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해안소나무

프랑스해안소나무


생물 분류ℹ️
계: 식물계
(미분류): 관다발식물
문: 구과식물문
강: 구과강
목: 구과목
과: 소나무과
속: 소나무속
아속: 소나무아속
절: 소나무절
종: 프랑스해안소나무
학명
Pinus pinaster
Aiton
향명
프랑스해안소나무의 분포

분포지도
보전상태


최소관심(LC): 절멸위협 조건 만족하지 않음
평가기관: IUCN 적색 목록 3.1[3]

프랑스해안소나무(학명Pinus pinaster 피누스 피나스테르[*])는 유럽 남대서양면 지역과 서지중해 지역 일부가 원산인 소나무이다. 나무가 단단하고 삐르게 자라며 큰 날개가 달린 작은 씨앗이 특징이다.

특징

프랑스해안소나무의 구과

프랑스해안소나무는 높이 20–35 미터 (66–115 피트) 가슴둘레크기 1.2 m (4 ft)~ 1.8 m (6 ft)에 달한다.

구과

The 나무껍질은 동적색에 두꺼우며, 줄기의 지제부에 크게 균열이 있고 수관에서 다소 얇아진다.

(바늘잎)은 한 쌍이며 매우 튼튼하고(폭 2 밀리미터 or 116 인치), 길이 25 cm (10 in) 이상이며,[4] 청록색에서 황록색을 띤다. 프랑스해안소나무는 모든 유럽의 소나무 종 중 가장 길고 단단한 바늘잎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4]

구과는 원뿔형이며, 길이 10–20 cm (4–8 in)[4]에 구과가 닫혀있을 때의 폭 4–6 cm (1 122 12 in)이고, 처음에는 녹색이었다가 24개월이 지나면 윤기 있는 적갈색으로 익는다. 구과는 이후 몇 년이 지나거나 산불에 의해 데워지면서 천천히 열리게 되는데, 폭 8–12 cm (3–4 12 in)의 구멍으로 씨앗을 방출한다.

씨앗은 길이 8–10 mm (51638 in)이며 날개의 길이 20–25 mm (1316–1 in)이고, 바람에 잘 날아간다.

비슷한 종

프랑스해안소나무는 튀르키예소나무, 카나리아제도소나무, 알레포소나무와 많은 특징을 공유하는 근연이다. 이 소나무는 비교적 변동이 없는 종으로, 전체에 걸쳐 일정한 형태를 가지고 있다.

분포 및 서식지

그 분포 범위는 지중해 분지서부와 유럽의 남대서양 해안에 이르고, 크게는 포르투갈 중부 및 스페인 북부 (특히 갈리시아)에서 스페인 남부와 서프랑스, 이탈리아 동서부, 크로아티아튀니지 남북부, 알제리, 북모로코까지 아우른다.[5] 이 소나무는 서늘하고 비가 많이 오는 겨울과 덥고 건조한 여름을 가진 지중해 기후를 선호한다.[6]

대개 해수면에서 600 m (2,000 ft)에 이르는 중저고도에서 살지만, 모로코에서 서식지 남쪽 방향으로는 2,000 m (6,600 ft) 이상의 해발고도에 살기도 한다. 현재 자연 분포에서 높은 수준의 분열은 두 가지 요인에 의해 발생한다. 산맥의 불연속성과 고도로 인한 개체고립 현상, 그리고 인간의 활동이 그것이다.[7]

각주

  1. Pinus pinaster. 《Germplasm Resources Information Network (GRIN)》 (Agricultural Research Service(ARS),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USDA)). 
  2. “Maritime Pine | the Wood Database - Lumber Identification (Softwood)”. 
  3. Farjon, A. (2013). Pinus pinaster. 《IUCN 적색 목록》 (IUCN) 2013: e.T42390A2977079. doi:10.2305/IUCN.UK.2013-1.RLTS.T42390A2977079.en. 2021년 11월 19일에 확인함. 
  4. Rushforth, Keith (1986) [1980]. 《Bäume》 [Pocket Guide to Trees] (독일어) 2판. Bern: Hallwag AG. 63쪽. ISBN 3-444-70130-6. 
  5. Moran 등. (2000).
  6. Richardson, M (1990). 《Assessing the risk of invasive success in Pinus and Banksia in South African mountain fynbos》 [Journal of Vegetation Science] 1판. 629–642쪽. 
  7. Alía, R.; Martín, S. (2003), 《Maritime pine – Pinus pinaster: Technical guidelines for genetic conservation and use》 (PDF), European Forest Genetic Resources Programme, 6 pp쪽, 2017년 1월 19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월 18일에 확인함 

같이 보기

  • Pinus pinaster – 분포지도, 유전자 보호 유닛 및 관련 자원. 유럽 삼림유전자원프로그램 (European Forest Genetic Resources Programme, EUFORGEN)
  • “Pinus pinaster”. 《Plants for a Future》. 
  • Pinus pinaster in the CalPhotos photo database,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