시키는 가환 뇌터 국소환을 정칙 국소환이라고 한다. (여기서 은 의 유일한 극대 아이디얼이며, 은 그 잉여류체이다.)
- 극대 아이디얼을 생성하는 매개계가 존재한다. 즉, 극대 아이디얼 은 개의 원소들로 생성된다 (는 크룰 차원).
- 이다. 여기서 는 -벡터 공간의 차원이다.
- 는 의 유일한 닫힌 점 에서의 자리스키 공변접공간이다. 즉, 이 조건은 자리스키 (공변)접공간의 차원이 아핀 스킴 자체의 (크룰) 차원과 같다는 것이다.
- 위의 모든 가군들의 사영 차원은 상계를 갖는다.
- 위의 모든 가군들의 사영 차원은 이하이다.
정칙 스킴은 모든 국소환이 정칙 국소환인 스킴이다. 정칙환(正則環, 영어: regular ring) 는 아핀 스킴 가 정칙 스킴인 가환환이다. 즉, 모든 소 아이디얼에서의 국소화가 정칙 국소환인 가환환이다.
성질
체를 포함하는 정칙 국소환 는 스스로의 분수체에 대한 형식적 멱급수환이다. 즉,
이다.
연산에 대한 닫힘
정칙 국소환의 모든 국소화 및 완비화 역시 정칙국소환이다.
국소 가환환이 정칙 국소 가환환일 필요 충분 조건은 그 (극대 아이디얼에서의) 완비화가 정칙 국소 가환환인 것이다.
함의 관계
다음과 같은 함의 관계가 성립한다.
이산 값매김환 | ||||||||
∩ | ||||||||
체 | ⊂ | 정칙 국소환 | ⊂ | 고런스틴 국소환 | ⊂ | 코언-매콜리 국소환 | ⊂ | 뇌터 국소 가환환 |
∩ | ||||||||
유일 인수 분해 정역 |
모든 정칙 국소환은 유일 인수 분해 정역이라는 사실은 오슬랜더-북스바움 정리(영어: Auslander–Buchsbaum theorem)라고 한다.[1]
또한, 다음이 성립한다. 정칙 국소환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동치이다.
- 는 체이다.
- 이다.
(체는 크룰 차원이 0이며, 체에서는 영 아이디얼이 극대 아이디얼이다.)
정칙 국소환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동치이다.
- 는 이산 값매김환이다.
- 이다.
분류
정칙 국소환은 국소화를 가하여 완비 국소환으로 만들 수 있다. 이 가운데 뇌터 가환환인 것은 구조 정리가 알려져 있다.
예
소수 에 대한 p진 정수환 은 이산 값매김환이므로 정칙 국소환이다. 이는 체를 포함하지 않는 정칙 국소환의 예이다.
국소환 에 대한, 개의 변수에 대한 형식적 멱급수환 은 정칙 국소환이다. 특히, 체 에 대한 형식적 멱급수환 은 차원의 정칙 국소환이다.
정칙 국소환이 아닌 국소환
체 에 대하여 국소 가환환 를 생각하자. 그 크룰 차원은 0차원이지만, 그 극대 아이디얼 은 영 아이디얼이 아니며, 하나의 원소로 생성된다. 따라서 이는 정칙 국소환이 아니다.
호몰로지 대수학적으로, 는 다음과 같은 무한 분해를 갖는다.
따라서 그 가군의 사영 차원은 무한히 클 수 있으며, 상계를 갖지 못한다.
대수기하학적으로, 는 아핀 직선 속의 원점 의 ‘무한소 근방’에 해당한다. 따라서 이는 기하학적으로 특이점을 이룬다. 이는 사실
응용
대수기하학에서, 완전체에 대한 대수다양체 가 에서 비특이인 필요 충분 조건은 싹의 국소환 가 정칙 국소환인 것이다. ‘정칙 국소환’이라는 이름은 이 성질에서 유래하였다. 이를 사용하여, 정칙성을 일반적인 스킴에 대하여 정의할 수 있다. 정칙 스킴(영어: regular scheme)은 정칙환의 스펙트럼으로 덮을 수 있는 스킴이다.
대수적으로 닫힌 체 에 대한 아핀 대수다양체 속의 (닫힌) 점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동치이다.[2]
즉, 대수적으로 닫힌 체에 대한 대수다양체의 경우 이 조건은 고전적인 비특이점의 개념과 일치함을 알 수 있다.
역사
정칙 국소환의 개념은 볼프강 크룰이 1937년에 도입하였다.[3]
각주
- ↑ Auslander, Maurice; Buchsbaum, David Alvin (1959). “Unique factorization in regular local ring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45: 733–734. doi:10.1073/pnas.45.5.733. ISSN 0027-8424. JSTOR 90213. MR 0103906.
- ↑ Hartshorne, Robin (1977). 《Algebraic Geometry》. Graduate Texts in Mathematics (영어) 52. Springer. doi:10.1007/978-1-4757-3849-0. ISBN 978-0-387-90244-9. ISSN 0072-5285. MR 0463157. Zbl 0367.14001.
- ↑ Krull, Wolfgang (1937). “Beiträge zur Arithmetik kommutativer Integritätsbereiche Ⅲ. Zum Dimensionsbegriff der Idealtheorie”. 《Mathematische Zeitschrift》 (독일어): 745–766. doi:10.1007/BF01160110.
외부 링크
- “Regular ring (in commutative algebra)”. 《Encyclopedia of Mathematics》 (영어). Springer-Verlag. 2001. ISBN 978-1-55608-010-4.
- Weisstein, Eric Wolfgang. “Regular local ring”. 《Wolfram MathWorld》 (영어). Wolfram Research.
- Weisstein, Eric Wolfgang. “Regular ring”. 《Wolfram MathWorld》 (영어). Wolfram Research.
- “Regular local ring”. 《nLab》 (영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