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산 무수화효소
탄산무수화효소 | |||||||||
---|---|---|---|---|---|---|---|---|---|
![]() 중앙에 아연 이온이 보이는 사람의 탄산무수화효소 II의 리본 다이어그램 | |||||||||
식별자 | |||||||||
EC 번호 | 4.2.1.1 | ||||||||
CAS 번호 | 9001-03-0 | ||||||||
데이터베이스 | |||||||||
IntEnz | IntEnz view | ||||||||
BRENDA | BRENDA entry | ||||||||
ExPASy | NiceZyme view | ||||||||
KEGG | KEGG entry | ||||||||
MetaCyc | metabolic pathway | ||||||||
PRIAM | profile | ||||||||
PDB 구조 | RCSB PDB PDBj PDBe PDBsum | ||||||||
유전자 온톨로지 | AmiGO / QuickGO | ||||||||
|
탄산무수화효소(炭酸無水化酵素, 영어: carbonic anhydrase) 또는 탄산탈수효소(炭酸脫水酵素, 영어: carbonate dehydratase)는 이산화 탄소와 물 및 탄산의 해리된 이온(즉, 중탄산염 및 수소 이온) 사이의 상호전환(H2CO3 ⇄ CO2 + H2O)을 촉매하는 효소군(群)이다.[1] 대부분의 탄산무수화효소의 활성 부위에는 아연 이온(Zn2+)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탄산무수화효소는 금속효소로 분류된다. 이 효소는 산-염기의 균형을 유지하고 이산화 탄소의 운반을 돕는다.[2]
같이 보기
각주
- ↑ Badger MR, Price GD (1994). “The role of carbonic anhydrase in photosynthesis”. 《Annu. Rev. Plant Physiol. Plant Mol. Biol.》 45: 369–392. doi:10.1146/annurev.pp.45.060194.002101.
- ↑ “PDB101: Molecule of the Month: Carbonic Anhydrase”. 《RCSB: PDB-101》. 2018년 12월 3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