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캄보디아 대한민국 대사관
주캄보디아 대한민국 대사관
ស្ថានទូតសាធារណរដ្ឋកូរ៉េប្រចាំកម្ពុជា
설립일
1962년 7월 11일 (주프놈펜 대한민국 총영사관 설립) 1970년 7월 1일 (주크메르 대한민국 대사관 설립) 1996년 9월 18일 (주캄보디아 대한민국 대사관 재설립)
해산일
1967년 1월 13일 (주프놈펜 대한민국 총영사관 폐쇄) 1975년 4월 5일 (주크메르 대한민국 대사관 폐쇄)
관할
영사관할지역: 캄보디아
소재지
캄보디아 프놈펜 Khan Chamkarmon, Sangkat Tonle Bassac, Phum No.14
상급기관
대한민국 외교부
웹사이트
http://overseas.mofa.go.kr/kh-ko/index.do
주캄보디아 대한민국 대사관 (크메르어 : ស្ថានទូតសាធារណរដ្ឋកូរ៉េប្រចាំកម្ពុជា )은 캄보디아 프놈펜 에 개설된 대한민국 외교부 소속의 대사관 이다. 몇 차례의 외교관계 수립 및 단절 끝에 1997년부터 현재의 외교 관계가 이어져오고 있다.
공관 연혁
1962년 7월 11일: 캄보디아 프놈펜에 주캄보디아 대한민국 총영사관 설립
1967년 1월 13일: 주캄보디아 대한민국 총영사관 폐쇄
1970년 5월 18일: 대한민국, 크메르 공화국 과 수교
1970년 7월 1일: 주크메르 대한민국 대표부 설립
1970년 8월 15일: 주크메르 대한민국 대사관으로 승격
1975년 4월 5일: 주크메르 대한민국 대사관 폐쇄와 함께 외교 관계 단절
1996년 9월 18일: 캄보디아 프놈펜에 주캄보디아 대한민국 대표부 설립
1997년 10월 30일: 대한민국, 캄보디아와의 외교 관계 정상화
1998년 2월 28일: 주캄보디아 대한민국 대사관으로 승격
역대 공관장
대수
성명
임명
제1대 대사
박경태
1997년 11월 28일
제2대 대사
김원태
1999년 3월 23일
제3대 대사
이원형
2001년 3월 8일
제4대 대사
이한곤
2003년 7월 30일
제5대 대사
신현석
2006년 3월 17일
제6대 대사
이경수
2009년 4월 10일
제7대 대사
장호진
2010년 10월 21일
제8대 대사
김한수
2012년 4월 17일
제9대 대사
김원진
2015년 2월 9일
제10대 대사
오낙영
2018년 2월 6일
제11대 대사
박흥경
2019년 11월 18일
제12대 대사
박정욱
2023년 1월 12일
같이 보기
외부 링크
아시아·태평양 지역
대사관 총영사관 분관
뉴질랜드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캄보디아
파키스탄
필리핀
호주
출장소
아메리카 지역
대사관 총영사관 분관 출장소
미국
댈러스 (주휴스턴 총영사관 산하)
앵커리지 (주시애틀 총영사관 산하)
필라델피아 (주뉴욕 총영사관 산하)
하갓냐 (주호놀룰루 총영사관 산하)
유럽 지역
대사관 총영사관
독일
러시아
스페인
이탈리아
카자흐스탄
튀르키예
분관 출장소
러시아
유즈노사할린스크 (주블라디보스토크 총영사관 산하)
중동 지역
아프리카 지역
대표부 없어진 공관
대사관
감비아
기니
나미비아
니제르
라이베리아
말라위
모리셔스
모리타니
바베이도스
부르키나파소
소말리아
수리남
스와질란드 (현재의 에스와티니)
시에라리온
아이티
월남 공화국 (남베트남)
자메이카
잠비아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중화민국
콩고 공화국
크메르 공화국
토고
총영사관 및 영사관
1. 재외공관장의 직무등급은 해당국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대외비밀로 하는 것이 원칙이다.
2. 차관급 이상의 예우를 받는 13개 재외공관장[1] 중 6자 회담 참가국 및 국제기구의 재외공관장인 미국 대사, 중국 대사, 러시아 대사, 일본 대사, UN 대표, OECD 대표 등 6개 재외공관장은 장관급 예우를, 벨기에 대사 겸 유럽 연합·NATO 대표, 영국 대사, 프랑스 대사, 독일 대사, 인도 대사, 제네바 대표, ASEAN 대표 등 기타 주요국 대사들은 차관급 예우를 받는다.
3. 대한민국 재외공관 중 대사관은 191개국에, 대표부는 5개국에, 총영사관은 45개가 설치되어 있다. 다만, 대사관은 겸임 지역을 제외하면 125개국에 한정된다.
4. 몬트리올 총영사관은 국제민간항공기구 대표부를, 네덜란드 대사관은 헤이그 국제 기구 대표부를, 벨기에 대사관은 유럽 연합 대사관·북대서양 조약 기구 대표부를, 영국 대사관은 국제 해사 기구 대표부를, 오스트리아 대사관은 빈 국제 기구 대표부를, 에티오피아 대사관은 아프리카 연합 대표부를 각각 겸임한다.
5. 문화원[2] 은 문화체육관광부 가 예산을 지원하고 외교부 재외공관 부설기관으로 설치되며 해당 재외공관장의 지휘·감독을 받는다.
6. 대한민국이 독립국으로 승인하지 않은 나라에 설치된
주타이베이 대한민국 대표부 (대만 소재),
주팔레스타인 대한민국 대표사무소 (팔레스타인 소재)는 다른 대표부와 달리 정식 재외공관은 아니지만 관행적으로 인정된다.
[3]
The article is a derivative under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ShareAlike License .
A link to the original article can be found here and attribution parties here
By using this site, you agree to the Terms of Use . Gpedia ® is a registered trademark of the Cyberajah Pty Lt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