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벽나무
![]() | |
---|---|
![]() | |
생물 분류ℹ️ | |
계: | 식물계 |
(미분류): | 속씨식물군 |
(미분류): | 진정쌍떡잎식물군 |
(미분류): | 장미군 |
목: | 무환자나무목 |
과: | 운향과 |
속: | 황벽나무속 |
종: | 황벽나무 |
학명 | |
Phellodendron amurense | |
Rupr. (1857) |
황벽나무(黃蘗--)는 운향과의 넓은잎 큰키나무로 낙엽활엽교목이며 황백나무, 황경나무[1][쪽 번호 필요], 황경피나무라고도 한다. 영칭으로는 Amur Corktree라 하는데, 이는 황벽나무의 코르크층이 두껍게 발달한 것에서 왔다.[2]
높이는 10-15m 정도이다. 잎은 3-6쌍의 작은 잎으로 이루어진 큰 깃꼴겹잎인데, 작은 잎들은 달걀 모양의 피침형이다. 암수딴그루로서, 4-5월 무렵에 황색 꽃이 가지 끝에 달린다. 열매는 핵과인데, 9-10월 쯤에 붉게 익는다. '황벽나무'라는 이름은 나무껍질 안쪽이 노랗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주로 깊은 산에 많은데, 한국에서는 전남을 제외한 각 지역에 분포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한국, 일본과 중국 동부 해안, 만주, 러시아 연해주에 자생하고 있다.[3]
쓰임새
아이누인들은 황벽나무를 진통제로 사용했다.[4] 중국에서는 이질, 결핵, 종양, 고빌리루빈혈증, 간경변 치료에 사용하는 오랜 전통약으로 알려져 있다.[5][6]
사진
-
나뭇잎
-
나무
-
수피
-
종자
같이 보기
외부 링크
각주
- ↑ 허북구,박석근 (2008년 5월 7일). 《궁금할 때 바로 찾는 우리나무 도감》. 중앙생활사.
- ↑ “Phellodendron amurense”. 《North Carolina Extension Garden Toolbox》. 2024년 5월 8일에 확인함.
- ↑ “Phellodendron amurense Rupr.”. 《KEW》. 2024년 5월 8일에 확인함.
- ↑ Batchelor, John; Miyabe, Kingo (1893). “Ainu economic plants”. 《Transactions of the Asiatic Society of Japan》 (R. Meiklejohn & Co) 51: 198–240. OCLC 903220997.
- ↑ Hsu, K. J. (1996). 《Chinese Traditional Medicine》. Beijing: Chinese Pharmaceutical Science and Technology Publication Co. 802쪽.
- ↑ Gray, Alexander I.; Bhandari, Prabha; Waterman, Peter G. (January 1988). “New protolimonoids from the fruits of Phellodendron chinense”. 《Phytochemistry》 27 (6): 1805–1808. Bibcode:1988PChem..27.1805G. doi:10.1016/0031-9422(88)80448-5.
참고 문헌
![]() |
이 글은 무환자나무목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