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물 우주선

화물 우주선(貨物宇宙船, 영어: Cargo spacecraft)은 우주정거장에 식량, 연료, 기타 보급품을 나르기 위한 무인우주선으로, 과학 탐사를 위한 우주 탐사선과는 구분된다. 화물 우주선은 1978년 이후로 살류트 6호, 살류트 7호, 미르, 국제우주정거장, 톈궁 2호에 보급품을 날랐다.
우주선
현역
러시아: 프로그레스[1]—러시아 연방 우주국 개발
일본: HTV[2]—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 개발
미국: 드래곤[3]—NASA와 민간 우주기업 SpaceX의 합작
미국: 시그너스[4]—NASA와 민간 우주기업 오비탈 ATK의 합작
중국: 톈저우[5]—중국국가항천국 개발
퇴역
개발 중
- 보잉이 승무원 수송선 CST-100 개조안을 제시했다.[8]
- 2016년 1월 NASA가 시에라 네바다의 드림 체이서를 보급선 계약 중 하나로 채택했다고 발표했다. NASA는 최소 6번 이상의 ISS 보급 임무를 진행할 예정이다.[9]

취소
미국: 민간 기업 로켓플랜 키슬러가 목표치를 달성하지 못해 2007년 NASA와의 키슬러 K-1 개발 계약이 취소되었다. 이후 이 계약은 오비털 사이언스 코퍼레이션이 계승했다.[10][11]
같이 보기
- 우주정거장 화물선 목록
각주
- ↑ Gunter's Space Page: Progress-M 1M - 10M (11F615A60, 7KTGM).
- ↑ “NASA Sets Briefing, TV Coverage of Japan's First Cargo Spacecraft”. NASA. 2009년 9월 3일에 확인함.
- ↑ “F9/Dragon Will Replace the Cargo Transport Function of the Space Shuttle after 2010”. 《SpaceX》. 2008년 12월 23일. 2009년 7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2월 15일에 확인함.
- ↑ “Canadarm2 Captures Cygnus”. 2020년 11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1월 10일에 확인함.
- ↑ “China launches its first unmanned cargo spacecraft”. phys.org. 2017년 4월 20일. 2017년 4월 20일에 확인함.
- ↑ 《ESA Automatic Transfer Vehicle》
- ↑ 《Thales Alenia Space ATV & ISS Modules》, 2010년 7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Space News: Boeing Offers CST-100 for ISS Cargo Contract (16 December 2014)
- ↑ “NASA Awards International Space Station Cargo Transport Contracts”. 2016년 1월 14일.
- ↑ Space.com - Rocketplane Kistler Appeals NASA Decision to Terminate COTS Agreement (22 October 2007)
- ↑ Orbital Wins $171 Million Space Station Re-Supply Demo Deal (19 February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