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히친
체계적 명칭 (IUPAC 명명법) | |
---|---|
N-[(7S)-1,2,3,10-Tetramethoxy-9-oxo-5,6,7,9-tetrahydrobenzo[a]heptalen-7-yl]acetamide | |
식별 정보 | |
CAS 등록번호 | 64-86-8 |
ATC 코드 | M04AC01 |
PubChem | 6167 |
드러그뱅크 | DB01394 |
ChemSpider | 5933 |
화학적 성질 | |
화학식 | C22H25NO6 |
분자량 | 399.437 |
SMILES | eMolecules & PubChem |
약동학 정보 | |
생체적합성 | 45% |
단백질 결합 | 35-44% |
동등생물의약품 | ? |
약물 대사 | Metabolism, partly by en:CYP3A4 |
생물학적 반감기 | 26.6-31.2 hours |
배출 | Faeces (65%) |
처방 주의사항 | |
임부투여안전성 | D(오스트레일리아)C(미국) |
법적 상태 |
|
투여 방법 | Oral |
콜히친(colchicine, 판매되는 브랜드명: Colcrys 또는 Mitigare)은 통풍 치료에 주로 사용되는 약물이다.[1][2][3] 통풍 외에도, 콜히친은 가족성 지중해열, 심낭염, 베체트 병의 치료에도 사용된다.[2] 다량 복용 시 위장장애의 부작용이 있다.[4]
독성 알칼로이드이자 이차대사산물이며 원래 콜키쿰(Colchicum)속 식물에서 추출된 것이다.[2][5][6]
의학적 이용
통풍
콜히친은 비스테로이드 항염증제가 통풍에 효력이 잘 들지 않을 때 대안이 된다.[7] 다량 복용 시 부작용이 있으므로(주로 위장장애) 사용이 제한된다.[2][8] 적은 양을 복용하면 내성이 좋은 편이다.[2][9][10][11] 적은 량의 콜히친(1.8 mg/1시간 또는 1.2 mg/일)은 통풍 증세와 통증을 완화시키는 반면 다량의 콜히친(4.8 mg/6시간 이상)은 통증에 효과적이지만 더 심각한 부작용(설사, 구역질, 구토 등)을 일으킨다는 리뷰가 있다.[10]
증상이 처음 나타나면 통풍 증상의 치료를 위해 콜히친은 구강으로 또는 음식 없이 섭취한다.[6] 증상이 악화되는 경우 추가 복용이 필요할 수 있다.[6][10] 장기간의 예방책으로, 알로퓨리놀과 함께 날마다 콜히친을 복용하는 것이 효과적(날마다 0.6 mg만큼 두 차례)이라는 예비적 증거가 있으며 요산 수치 증가, 급성 통풍 발생의 위험을 줄여주지만[12] 위장장애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13]
다른 질병
콜히친은 베체트 병의 장기적인 치료를 위한 소염제로 사용되기도 한다.[14] 재발성 다발 연골염에는 제한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연골염과 정도가 약한 피부 증상의 치료에만 유용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15]
콜히친은 심낭염 치료에 부가적으로 사용되기도 한다.[14][16]
콜히친은 가족성 지중해열의 치료에도 널리 사용되며,[14] 유전분증의 장기적인 위험도를 낮춰준다.[17]
역사
콜히친의 식물 원료(Colchicum autumnale)는 기원전 1500년 경 이집트의 의학 파피루스인 에베르스 파피루스에서 류머티즘과 염증의 치료를 위해 기술되었다.[18] 콜키쿰 추출물은 기원후 1세기 디오스코리데스에 의해 De Materia Medica에서 통증 치료로 처음 기술되었다.
콜히친은 1820년 프랑스의 화학자 P. S. 펠레티어와 J. B. 카벤토우에 의해 처음 분리되었다.[19]
식물학적 이용
식물의 세포분열을 방해해 배수체를 만드는데 쓰인다. 씨 없는 수박을 만들 때도 쓰였다.
각주
- ↑ Shekelle PG, Newberry SJ, FitzGerald JD, Motala A, O'Hanlon CE, Tariq A, 외. (January 2017). “Management of Gout: A Systematic Review in Support of an American College of Physicians Clinical Practice Guideline”. 《Annals of Internal Medicine》 166 (1): 37–51. doi:10.7326/M16-0461. PMID 27802478.
- ↑ 가 나 다 라 마 “Colcrys (colchicine, USP) tablets 0.6 mg. Drug Approval Package”.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10년 2월 17일. 2018년 8월 19일에 확인함.
- ↑ Dalbeth N, Lauterio TJ, Wolfe HR (October 2014). “Mechanism of action of colchicine in the treatment of gout”. 《Clinical Therapeutics》 36 (10): 1465–79. doi:10.1016/j.clinthera.2014.07.017. PMID 25151572.
- ↑ “Colchicine for acute gout: updated information about dosing and drug interactions”. National Prescribing Service, Australia. 2010년 5월 14일. 2012년 6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5월 14일에 확인함.
- ↑ “Colcrys (colchicine). Summary review for regulatory action” (PDF). Center for Drug Evaluation and Research,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09년 7월 30일. 2018년 8월 19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Colchicine”. Drugs.com. 2017년 1월 1일. 2018년 8월 19일에 확인함.
- ↑ Chen LX, Schumacher HR (October 2008). “Gout: an evidence-based review”. 《Journal of Clinical Rheumatology》 14 (5 Suppl): S55–62. doi:10.1097/RHU.0b013e3181896921. PMID 18830092.
- ↑ “Information for Healthcare Professionals: New Safety Information for Colchicine (marketed as Colcrys)”. 미국 식품의약국.
- ↑ Laubscher T, Dumont Z, Regier L, Jensen B (December 2009). “Taking the stress out of managing gout”. 《Canadian Family Physician》 55 (12): 1209–12. PMC 2793228. PMID 20008601.
- ↑ 가 나 다 van Echteld I, Wechalekar MD, Schlesinger N, Buchbinder R, Aletaha D (August 2014). “Colchicine for acute gout”.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8 (8): CD006190. doi:10.1002/14651858.CD006190.pub2. PMID 25123076.
- ↑ Terkeltaub RA, Furst DE, Bennett K, Kook KA, Crockett RS, Davis MW (April 2010). “High versus low dosing of oral colchicine for early acute gout flare: Twenty-four-hour outcome of the first multicenter,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parallel-group, dose-comparison colchicine study”. 《Arthritis and Rheumatism》 62 (4): 1060–8. doi:10.1002/art.27327. PMID 20131255.
- ↑ Shekelle, Paul G.; Newberry, Sydne J.; FitzGerald, John D.; Motala, Aneesa; O'Hanlon, Claire E.; Tariq, Abdul; Okunogbe, Adeyemi; Han, Dan; Shanman, Roberta (2017). “Management of gout: A systematic review in support of an American College of Physicians Clinical Practice Guideline”. 《Annals of Internal Medicine》 166 (1): 37–51. doi:10.7326/M16-0461. ISSN 0003-4819.
- ↑ Qaseem, Amir; Harris, Russell P.; Forciea, Mary Ann (2017). “Management of acute and recurrent gout: A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rom the American College of Physicians”. 《Annals of Internal Medicine》 166 (1): 58–68. doi:10.7326/M16-0570. ISSN 0003-4819.
- ↑ 가 나 다 Cocco G, Chu DC, Pandolfi S (December 2010). “Colchicine in clinical medicine. A guide for internists”. 《European Journal of Internal Medicine》 21 (6): 503–8. doi:10.1016/j.ejim.2010.09.010. PMID 21111934.
- ↑ Puéchal X, Terrier B, Mouthon L, Costedoat-Chalumeau N, Guillevin L, Le Jeunne C (March 2014). “Relapsing polychondritis”. 《Joint, Bone, Spine》 81 (2): 118–24. doi:10.1016/j.jbspin.2014.01.001. PMID 24556284.
- ↑ Alabed S, Cabello JB, Irving GJ, Qintar M, Burls A (August 2014). “Colchicine for pericarditis”.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8 (8): CD010652. doi:10.1002/14651858.CD010652.pub2. PMID 25164988.
- ↑ Portincasa P (2016). “Colchicine, Biologic Agents and More for the Treatment of Familial Mediterranean Fever. The Old, the New, and the Rare”. 《Current Medicinal Chemistry》 23 (1): 60–86. PMID 26572612.
- ↑ Graham W, Roberts JB (March 1953). “Intravenous colchicine in the management of gouty arthritis” (PDF). 《Annals of the Rheumatic Diseases》 12 (1): 16–9. doi:10.1136/ard.12.1.16. PMC 1030428. PMID 13031443.
- ↑ Pelletier and Caventou (1820) "Examen chimique des plusieurs végétaux de la famille des colchicées, et du principe actif qu'ils renferment. [Cévadille (veratrum sabadilla) ; hellébore blanc (veratrum album) ; colchique commun (colchicum autumnale)]" (Chemical examination of several plants of the meadow saffron family, and of the active principle that they contain.) Annales de Chimie et de Physique, 14 : 69-81.
외부 링크
- Dowd, Matthew J. (1998년 4월 30일). “Colchicine”. Virginia Commonwealth University. 2010년 6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NIOSH Emergency Response Databa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