틀:PD-author
사용법
저작권자가 저작권을 소멸시킨 파일에 이 틀을 부착하여 사용하면됩니다.
동일한 틀
{Attribution}과 {Copyrighted free use}는 사실상 같은 내용의 틀입니다. {Attribution}은 저작권자 표기를 조건으로 한 자유로운 이용을 허락한 것이고, {Copyrighted free use}는 그냥 자유로운 이용을 허락한 것인데, 전 세계의 저작권법(베른협약)에서는 자유로운 이용시에도 반드시 저작권자 표기를 명시하도록 의무화 하고 있습니다.
위키백과 영어판에는 {Copyrighted free use}를 {PD-release}로 리다이렉트하고 있습니다만, 엄격하게 따지면, 이는 서로 다른 틀입니다. 퍼블릭 도메인(PD)은 저작권을 소멸시킨 것이고, Copyrighted free use는 저작권이 존재합니다. 위키미디어 공용에는 {Copyrighted free use}를 {PD-release}로 리다이렉트하고 있지 않으며, {PD-release}를 {PD-self}로 리다이렉트 하고 있습니다.
공용과 호환
{공용이동} 틀을 사용하려면, 위키미디어 공용에서 폐지된 {PD} 틀을 사용하면 안 됩니다. 위키미디어 공용에서 유효한 틀만을 사용해야 하며, 공용과 한국어판의 저작권 라이선스 틀의 영어이름이 서로 같아야 오류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아래는 공용에서 쓰는 주요한 틀입니다:
- {PD-old} 저작권자 사후 70년이 된 오래된 저작물
- {PD-ineligible} 성립요건인 창작성 등이 결여되었기에 저작물이 아닌 파일
- {PD-USGov} 미국 연방 정부의 저작물
- {PD-self} 업로더와 저작권자가 일반에 공개한 저작물로서, 저작권자가 직접 저작권을 소멸시킨 저작물
- {PD-user} 다른 사용자가 공개한 저작물, 또는 {Copyrighted free use}.
- 공용에 계정이 없는 사용자가 올린 저작물에는 {PD-user-w}을 사용
- {PD-author} 위키백과 사용자가 아닌 저작권자가 일반에 공개한 저작물로서, 저작권자가 직접 저작권을 소멸시킨 저작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