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태공 (전제)
제 태공 齊 太公 | |
---|---|
본명 | 규화 |
사망 | 기원전 385년 |
성별 | 남성 |
경력 | 전제의 초대 후작 |
제 태공(齊 太公, ? ~ 기원전 385년) 혹은 전제 태공(田齊 太公)은 중국 전국 시대 전제의 초대 후작이다. 성은 규(嬀), 씨는 전(田). 이름은 화(和)다. 주 왕실에서 제후(齊侯)로 인정받아, 제나라 공실이 공식적으로 강성 여씨에서 규성 전씨로 바뀌었다.
생애
강제에서 전제로
이미 전양자 이후 사실상 제나라 임금은 재상 전씨나 다름없었으나, 태공 화는 이름뿐인 강제 공실마저도 아예 전씨로 대체하고자 했다. 제 강공 14년(기원전 391년), 강공이 황음무도하다 하여 바닷가로 쫓아내고 성 하나만을 주어 식읍으로 삼게 했다. 강공 16년(기원전 389년), 탁택에서 당시의 패자로 인정받는 위 문후와 회견해 주 왕실에 자신을 제후로 정식 인준해 줄 것을 요청했다. 문후는 주 왕실에 이를 요청했고. 당시 동주 안왕의 허락을 받아, 강공 19년(기원전 386년) 전화가 강공을 대신하여 제후(齊侯)가 되어 주나라의 제후의 반열에 들었다.[1]
이후 제 강공은 2년을 더 살다 죽었고, 여씨의 제사가 끊겼다.[2] 이후의 제나라는 망할 때까지 태공 화의 자손이 다스려, '전씨의 제나라'라는 의미로 '전제'라고도 한다.
기타
제 강공 15년(기원전 390년), 노나라에 평륙에서 졌다.[1]
제 강공 20년, 곧 제 태공 2년(기원전 385년) 노나라를 이겼으나, 이해 죽었다.[3]
각주
전 임 도자 |
제13대 제 전씨 종주 기원전 404년 ~ 기원전 386년 |
후 임 (전제 건국) |
전 임 (초대) |
제33대 제 후작 기원전 386년 ~ 기원전 385년 |
후 임 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