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시흥고속도로

고속국도 | |
---|---|
153 ![]() | |
평택시흥고속도로 | |
고속국도 제153호선 | |
노선도 | |
총연장 | 39.39 km |
개통년 | 2013년 3월 28일 |
기점 | 경기도 평택시 청북읍 |
주요 경유지 |
경기도 평택시 경기도 화성시 경기도 안산시 경기도 시흥시 |
종점 | 경기도 시흥시 거모동 |
주요 교차도로 |
서해안고속도로 평택제천고속도로 영동고속도로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국도 제39호선 국도 제77호선 국도 제82호선 |
평택시흥고속도로(平澤始興高速道路, 고속국도 제153호선)는 경기도 평택시를 기점으로, 시흥시를 종점으로 하는 대한민국의 고속도로이며 서해안고속도로의 지선이다. 총 연장은 39.39km로 서해안고속도로의 서평택 분기점 ~ 안산 분기점 구간과 영동고속도로의 서창 분기점 ~ 안산 분기점 구간의 혼잡 완화를 목적으로 건설한 민간투자고속도로이다.
국고 1조 1,630억원을 투입해 2008년 3월 31일에 착공하여 2013년 3월 28일에 개통하였다. 이 구간의 요금은 소형차 기준 3,100원으로, 이는 경부고속도로를 42km가량 주행할 경우 발생하는 요금의 1.1배 수준이며 1km당 요금이 72.8원이다.[1] 또한 향후 3 ~ 4년 동안 고속도로 통행료가 인상하지 않았으며 이 기간 동안 전 구간 통행료를 3,100원으로 동결하였다.[2] 또한 2015년 5월 1일부터 평택시흥고속도로 전 구간 통행료를 기존 3,100원에서 현행 2,900원으로 통행료 200원을 인하하였다.[3][4] 그리고 이 도로는 다른 민간투자고속도로 사업들과 달리 대한민국 정부가 최소 운영 수입(MRG, Minimum Revenue Guarantee)을 보장하지 않는 최초의 민간투자고속도로 사업이다. 이 민간투자고속도로 사업을 계기로 현재 운영 중이거나 공사중인 다른 민간투자고속도로 노선과 민자사업의 철도 및 지하철에서도 최소 운영 수입을 보장하지 않는 제도를 확대 적용하게 되었거나 적용할 예정이며 특히 2013년 10월 23일 서울 지하철 9호선의 사업 재구조화 변경실시협약을 통하여 최소 운영 수입 보장제도를 폐지하게 되었다.
역사
- 2005년 9월 : 평택시흥고속도로 사업 제안서 제출
- 2005년 11월 : 우선 협상 대상자 선정
- 2007년 7월 : 실시 협약 체결 및 사업자 선정
- 2007년 9월 : 환경, 교통 영향 평가
- 2008년 1월 3일 : 경기도 평택시 청북면 ~ 경기도 시흥시 구간을 고속국도 제153호선 평택시흥고속도로(평택 ~ 시흥선)로 지정[5]
- 2008년 3월 28일 : 평택시흥고속도로 민간 투자사업 실시계획 승인 및 경기도 평택시 청북면 고잔리 ~ 시흥시 월곶동 42.6km 구간 도로구역 결정[6]
- 2008년 3월 31일 : 서평택 분기점 - 군자 분기점 전 구간 (39.39 km) 착공
- 2010년 1월 : 금융 약정 체결
- 2010년 12월 28일 : 도로명주소에 서평택 분기점부터 군자 분기점까지 42.6km 구간을 평택시흥고속도로로 고시[7]
- 2013년 1월 13일 : 정왕 요금소가 서시흥 요금소로 명칭 변경[8]
- 2013년 3월 17일 : 《개통 기념 2013 새 희망 자전거 대행진》 대회 개최[9]
- 2013년 3월 24일 : 《개통 기념 새 희망 국제 마라톤》 대회 개최[10][11]
- 2013년 3월 28일 : 서평택 분기점 ~ 군자 분기점 42.6km 전 구간 개통[12][13]
- 2013년 4월 : 송산휴게소가 송산포도휴게소로 명칭 변경[14]
- 2015년 3월 27일 : 국토교통부고시로 기점을 '경기도 평택시 청북면 고잔리', 종점을 '경기도 시흥시 거모동'으로 명시[15]
- 2015년 5월 1일 : 전 구간 통행료 기존 3,100원에서 현행 2,900원으로 통행료 200원 인하.[16][17]
- 2016년 11월 11일 : 원톨링 시스템 도입으로 장안 요금소 폐쇄
- 2019년 10월 4일 : 2020년 5월까지 경기도 화성시 장안면 독정리에 독정졸음쉼터 설치 공사를 위해 경기도 평택시 청북면 고잔리 ~ 시흥시 월곶동 42.6km 구간 도로구역 변경[18]
- 2020년 7월 14일 : 독정졸음쉼터 설치 공사 기간을 2021년 6월까지로 연장[19]
- 2021년 4월 28일 : 마도 분기점 개통
- 2021년 9월 7일 : 마도 분기점 ~ 시화 분기점 구간이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와 중복 지정[20]
구성
교량
- 홍원1교
- 독정3리천교
- 장안교
- 정든교
- 독정천교
- 대남교
- 수촌1교
- 금의1교
- 금의2교
- 주곡1교
- 주곡2교
- 주곡3교
- 화옹교
- 화성교
- 남양교
- 장덕교
- 마도교
- 상현교
- 청원교
- 석교교
- 슬항1교
- 슬항2교
- 봉가천교
- 봉가교
- 문산천교
- 용포1교
- 용포교
- 용포2교
- 용포3교
- 용수교
- 송산1교
- 송산2교
- 고정1교
- 고정2교
- 고정3교
- 음섬1교
- 음섬2교
- 시화대교
- 신길천교
- 중앙교
- 만해2교
- 능길교
- 신길교
- 거모5교
- 거모6교
- 월곶4교
나들목 · 분기점
- 여기서 숫자는 진출입교차점 (IC 및 JC) 번호를 말하고, TG는 요금소 (Tollgate), SA는 휴게소 (Service Area)를 뜻한다.
- 거리의 단위는 km이다.
- 중첩 구간은 번호란의 배경색을 참조.
- 연한 파란색(■):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중첩 구간
번호 | 이름 | 로마자 이름 | 구간 거리 |
누적 거리 |
접속 노선 | 소재지 | 비고 | |
---|---|---|---|---|---|---|---|---|
40호선 평택제천고속도로 직결 | ||||||||
서평택기점 | - | 0.00 | 경기도 | 평택시 | ||||
1 | 서평택 분기점 | W.Pyeongtaek JC | 0.80 | 0.80 | 15호선 서해안고속도로 40호선 평택제천고속도로 |
평택방향의 경우 서해안고속도로(서울방향) 진출 불가능 | ||
2 | 조암 | Joam | 10.18 | 10.98 | 국도 제77호선 (쌍봉로·포승향남로) 국도 제82호선 (포승향남로) 국가지원지방도 제82호선 (포승향남로) 지방도 제310호선 (버들로) |
화성시 | ||
2-1 | 마도 분기점 | Mado JC | 400호선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 |||||
3 | 송산마도 | Songsan-Mado | 11.32 | 22.30 | 지방도 제305호선 (사강로·송산로·화성로) 지방도 제322호선 (화성로) |
|||
SA | 송산포도휴게소 | Songsan Podo SA | 양방향 통합형[21] | |||||
4-1 | 남안산 분기점 | S.Ansan Junction | 400호선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 안산시 | ||||
4 | 남안산 | S.Ansan | 13.82 | 36.12 | 국도 제39호선 (중앙대로·산단로) 국도 제77호선 (별망로) 국가지원지방도 제84호선 (별망로) 국가지원지방도 제98호선 (별망로) 능길로·해봉로 |
|||
TG | 서시흥 요금소 | W.Siheung TG | 2.66 | 38.78 | 시흥시 | 본선요금소 | ||
5 | 군자 분기점 | Gunja JC | 0.61 | 39.39 | 50호선 영동고속도로 | 시흥방향의 경우 영동고속도로(강릉방향) 진출 불가능 | ||
50호선 영동고속도로 직결 |
주요 통과지
구간 과속 단속
사건 및 사고
- 2013년 7월 4일 오후 13시 55분 경 평택 방면 송산포도 휴게소 부근에서 5톤 탱크로리 차량 고장으로 인하여 폐질산 희석액 3,600L (15 ∼ 20%)가 누출되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이 사고로 경찰과 소방, 51사단 화생방 지원대, 관계기관 등이 긴급 출동해 중화작업을 벌였다. 또한 사고 현장으로 접근하던 제2서해안고속도로 직원 1명이 구토 증세를 보여 수원시 아주대학교병원으로 옮겨졌다.[24][25]
사진
-
시화대교
-
해 뜰 무렵의 서시흥 요금소
같이 보기
각주
- ↑ 가장 비싼 민자도로 통행료… 인천공항 km당 189.1원 서울신문 2013년 10월 11일
- ↑ 평택~시흥 민자고속도로 3~4년간 통행료 동결 건설경제 2013년 11월 18일
- ↑ 평택~시흥 민자고속도로, 통행료 200원 인하 뉴스1 2015년 4월 23일
- ↑ 단, 단거리 구간은 제외.
- ↑ 대통령령 제20526호 고속국도 노선 지정령, 2008년 1월 3일 일부개정.
- ↑ 국토해양부고시 제2008-14호, 2008년 3월 28일.
- ↑ 행정안전부고시 제2010-84호 , 2010년 12월 28일.
- ↑ 지난 2010년 3월 18일에 개통된 제3경인고속화도로의 정왕 나들목의 요금소 명칭도 정왕 요금소이기 때문에 명칭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변경되었다.
- ↑ (중계차) '1만 명 자전거 마니아 '새 도로 위에서 씽씽' MBN 뉴스 2013년 3월 17일
- ↑ ‘진짜 사나이’ 연기자 류수영의 마라톤 도전 한국경제 2013년 3월 25일
- ↑ 당시 MBC TV 예능프로그램 진짜사나이에서 출연하고 있는 배우 류수영이 이 마라톤 대회에 참가하였다.
- ↑ 국토교통부공고 제2013-6호 , 2013년 3월 27일.
- ↑ (생생경제) 제2서해안고속도로 5년 만에 개통 KBS뉴스 2013년 3월 29일
- ↑ 송산 명물 포도호두과자, 근본없는 양과자?, 경기일보, 2014년 2월 6일 작성.
- ↑ 국토교통부고시 제2015-181호 , 2015년 3월 27일.
- ↑ 평택~시흥 ‘착한 민자도로’ 비결 - 통행료 동결 이어 6.5% 인하… 일반고속도로 1.07배 수준 서울신문 2015년 5월 12일
- ↑ 단, 단거리 구간은 제외.
- ↑ 국토교통부고시 제2019-535호, 2019년 10월 4일.
- ↑ 국토교통부고시 제2020-507호, 2020년 7월 14일.
- ↑ 국토교통부고시 제2021-1066호, 2021년 9월 7일.
- ↑ 옛 이름은 송산휴게소이다.
- ↑ 경부․평택-시흥 고속도로 구간단속카메라 설치 운영 아시아뉴스통신 2014년 2월 9일
- ↑ 경부·평택-시흥 고속도로 17일부터 구간단속 KBS뉴스 2014년 2월 9일
- ↑ 평택∼시흥고속도로서 폐질산 3천L 누출…1명 부상(종합) 연합뉴스 2013년 7월 4일
- ↑ 제2서해안 고속도로에서 질산 누출 사고 뉴시스 2013년 7월 4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