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기만주씨족통보
《어제팔기만주씨족통보》(御製八旗滿洲氏族通譜, 만주어: ᡥᠠᠨ ᡳ
ᠠᡝᡵᡝᡥᡝ
ᠵᠠᡴᡡᠨ
ᡤᡡᠰᠠᡳ
ᠮᠠᠨᠵᡠᠰᠠᡳ
ᠮᡠᡴᡡᠨ
ᡥᠠᠯᠠ
ᠪᡝ
ᡠᡥᡝᡵᡳ
ᡝᠵᡝᡥᡝ
ᠪᡳᡨᡥᡝHan-i Araha Jakūn Gūsai Manjusai Mukūn Hala be Uheri Ejehe Bithe)은 《팔기만주씨족통보》(八旗滿洲氏族通譜, 만주어: ᠵᠠᡴᡡᠨ
ᡤᡡᠰᠠᡳ
ᠮᠠᠨᠵᡠᠰᠠᡳ
ᠮᡠᡴᡡᠨ
ᡥᠠᠯᠠ
ᠪᡝ
ᡠᡥᡝᡵᡳ
ᡝᠵᡝᡥᡝ
ᠪᡳᡨᡥᡝJakūn Gūsai Manjusai Mukūn Hala be Uheri Ejehe Bithe),《팔기씨족통보》(八旗氏族通譜),[1] 《만주성씨통보》(滿洲姓氏通譜)라고도 한다.[2]
- 원문
八旗滿洲, 姓氏衆多, 向無彙載之書, 難於稽考, 著將八旗姓氏, 詳細査明, 幷從前何時歸順情由, 詳記備載, 纂成卷帙, 候朕覽定刊刻, 以垂永久。 著滿洲大學士, 會同福敏、徐元夢, 遵照辦理。
— 청고종순황제실록
- 해석
팔기만주(八旗滿洲)의 성씨가 너무 많은데도 여태껏 이를 모아서 기록한 책이 없어, 이들의 성씨를 고찰하기 어려우니, 팔기의 성씨를 자세히 조사함과 동시에 예전 어느 때 귀순하였는 지 그 사정을 상세하고 자세히 기록하여 책으로 엮으면, 짐이 그 책을 다 보고 초고가 확정한 것을 기다렸다가, 이를 간각하여 후세에 남기도록 하라. 이 일은 만주의 대학사(大學士)들인 복민(福敏)·서원몽(徐元夢) 등이 회동하여 짐이 하명한 대로 처리토록 하라
한문본 《통보》(通譜) 80권은 청 제국 때 화석화친왕(和硕和亲王, 만주어: ᡥᠣᡧᠣᡳ
ᡥᡡᠸᠠᠯᡳᠶᠠᡴᠠ
ᠴᡳᠨ
ᠸᠠᠩ Hošoi Hūwaliyaka Cin Wang) 훙 저오[4](弘晝, 만주어: ᡥᡡᠩ
ᠵᡝᡠ Hūng Jeo)·오르타이·푸민(福敏, 만주어: ᡶᡠᠮᡳᠨ Fumin)·쉬유완멍[5](徐元夢, 만주어: ᠰᡳᠣᡳ
ᠶᠤᠸᠠᠨ
ᠮᡝᠩ Sioi Yuwan Meng) 등이 건륭제의 칙명을 받들어 편찬한 것이다. 이 책은 한 질이 80권으로 되어 있고, 옹정 13년(1735)[6]에 편찬을 시작하여 건륭 9년(1744)에 완성하였다.[7]

만·한(滿漢) 두 가지 원문으로 나뉘었다. 내용은 팔기만주(八旗滿洲)의 각성 씨족의 원류세계(源流世系)·초거지(初居地) 및 귀부연월(歸附年月)을 포괄하고 있다. 성씨의 분류는 동성자는 본거지로써 분류하되 각각 그들의 수성의 근원 및 초기 거주지를 기록하고, 동성이거자(同姓異居者)는 그 지역으로써 구분하였으며, 사성자(賜姓者)는 그 사유를 상술하였다. 각 성씨는 모두 대성을 첫 머리에 두고 각 간략한 전기를 두었다. 몽골과 고려인[8]으로 오래 전부터 팔기에 속한 자들도 역시 그들의 소종래(所從來)를 거슬러 올라가 끄트머리에 부록으로 실었다. 만주족의 근원 및 명말청초의 만주의 종족 분포를 연구하는 데 있어 중요한 참고자료이다.[9]
《팔기만주씨족통보》에 기록된 만주씨족은 무려 1114개에 달하며, 그 중에서 이름난 가문으로는 구왈갸 하라(瓜爾佳氏), 뇨후루 하라(鈕祜祿氏), 슈무루 하라(舒穆祿氏), 타타라 하라(他塔喇氏), 교로 하라(覺羅氏), 나라 하라(那拉氏)가 기록되어 있다.[10]
각주
- ↑ 일본 도쿄대학 소장 《팔기씨족통보(八旗滿洲氏族通譜)》 수권(首卷) 봉면
- ↑ 《欽定金史語解》
- ↑ 《淸高宗純皇帝實錄)》 권 8, 옹정 13년(1735) 12월 1일자 세번째 기사
- ↑ 실제 발음은 후-옹 저오에 가깝다.
- ↑ 실제 발음은 ㅅᆈㅇᆎㄴ멍에 가깝다.
- ↑ 그해 10월에 옹정제가 붕어하였으나 개원(改元)하지 않고 종전의 연호를 그대로 썼기 때문이다.
- ↑ 傅朗云 (1990). 《乾隆<八旗满洲氏族通谱>初探》. 《古籍整理研究学刊》 (중국어 간체) (吉林省长春市: 东北师范大学古籍整理研究所). 14–18쪽. ISSN 1009-1017.
- ↑ 조선 사람을 의미한다.
- ↑ 鄭天挺, 《中國歷史大辭典》, 上海辭書出版社.
- ↑ 弘昼等 (2002). 《八旗满洲氏族通谱》. 辽海出版社. 31, 100, 115, 167, 181, 280쪽. ISBN 97878066918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