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군사)
부대 단위 | |
---|---|
![]() | |
![]() |
2 ~ 5 명 |
![]() |
8 ~ 15 명 |
![]() |
8 ~ 20 명 |
![]() |
20 ~ 55 명 |
![]() |
60 ~ 255 명 |
![]() |
300 ~ 1,000 명 |
![]() |
1,000 ~ 3,000 명 |
![]() |
3,000 ~ 5,000 명 |
![]() |
10,000 ~ 20,000 명 |
![]() |
20,000 ~ 80,000 명 |
![]() |
80,000 ~ 400,000 명 |
![]() |
400,000 ~ 1,000,000 명 |
전역(役) | |
![]() 또는 전역(域) |
1,000,000 ~ 10,000,000 명 |
조(組, fire team)는 군대에서 비공식적으로 사용하는 병력 편성의 최소 단위로, 분대의 아래 단위이다. 대한민국 군대에는 없는 부대 편제이며, 미 육군과 미 해병대의 최하위 부대 편제이다.
목적
조는 전술적 유연성을 높이기 위하여 생긴다. 조원들은 같이 훈련을 받고 작전을 수행함으로써, 구성원 간의 의사소통 향상과 작전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구성
공식 편제상으로는 군대에서 가장 작은 병력 단위는 분대이나, 필요시에는 더 작은 단위인 조(주로 4명)로 편성하여 운용하기도 한다. 한국군에는 조 편제는 없으나, 분대를 분대장조와 부분대장조로 나눈다.
조장
조장은 주로 병장이나 상병이 맡는다.
같이 보기
![]() |
이 글은 단체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