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르모테롤
![]() | |
![]() | |
체계적 명칭 (IUPAC 명명법) | |
---|---|
(RR,SS)-N-[2-hydroxy-5-[1-hydroxy-2-[1-(4-methoxyphenyl) propan-2-ylamino]ethyl] phenyl]formamide | |
식별 정보 | |
CAS 등록번호 | 73573-87-2 |
ATC 코드 | R03AC13 R03CC15 |
PubChem | 3083544 |
드러그뱅크 | DB00983 |
ChemSpider | 2340731 |
화학적 성질 | |
화학식 | C19H24N2O4 |
분자량 | ? |
SMILES | eMolecules & PubChem |
약동학 정보 | |
생체적합성 | ? |
단백질 결합 | 61~64% |
동등생물의약품 | ? |
약물 대사 | 간의 탈메틸화와 글루쿠론산화 (CYP2D6, CYP2C19, CYP2C9, CYP2A6 관여) |
생물학적 반감기 | 10시간 |
배출 | 소변, 대변 |
처방 주의사항 | |
허가 정보 |
유럽 의약청:바로가기 |
임부투여안전성 | B3(오스트레일리아) |
법적 상태 |
|
투여 방법 | 흡입제, (경구 흡입을 위한 알약, DPI, MDI) |
포르모테롤(포모테롤, formoterol) 또는 에포르모테롤(eformoterol)은 지속성 β2 작용제(LABA)로, 천식과 만성 폐쇄성 폐질환의 관리에 쓰이는 기관지확장제이다. 살부타몰(알부테롤)과 같은 속효성 β2 작용제와 비교했을 때 작용 시간이 최대 12시간 정도로 길며, 효과가 큰 시간은 투여 후 4~6시간이다. 포르모테롤은 투여 후 2~3분 만에 효과가 나타나, 다른 LABA와 비교하면 효과가 비교적 빠르게 발생하기 시작한다.[2] 포르모테롤 흡입제는 다른 베타-2 작용제와 마찬가지로 기도의 평활근을 이완시켜 기관지를 이완시켜, 천식 악화를 치료하고 발작을 예방한다.
2022년 세계천식기구(GINA) 보고에서는 흡입 스테로이드(ICS)/포르모테롤 병용 요법을 성인 천식의 예방 및 증상 완화 치료제로 1차 권고하도록 지침을 변경했다. 어린이의 천식에 대해서는 속효성 β2 작용제인 살부타몰 등이 여전히 권고 약제이다.[3]
특허 출원은 1972년, 의학용 사용이 시작된 것은 1998년이다.[4] 복제약으로 이용 가능한 약제이다.[5] 복합 제제로 부데소니드/포르모테롤이나 모메타손/포르모테롤 등이 있다.
각주
- ↑ “List of nationally authorised medicinal products” (PDF). 《ema.europa.eu》. 2023년 6월 17일에 확인함.
- ↑ Anderson GP (1993). “Formoterol: pharmacology, molecular basis of agonism, and mechanism of long duration of a highly potent and selective beta 2-adrenoceptor agonist bronchodilator.”. 《Life Sci》 52 (26): 2145–60. doi:10.1016/0024-3205(93)90729-m. PMID 8099696.
- ↑ Global Initiative for Asthma (2022). Global Strategy for Asthma Prevention and Management (Updated 2022) (PDF) (보고서).
- ↑ Fischer J, Ganellin CR (2006). 《Analogue-based Drug Discovery》 (영어). John Wiley & Sons. 543쪽. ISBN 9783527607495.
- ↑ “Competitive Generic Therapy Approvals”.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2023년 6월 29일. 2023년 6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6월 29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 “Formoterol”. 《Drug Information Portal》.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 “Formoterol fumarate”. 《Drug Information Portal》.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