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타땃쥐
![]() | |
---|---|
![]() 타이타땃쥐 | |
생물 분류ℹ️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포유강 |
하강: | 진수하강 |
상목: | 로라시아상목 |
목: | 진무맹장목 |
과: | 땃쥐과 |
아과: | 흰이땃쥐아과 |
속: | 사향땃쥐속 |
종: | 타이타땃쥐 (S. aequatorius) |
학명 | |
Suncus aequatorius | |
(Heller, 1912) | |
타이타땃쥐의 분포 | |
![]() 타이타땃쥐의 분포 지역 | |
보전상태 | |
|
타이타땃쥐(Suncus aequatorius)는 땃쥐과의 포유류이다.[2][3][4][5] 케냐 남서부의 타이타-타베타 구에 있는 타이타 힐스 산의 두 지역에 분포한다.[1]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이 지정한 멸종 위급종이다.[1]
각주
- ↑ 가 나 다 Kennerley, R. 2016. Suncus aequatorius.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16: e.T136224A22289522. http://dx.doi.org/10.2305/IUCN.UK.2016-3.RLTS.T136224A22289522.en. Downloaded on 12 August 2018.
- ↑ Hutterer, R. (2005). 〈FAMILY Soricidae〉 [땃쥐과]. Wilson, D.E.; Reeder, D.M.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영어) 3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223–300쪽. ISBN 978-0-8018-8221-0. OCLC 62265494.
- ↑ Aggundey, I. R. and Schlitter, D. A. (1986). 'Annotated checklist of the mammals of Kenya'. II. Insectivora and Macroscelidea. Annals of Carnegie Museum 55: 325-347.
- ↑ Heim de Balsac, H. and Meester, J. (1977). 'Order Insectivora'. In: J. Meester and H. W. Setzer (eds), The Mammals of Africa: An Identification Manual, pp. 1–29. Smithsonian Institution Press, Washington, D. C., USA.
- ↑ Oguge, N., Hutterer, R. Odhiambo, R. and Verheyen, W. (2004). 'Diversity and structure of shrew communities in montane forests of southeast Kenya'. Mammalian Biology 69: 289-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